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화성 기반 창작 학습지 선율보를 적용한 음악 창작 수업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Effect of the Music Creative Teaching applying "Harmonic Melody Sheet" : for the First Grade Students on Middle School
Abstract
본 연구는 국악에서 사용하는 기보법인 정간보(井間譜)와 칼 오르프(Carl Orff)의 학습방법을 접목하여 개발한 화성 기반 창작 학습지인 선율보를 이용 교수 학습 지도안을 작성하여 음악 창작 수업의 효과가 있는지 조사하였다.
연구대상은 제주도 J중학교 1학년 남학생 149명을 대상으로 사전 설문지와 사전 검사를 통해 화성 기반 선율보를 적용하여 음악 창작 학습방법을 사용한 실험반과 일반적인 음악 창작 학습방법을 사용한 비교반 간의 음악 창작 활동 차이 여부를, 사후 검사를 통해 검증하고 분석하였다.
본 실험은 짧은 수업으로도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3차시로 진행하였으며, 교육부에서 개발한 음악 창작 성취기준과 평가기준에 따라 자체 개발한 사전검사지, 사후검사지, 및 채점표를 사용하였다. 사전검사 결과 실험반과 비교반 간에는 작곡활동에 유의한 차이가 없이 동질화되었으므로, 사후검사의 평균과 분산을 산출하고, SPSS 1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T-검증을 실시 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화성 기반 선율보를 적용한 음악 창작 학습방법을 사용한 실험집단이 일반 음악 창작 학습방법을 사용한 비교집단 보다 적합성 중 가락의 진행 능력이 높았다.
둘째, 화성 기반 선율보를 적용한 음악 창작 학습방법을 사용한 실험집단이 일반 음악 창작 학습방법을 사용한 비교집단 보다 적합성 중 화음의 시작과 마침을 적용하는 능력이 높았다.
셋째, 화성 기반 선율보를 적용한 음악 창작 학습방법을 사용한 실험집단이 일반 음악 창작 학습방법을 사용한 비교집단 보다 기보법 중 음표 쉼표의 기보력에 차이는 없었다.
넷째, 화성 기반 선율보를 적용한 음악 창작 학습방법을 사용한 실험집단이 일반 음악 창작 학습방법을 사용한 비교집단 보다 기보법 중 기호 기보력에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화성기반 선율보를 적용한 창작 학습지는 중학생의 음악 창작 후 적합성에 준하는 실질적 작곡 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기존 연구에 따르면, 음악 창작 수업 시간의 제약과 간편한 창작 수업 도구가 부재하여 창작 수업의 접근성이 낮을 뿐만 아니라 흥미도 떨어졌으나 본 수업 도구를 이용하면 짧은 시간에도 높은 성취도를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위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사항을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화성 기반 선율보를 통한 음악 창작 수업은 짧은 시간으로도 효과적인 결과를 얻어낼 수 있다. 현실적으로 음악 창작 수업 시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고등 학년생을 위한 효율적인 수업 지도안이 계속 개발되어야 한다.
둘째, 본 연구 결과에 비추어 기보력은 창작 수업을 통해서는 의미 있는 결과를 나타내지 못하고 있으므로, 음악 창작 평가보다는 오히려 이론적 수업의 범위에서 다루어지는 것이 바람직 하다. 오히려 향후 교육 과정에서는 음악 창작에 대한 평가 항목을 더욱 세분화하여 보강될 필요가 있다.
셋째, 본 연구의 화성 기반 선율보는 작곡의 가장 기초를 시작하기 위한 창작학습지이다. 선율보로 작곡에 대한 성취감을 느낀 후 자신만의 독창성을 나타낼 수 있는 단계별 구체적인 방법이 향후에 더욱 활발히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effect of the teaching method about the music creativity using the new developed "Harmonic Melody Sheet (HMS)" based on Korean traditional score, "Jeong-gan-bo" and Orff's educational theory. For 149 male students of the first graded middle school in Jeju, Korea, it was divided an experimental group applying the HMS based class and a comparative group doing a general method based on the result of survey pre-test. Finally it was validated the result of post-test and the result was analyzed.
The experiment was done just 3 times for 50 minutes for confirming the effect despite of a short term class. Instruments to measure the creativity were pre-test papers, post-test papers and which were based on the national musical curriculum and me. According to pre-test, both groups didn't have statistical significance and are homogeneous, so we processed the class and post-test. The result of T-test on post-test is as following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more improvement on musical appropriateness of the melody progression.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more improvement on musical appropriateness of the start and end of harmony.
Third, there weren't any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ability musical notes and rest on score between two groups.
Fourth, there weren't any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ability in musical signs on score between two groups.
As a result, the HMS based musical class is effective on improving the ability of music composi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Especially, previous researches pointed that the number of musical creative class was limited on general schools and students lost interests in this class because of the lack of proper teaching tools. Using the result of this research, we can get highly achievements in spite of short-term classes.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some suggestions are recommended as follows.
First, although this research got effective results on short-time class, the systematic method for teaching must be designed for each grade of middle and high schools.
Second, this research shows the ability of notation is not increased by music creative class but theory class. So, it has better omit the evaluation item of notation in next music curriculum and reinforce these criteria in detail.
Third, the the HSM is the basic learning tool for starting music composition. So the further studies to make phased-in classes must be developed to express ones originality of music after feeling achievements.
Author(s)
박귀영
Issued Date
2010
Awarded Date
2010.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5095
Alternative Author(s)
Park, Gui young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음악교육
Advisor
이춘기
Table Of Contents
목 차
I. 서론 1
1. 목표와 필요성 1
2. 연구문제 3
3. 용어의 정의 4
4. 연구의 한계 5
II. 이론적 배경 6
1. 선율보의 이론적 배경 6
2. 리듬 학습을 위한 정간보 이용 10
3. 음악 창작 교수 학습의 중요성 12
4. 선행 연구의 고찰 16
III. 연구 가설 19
IV. 연구 방법 20
1. 연구 설계 20
2. 연구 대상 20
3. 사전 설문 조사 21
4. 사전 검사 24
V. 연구 도구 26
1. 처치 도구 개발 26
2. 측정 도구 31
3. 평가 및 검증 방법 34
4. 관찰자간의 신뢰도 34
VI. 연구의 결과 및 분석 35
1. 종합 결과 35
2. 반별 분석 37
3. 결과 분석 39
VII. 논의 및 결론 41
1. 요약 41
2. 논의 42
3. 결론 및 제언 43
참고문헌 45
Abstract 48
부록 50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박귀영. (2010). 화성 기반 창작 학습지 선율보를 적용한 음악 창작 수업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Music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