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제주도 함덕연안 각망어업에 관한 기초적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Basic Study on the Pound Net With Out Fyke Net Fishery in Hamdeuk Fishing Ground off Jeju Island in Korea
Abstract
제주도 정치망어업에 대한 어업권 현황을 조사?분석하여 면허 건수 및 면적 변천과 이를 통한 어구?어법의 도입 배경과 변천 등에 대하여 조사하였고, 또한 제주도 북쪽연안의 함덕리 각망 어장을 표본으로 선정하여 함덕 어촌계에서 처음 면허를 신청 받은 1985년 이후인 조업을 시작한 1986년부터 2004년까지 19년간의 어획된 조업일지를 정리 분석하여 어획량, 종조성, 어기, 어가에 대한 변동요인을 분석하였다.
1. 제주도 정치망어업 면허에 대하여 법적 명칭으로 등록된 최초 시기는 1972년이며 2005년까지 등록된 어구종류는 각망, 소대망, 대모망(개량 대모망)이다. 각망의 최초등록은 1972년 4월에 북제주군 한림읍 귀덕1리, 귀덕2리 어촌계 2건(1㏊)건이며, 소대망은 1986년에 남제주군 남원읍 위미1리 어촌계에서 1건(3㏊), 대모망은 1987년에 북제주군 한림읍 비양도지선에 개인명의로 1건(20㏊)이다.
2. 2005년 현재 제주도내 정치망어업의 면허건수는 총 60건(136.2㏊)으로 각망이 52건(102.3㏊), 소대망이 6건(17.9㏊), 대모망이 2건(23㏊)으로 각망이 전체의 87%를 차지하였다. 지역별로는 북제주군이 42건(93㏊), 남제주군이 11건(33㏊), 서귀포시 5건(15㏊), 제주시 2건(3.9㏊)으로 북제주군이 전체의 70%를 차지하였다.
3. 함덕 연안 각망 어업에서 19년간 잡힌 총 어획량은 1,685M/T이었다. 이중 전갱이가 전체의 57.7%를 차지하였다. 다음으로는 고등어가 35.6%, 독가시치가 1.9%, 창꼴뚜기가 1.2% 순으로 나타났으며, 그 외 기타어종은 전체의 어획량에 0.1%미만이었다. 따라서 전갱이와 고등어가 전체 어획물 어획량의 93.3%를 차지하였다.
4. 어획량의 변동 추이는 1986년에 약 4.9M/T인 최저의 어획량을 보였고, 이듬해인 1987년에는 급상승하여 87.7M/T으로 100M/T에 근접하는 어획수준을 보이다가 1991년에 163.1M/T, 2000년에는 어획량이 급속히 증가하여 209.5M/T 수준으로 가장 높은 어획량을 나타내었다.
양망당단위노력당어획량(CPUE) 변동추이를 보면, 1991년에 1,456kg으로 증가하였지만, 이후 증감을 반복하다가 1998년부터 서서히 증가하기 시작하여 2000년에는 2,200kg으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5. 월별 어획비율은 정치망 조업시기인 4월~12월중 전갱이, 고등어는 조업기간의 전반적으로 높은 어획비를 보였지만, 10~12월이 가장 높았다. 독가시치, 잿방어는 8월, 부시리는 6월, 창꼴뚜기는 8월, 흰꼴뚜기는 4월이 가장 높은 어획 비율을 보였다.
6. 함덕 연안 각망어업에서 생산된 어획고의 조성비는 전갱이가 전체의 어획고에서 30%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고등어가 19%, 독가시치가 16%, 창꼴뚜기가 13%, 부시리가 9%, 흰꼴뚜기가 4%, 잿방어가 3%, 기타어종이 7% 순으로 나타나 고등어, 전갱이가 어획고 전체의 5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7. 함덕 정치망에서 어획되는 19년간의 주요어종에 대한 평균 단가(㎏당)변동 을 보면, 창꼴뚜기는 7,744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 순으로는 부시리가 6,871원, 흰꼴뚜기가 6,461원, 독가시치가 5,615원 잿방어가 4,332원, 전갱이가 342원, 고등어가 318원 순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researched the number of license and changes in area, through which, background of introduction and change of fishing implements and fishing, as analyzing the current state of fishery right for Jejudo set-net fishery. In addition, as selecting Stationary net of rectangular shape in Hamdeuk fishing ground located at northern coast of Jejudo as a sample, classifying 19 years of fishery diary drawn up from 1986 starting fishing, since 1985 when Hamdeuk fishing ground first acquired license, to 2004, the study analyzed variable factors for a fish catch, species formation, fishing season and fishery households.
1. Jejudo set-net fishery license was first registered as legal title in 1972. The kind of fishing implements registered up to 2005 are Pound net with out fyke net, Small pound net rectangular shape, and Large stationary net of oblong shape (improved). The first registration of Pound net with out fyke net was in April, 1972, at Guideok 1-ri, Halim-eup, Bukjeju-gun, and at Buideok 2-ri (1㏊), Small pound net rectangular shape was at Wimi 1-ri, Namwon-eup, Namjeju-gun (3㏊), in 1986, and Large stationary net of oblong shapewas registered in individual name, at Biyando feeder line, Halim-eup, Bukjeju-gun (20㏊), in 1987.
2. As of 2005, the total number of license of set-net fishery in Jejudo is sixty (136.2㏊), amid which Pound net with out fyke net are fifty-two (102.3㏊) covering 87% of total, followed by six cases of Small pound net rectangular shape (17.9㏊), two cases of Large stationary net of oblong shape (23㏊). As classifying into region, Bukjeju-gun has 42 cases (93㏊) covering 70% of total, followed by 11 cases in Namjeju-gun (33㏊), 5 cases in Seoguipo-si (15㏊), 2 cases in Jeju-si (3.9㏊).
3. Total catch of marine resources caught in Pound net with out fyke net in Hamdeuk fishing ground was 1,684,53㎏. Amid them, Horse mackerel covered 57.7%, followed by common mackerel 35.6%, Rabbit fish 1.9%, Swordtip squit 1.2%, and other fish species were less than 0.1% of total taking. Accordingly, Horse mackerel and common mackerel took up 93.3% of total catch.
4. In regard to the change in fish catch, the lowest taking, about 4.9M/T, was recorded in 1986, and the next year, 1987, fish catch rising rapidly reached 87.7M/T adjacent to 100M/T, in 1991 recorded 163.1M/T, in 2000 the haul of fish rapidly increased and recorded highest taking up to 209.5M/T.
In regard to the change in CPUE, in 1991, it increased to 1,456kg exceeding 1,000 tons, hereafter, increase and decrease were repeated, starting 1998, it started gradually increasing, in 2000 it reached 2,200kg, the highest value.
5. In regard to the taking ratio by month, from April to December, fishing season of set-net fishery, Horse mackerel and common mackerel showed generally high ratio of taking, but highest record from October to December. Rabbit fish and Rudderifish in August, Giant yellowtail in June, Swordtip squit in August, and Big fin reef squit was caught most in April.
6. In regard to composition ratio of a haul produced in Pound net with out fyke net in Hamdeuk fishing ground, the ratio of Horse mackerel was 30%, the highest record amid total haul of fish, followed by common mackerel 19%, Rabbit fish 18%, Swordtip squit 13%, Giant yellowtail 9%, Big fin reef squit 4%, Rudderifish 3%, sea breams 2%, and other fish species 4%, consequently the haul of common mackerel and Horse mackerel covered 50% of total taking.
70. In regard to the order of change in mean unit cost (per kg) of major fish species in Pound net with out fyke net in Hamdeuk fishing ground, Swordtip squit was 7,744 won, the highest mean unit cost, followed by Giant yellowtail 6,871 won, %, Big fin reef squit 6,461 won, Rabbit fish 5,615 won, Rudderifish 4,332 won, Horse mackerel 342 won, and common mackerel was 318 won.
Author(s)
김태완
Issued Date
2007
Awarded Date
2007.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951
Alternative Author(s)
Kim, Tae­-Wan
Affiliation
제주대학교 산업대학원
Department
산업대학원 해양생산학과
Advisor
서두옥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 1
Ⅱ. 제주도 정치망의 일반현황 = 5
1. 면허어업의 정치망 어업제도 법적 명칭 변천 = 5
1) 법적 개요 = 5
2) 최초로 규정된 어업명칭 = 5
3) 정치망 어업의 법적 명칭 변천 = 6
2. 자료 및 방법 = 7
3. 결과 및 고찰 = 8
1) 제주도 정치망 연도별 어구종류별 면허 건수 및 면적 현황 = 8
2) 2005년 제주도 정치망 어업권 현황 = 11
3) 제주도 정치망 어구와 어법의 변천 = 15
(1) 호망(壺網) = 15
(가) 어구 = 15
(나) 어법 = 15
(2) 각망 = 17
(가) 어구 = 17
(나) 어법 = 21
(3) 소대망 = 25
(가) 어구 = 25
(나) 어법 = 26
(4) 대모망 = 29
(가) 어구 = 29
(나) 어법 = 33
Ⅲ. 제주도 함덕연안 각망 어업의 어획량 및 어가변동 = 39
1. 재료 및 방법 = 39
2. 결과 = 42
1) 각망어업의 어획량 변동 = 42
(1) 어획물의 종조성 = 42
(2) 연도별 어획량 변동 = 47
(3) 연도별 어종별 어획 비율 = 48
(4) 주요 어종별 연도별 어획량 변동 = 50
(5) 월별 어종별 어획 비율 = 53
(6) 주요 어종별 월별 어획량 변동 = 55
2) 각망어업의 어가 변동 = 57
(1) 어가에 대한 종조성비 = 57
(2) 주요어종에 대한 연도별 어가 변동 = 58
Ⅳ. 고찰 = 61
Ⅴ. 요약 = 65
Ⅵ. 참고문헌 = 67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산업대학원
Citation
김태완. (2007). 제주도 함덕연안 각망어업에 관한 기초적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Industry > Fisher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