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제주도 남원읍과 조천읍 밭토양의 물리화학적 성질 비교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Comparison of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between Namwon and Jocheon Area in Jeju Island
Abstract
본 연구는 화산회토가 많이 분포한, 감귤이 재배되고 있는 남원읍 지역과 비화산회토가 많이 분포되어 특용작물이 재배되고 있는 조천읍 토양을 각각 557개 및 939개 토양자료를 한국토양정보시스템에서 수집하여 토성, 토양 pH, 유기물함량, 유효인산, 교환성 양이온 및 전기전도도 특성을 비교하였다.
남원읍 지역의 주요 토성은 미사질식양질 토양으로 63%가 분포되었으며, 조천읍 지역은 미사식양질과 역질 토양이 각각 41.53% 및 32.59% 이었다. 남원읍 지역의 토양 pH는 평균 4.9였고, pH 5.0 이하가 420개 지점으로 63.9%를 차지하였으며, 조천읍 토양의 평균 pH는 5.3이었으며, 신흥리 지역의 토양 pH는 7.9 ~ 8.4로 매우 높았다. 남원읍 지역 토양의 유기물함량은 20 g kg^(-1) 이하의 토양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이는 한국토양정보시스템의 시료 선정과정에서 유기물함량이 낮은 토양의 결과를 수집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남원읍 지역 토양의 유효인산 함량은 전체조사지점의 51%가 200 mg kg^(-1) 이하 범위에 있었고, 조천읍 지역에서는 45.8%가 401 mg kg^(-1) 이상이었다. 교환성 K의 평균 함량은 남원읍과 조천읍지역이 각 각 1.2 cmol^(+) kg^(-1) 및 1.3 cmol^(+) kg^(-1) 로 비슷하였는데, 남원읍 토양의 39.3%, 조천읍 토양의 34.5%가 적정 범위에 속하였다. 교환성 Ca은 남원읍 토양이 3.9 cmol^(+) kg^(-1) 으로 조천읍의 6.3 cmol^(+) kg^(-1) 보다 낮았으며, 두 지역 모두 5 cmol^(+) kg^(-1) 이하인 토양이 70% 내외를 나타내었다. 교환성 Mg 함량은 두 지역 모두 평균 1.6 cmol^(+) kg^(-1)로 적정범위인 1.2 ~ 2.0 cmol^(+) kg^(-1) 범위에 있었으나, 지역 및 조사지점별로 차이가 많았다. 남원읍과 조천읍의 전기전도도는 각각 74.3% 및 76%가 적정범위 2 ds/m보다 낮았으며, 5 dS m^(-1) 이상인 토양이 남원읍은 6.6%, 조천읍은 3.3%로 두 지역 모두 염류집적의 문제는 나타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 Namwon and Joceon areas about soil texture, soil pH, soil organic matter, available phosphate, exchangeable cations and electrical conductivity by collecting 557 soils data of Namwon area and 939 of Jocheon area. Namwon area is suitable for cultivating mandarin, having lots of volcanic ash soil and Jocheon area is suitable for cultivating horticulture crop, having lots of non-volcanic ash soil.
Silty clay loam accounted for 63% of soil in Namwon area. And in Jocheon Area, the soil consisted of 41.5% of Silty clay loam and 32.59% of Gravel. The average of soil pH in the Namwon area was 4.9, the number of soils below pH 5.0 is 420 accounting for 63.9%. The average of soil pH in the Jocheon area was 5.1. There were numberous soil Namwon area which organic content below 20 g kg^(-1) because Korea soil information system took low organic content soil when collecting samples. Available phosphate in the 51% of Namwon area was below 200 mg kg^(-1) and in the 45.8% of in the Jocheon area over 401 mg kg^(-1). The average content of exchangeable K in Namwon area and Jocheon area was 1.2 cmol^(+) kg^(-1)and 1.3 cmol^(+) kg^(-1), respectively and 39.3% of the soil of Namwon area and 34.5% of the soil of Jocheon area showed appropriate range of crop cultivation. The content of exchangeable Ca in Namwon area(3.9 cmol^(+) kg^(-1)) is lower than that of Jocheon area(6.3 cmol^(+) kg^(-1)). The content of exchangeable Mg in both areas is 1.6 cmol^(+) kg^(-1) which is within appropriate range however, but there were many differences with sampling sites. For electrical conductivity, 74.3% of the soil of Namwon area and 76% the soil of Jocheon area are below 2 dS m^(-1). It was not expected that there will be salt accumulation problem because the 6.6% of the soil of Namwon area and 3.3% the soil of Jocheon area over 5 dS m^(-1).
Author(s)
한기완
Issued Date
2009
Awarded Date
2009.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632
Alternative Author(s)
Han, Ki-wan
Affiliation
제주대학교 산업대학원
Department
산업대학원 생명산업공학과
Advisor
현해남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 1
Ⅱ. 재료 및 방법 = 3
1. 조사지역 = 3
2. 조사 방법 = 4
Ⅲ. 결과 및 고찰 = 5
1. 토성 = 5
2. 토양화학성 = 9
1) 토양 pH의 범위별 분포 = 9
2) 유기물함량의 범위별 분포 = 14
3) 유효인산함량의 범위별 분포 = 19
4) 교환성양이온의 범위별 분포 = 24
5) 전기전도도의 범위별 분포 = 29
Ⅳ. 적요 = 33
Ⅴ. 참고문헌 = 34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산업대학원
Citation
한기완. (2009). 제주도 남원읍과 조천읍 밭토양의 물리화학적 성질 비교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Industry > Environmental Biotechnolog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