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국어 보어의 범위 설정과 유형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study on the scope demarcation and patterns of Korean language complements
Abstract
이 연구는 학교문법의 보어규정에 이의를 제기하며, 범위를 확장하는 관점에서 보어를 설정하고 그 보격조사의 형태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보어란 서술어가 요구하는 문장성분으로 한 문장의 통사적·의미적 완성을 위해 반드시 실현되어야하는 요소이며 실현되지 않는다면 통사적·의미적으로 불완전한 문장을 생성하게 되는 필수적 문장 구성 성분'임을 전제로 하여 서술어를 중심으로 통사론적·의미론적 관점에서 논의를 전개했다.
2장에서는 학교문법의 보어와 보어의 범위 설정에 관한 여러 견해들을 살펴보고 그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학교문법은 문법체계의 명료화와 단순화를 위해 조사의 형태에만 입각한 나머지 지나치게 협의적 관점에서 보어를 규정하고 있으며, 부속 성분인 부사어를 필수적 부사어와 수의적 부사어로 구분하고 있다. 또한 '되다'와 '아니다' 외에 느낌형용사 등 보어를 요구하는 서술어가 더 존재함을 인정하면서도 여전히 이 두 서술어와 결합하는 명사만을 보어로 규정하고 있다. 필수적 부사어를 그 형태에 관계없이 모두 보어로 규정한 견해는 가장 광범위한 관점에서 보어를 설정하고 있다. 이 견해의 문제점은 명사 형태의 필수적 부사어와 부사 형태의 필수적 부사어의 기능과 역할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모두 보어로 설정했다는 점이다. 그리고 같은 주성분인 주어, 목적어와 그 형태가 동일하지 않다는 것이다. 보어를 이중주어로 설정한 견해는 보어를 부정하고 이중주어로 보는 입장인데, 특정한 조사를 가진 보어를 논항으로 요구하는 서술어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보어의 개념이 필요하다. 그리고 주어는 주부에 속하고, 보어는 술부에 속하기 때문에 동일한 성분으로 다루기에는 구조적 어려움이 뒤따르며, 중복된 주어는 동심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주어와 보어는 이심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그 구조적 특성 또한 다르다. '명사류+조사' 형태를 보어로 규정한 견해는 필수적 부사어 중 명사 형태만을 보어로 보는데, 그 문제점은 보격조사와 부사격조사의 중첩으로 인해 서술어의 의미 특성을 일일이 파악하며 문장성분을 판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광의의 관점에서 보어를 규정하고 있지만, 부속 성분인 부사어가 필수적, 수의적 성분으로 나뉘는 문제점도 존재한다. 이 연구에서 보어는 서술어의 의미 특성을 위해 반드시 요구되는 성분으로서, 서술어와 밀접하게 결속되어 있다고 본다. 문장의 구조를 결정하는 것도 서술어의 의미이며, 필수적 구성성분인 보어의 자리를 결정하는 것도 서술어의 의미가 된다. 따라서 '보어란 서술어의 부족한 의미를 보충하여 문장의 뜻을 완성시키는 주어, 목적어를 제외한 필수적 성분'으로 그 개념을 규정하였다.
3장에서는 보어의 범위를 설정하고 보격조사의 유형을 살펴보았다. 이 연구에서 보어는 주어, 목적어를 제외한 성분 중 서술어가 필수적으로 요구하는 '명사류+조사' 형태만을 보어의 범위에 포함시켰다. 명사 형태의 필수적 부사어와 부사 형태의 필수적 부사어는 그 기능과 역할이 다르기 때문에 둘 다 보어로 규정할 수는 없다. 보어는 서술어의 주체와 대상이 되는 성분이기 때문에 명사나 명사 형태로 나타난다. 주어와 목적어를 제외한 필수성분이 '명사' 형태뿐만 아니라 '부사' 형태로 나타나지만 '명사류+조사'만을 보어로 규정하려는 것은 형태의 명확성과 일관성 때문이다. 즉, 국어를 더 체계적이고 일관성 있는 규칙 아래에서 설명함으로써 문법체계에 안정을 기하려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 설정한 보격조사는 '-이/가', '-에', '-(으)로', '-와/과'이다. '-이/가'는 학교문법에서 규정한 보격조사와 같은 형태지만, '명사+-이/가'를 요구하는 서술어는 다르다. 학교문법에서는 '되다'와 '아니다'만을 규정하고 있지만, 이 연구에서는 '맞다, 좋다, 싫다' 등 다양한 서술어를 제시하였다. '명사+-에' 형태의 보어는 학교문법에서는 필수적 부사어지만, 이 연구에서는 보어로 규정하였다. '가다, 다니다'와 같은 이동 동사와 '감사하다, 기대다, 걸리다' 등의 서술어는 '-에' 보어를 필수적으로 요구하기 때문이다. '-(으)로' 또한 '다가오다, 가다, 되다'와 같은 서술어가 요구하는 필수적 성분으로 이 연구에서는 보격조사로 설정했으며, '-와/과' 보어도 '연관되다, 마찬가지다, 만나다, 다르다' 등과 같은 서술어가 필수적으로 요구하는 성분으로 보았다.
학교문법의 보어규정은 문장 안에서 같은 의미와 기능을 갖는 성분을 각각 다른 문장성분으로 규정하는 문제점을 낳는다. 이러한 현상은 협의적 관점에서 보어를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발생한다. 따라서 보다 넓은 범위에서 보어의 범위를 설정하고 보격조사의 형태를 규정해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is intended to highlight weaknesses in current school grammar regarding complements, demarcate the boundaries of complements to expand their scope and look into the forms of complementary case particles. To this end, a predicate-centered argument was developed from a syntactic and semantic point of view on the assumption that complements are grammatical components required by the predicate that are necessary for a sentence's syntactic and semantic perfection. Therefore, complements are essential elements of sentences without which a sentence becomes syntactically and semantically imperfect.
In Chapter 2, a study was conducted on various opinions regarding complements, their scope in school grammar and related problems. School grammar defines complements in excessively narrow terms, limiting complements to particle forms in order to make the grammatical system clear and simple. It divides adverbial phrases, dependent components into imperative and voluntary adverbial phrases. Furthermore, school grammar acknowledges that there are more predicates that require complements. For example, predicates including adjectives of feeling require complements, but grammatical rules qualify this by saying that only nouns combined with the two predicates ('become' and 'be not') can be complements. Next, an analysis was conducted in which all imperative adverbial phrases were classified as complements regardless of their form, framing complements from the broadest standpoint. The defect of this framework is that even though the function and role of noun-form imperative adverbial phrases are different from those of adverb-form imperative phrases, both of them are designated as complements. In addition, subjects and objects, the same main components, exhibit mutually different forms. Considering complements as double subjects denies complements, but the concept of complements is indispensible for clar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predicates that require complements with specific particles as arguments. Also there are structural difficulties which arise when the subject and complement are treated the same (the double subject framework), since the former belongs to the complete subject while the latter is included in the complete predicate. Repeated subjects share a common connection to a sentence whereas subjects and complements don't share such a common link. As a result,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two constructs are different as well. According to one model describing 'noun group+particle' forms as complements, only the noun form of imperative adverbial phrases is able to become a complement. A complication arises from such a model, however. Semantic studies of predicates should be carried out on individual predicates and grammatical components should be identified by the overlap of complementary and adverbial case particles. This is the point at issue. Even if the model defines complements from a macro perspective, another problem still gets in the way- adverbial phrases and dependent components are separated into imperative and voluntary components. In this research paper, complements are prerequisite to predicates. The meaning of the predicate decides not only sentence structure but also the complement's position, a necessary constituent element. Therefore this thesis proposes that complements complete sentences by filling in gaps in meaning regarding predicates. Complements thereby play an important role together with subjects and objects.
In Chapter 3, the scope of complements is defined and the forms of complementary case particles are investigated. Excluding subjects and objects, this study only examines 'noun group+particle' complement forms required by predicates. Imperative adverbial phrases of both noun and adverb forms cannot be defined as complements because they serve different functions and roles. Complements appear to be nouns or noun forms because they are components of the sentence's main body as well as being targets of the predicate. Although complements which are the same imperative component as subjects and objects become adverbs as well as nouns, only 'noun group+particle' forms are designated as complements to install definite forms and maintain consistency. This is aimed at stabilizing the grammar system by explaining Korean language using more systematic and consistent rules. The complementary case particle established in this research is '-i/ga', '-e', '-(eu)ro', '-wa/gwa'. '-i/ga' is the same form as the complementary case particle stipulated in school grammar but the predicate demanded by 'noun+-i/ga' is different. 'Become(doeda)' and 'be not(anida)' are stipulated in school grammar whereas this research suggests various predicates such as 'correct(matta), like(jota), and dislike(silta)'. The complement in the form of 'noun+ -e' is an imperative adverb in school grammar while this research views it as complement. That's because movement verbs such as 'go(kada) and attend(danida)' and predicates such as 'thank(kamsahada), lean(kidaeda), and take time(keollida)' require the '-e' complement inevitably. '-(eu)ro' is also a necessary ingredient demanded by predicates such as 'come(dakaoda), go(kada) and become(doeda)' and is defined as a complementary case particle in this research. '-wa/gwa' complements are also considered as crucial components of predicates such as 'relate(yeongwandoeda), same(machangajida), meet(manada) and differ(dareuda)'.
School grammar rules governing complements bring about problems in differentiating among grammatical components with the same meaning and function as different components. This phenomenon results from defining complements too narrowly. Consequently, the scope of complements and the forms of complementary case particle should be expanded.
Author(s)
고현희
Issued Date
2007
Awarded Date
2007.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037
Alternative Author(s)
Ko, Hyun-Hi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Advisor
김태곤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 1
1.1. 연구 목적 = 1
1.2. 연구 방법 = 3
1.3. 선행 연구 검토 = 4
Ⅱ. 보어의 범위 설정과 그 문제점 = 8
2.1. 학교문법에서의 보어와 문제 = 8
2.2. 필수적 부사어까지를 보어로 보는 문제점 = 13
2.3. 이중주어론과 문제점 = 17
2.4. '명사류+조사'를 보어로 보는 문제점 = 23
2.5. 보어의 개념 = 29
Ⅲ. 보어의 범위 설정과 보격조사의 유형 = 34
3.1. 보어의 범위 설정 = 34
3.2. 보격조사의 유형 = 39
3.2.1. -이/가 = 39
3.2.2. -에 = 43
3.2.3. -(으)로 = 48
3.2.4. -와/과 = 53
Ⅵ. 결론 = 58
참고 문헌 = 62
Abstract = 65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고현희. (2007). 국어 보어의 범위 설정과 유형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Social Education > Natural and Cultural Heritage Educati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