제주대학교 Repository

헌법'개정'과 지방자치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憲法「改正」と地方自治
Abstract
일본국헌법을 개정하려는 움직임은 1950년대와 80년대에 활발해진 이후, 90년대에 들어와 그 3번째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20세기 말 이후 그야말로 '급물살'이라고 부를만한 추세로 진전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추세는 미국의 종용과 관여가 헌법개정을 강력하게 견인하고 있다는 점, 국회에 헌법개정을 사실상 추진하는 공식적인 조사회가 설치된 점, 재계가 전면에 나선 점, 거대 매스컴이 선두역할을 해온 점, 그리고 국회의석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자민당 ․ 공명당 ․ 민주당, 이들 3당이 개헌에 의견일치를 보았다는 점 등으로 특징지울 수 있습니다.
현재 나와 있는 개헌구상들은 일본국헌법의 이념과 내용을 전면적으로 바꾼 안이라고 하는 근본적인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 핵심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자민당의『신헌법초안』은 전문과 제2장(9조2항) 및 제8장을 전면적으로 개정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지방자치도 기존의 모습이 완전히 바뀌게 됩니다.
그리고 이 초안은 일본국헌법이 예정(96조에 의한 개정) 하고 있는 헌법'개정'의 틀을 벗어난 안이기 때문에 헌법 그 자체를 바꿔버리는, 말 그대로 신헌법 제정이지 도저히 현행헌법을 존중한 개정작업이라고 할 수 없습니다. 다시 말해 자민당의『신헌법초안』은 일종의 법적 쿠데타를 기도한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자민당의『신헌법초안』에 의한 개헌이 실현될 경우에 일본사회에 다음과 같은 변화를 초래하게 됩니다. 첫째, 국가와 사회의 전면개혁이 이루어집니다. 둘째, '해외에서 전쟁 가능한 국가'로 나아갈 수 있습니다. 셋째, 약육강식의 '자기책임'사회 건설이 추진됩니다. 넷째, 국가권력을 구속하는 입헌주의 헌법이 국민을 관리하는 헌법으로 바뀌게 됩니다.
한편 자민당을 비롯해 개헌입장을 갖고 있는 민주 ․ 공명 각 당은 헌법개정안을 제시함과 동시에 개헌을 위한 절차법 제정을 서두르고 있습니다. 헌법개정절차를 정한 국민투표법안이 제정된다면 자민당의『신헌법초안』으로 대표되는 개헌의 흐름은 급속히 가속화될 것입니다.
Author(s)
박경희
Issued Date
2007
Awarded Date
2007.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080
Affiliation
제주대학교
Department
통역대학원 한일과
Advisor
李禮安
Table Of Contents
머리말 1

I. 더욱 시끄러워진 헌법을 둘러싼 주변 환경 4
1. 개헌의 급물살 4
2. 개헌주장 이유로서의 '강요헌법'론과 '현실괴리'론 6

II. 헌법이란 무엇인가 10
1. 헌법은 '최고법규' 10
2. '헌법'(constitution)의 의미 11
3. 근대헌법의 변천 14

III. 일본국헌법의 역사와 개헌 목적 16
1. 일본의 19세기 헌법 17
2. 일본국헌법의 탄생 19
3. 삼위일체의 기본원리 23
4. 개헌은 무엇을 가져오는가? 25
(1) 국가와 사회의 전면개조(改造) 25
(2) '해외에서 전쟁 가능한 국가'로의 전개 26
(3) 약육강식의 '자기책임'사회 건설 30
(4) 국가권력을 구속하는 입헌주의 헌법을 국민을 관리하는 헌법으로 31
(5) 개헌 준비작업을 위한 '헌법개정절차법안'(국민투표법안) 33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Citation
박경희. (2007). 헌법'개정'과 지방자치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Interpretation & Translation > Korean-Japanes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