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濟州地域 漁村契 活性化 政策에 關한 硏究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Fishing Fraternity Revitalization on Jeju Island
Abstract
본 연구는 현행 어촌계 제도 하에서 어촌계의 기능과 어촌계와 행정과의 관계 등 조직을 검토하고, 국내·외 어촌개발 사례 및 제주지역 어촌의 개발여건 등을 조사하여 어촌계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지역개발, 어촌계 제도, 어촌관광 개발에 관한 기존 연구보고서 및 논문 등의 문헌조사와 일선 어촌계장을 대상으로 어촌지역의 실태조사를 통하여 어촌개발의 제약요인 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제주특별자치도내 어촌지역의 문제점을 내부적 요인과 외부적 요인으로 요약하면, 내부적 요인으로는 첫째, 어촌관광 등의 사업을 추진할 경우 자체자금의 부족과 사업부지 확보에 어려움이 많은 실정이다. 둘째, 소득사업의 지원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어촌계에서 운영하는 소득사업은 주로 민박시설과, 수산물직판장, 식당이 주종을 이르고 있으나 관광객들이 체험활동을 할 수 시설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촌계는 마을에 비하여 재정형편이 열악하여 어촌계 운영에 애로가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외부적 요인으로는 첫째, 소득기반시설과 어촌관광자원의 부족한 것으로 조사됐다. 둘째, 어촌계에서는 어업인 소득사업인 수산종묘방류사업 등은 투자가 부족한 것으로 인식하여 사업비 확대 지원을 바라고 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어촌계 활성화 정책의 발전방안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촌주민에 대한 교육 확대가 필요하다. 어촌 주민의 관광개발에 대한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참여 의식과 관광개발에 대한 자신감을 고취하기 위하여 교육사업을 체계적으로 실시할 필요가 있다. 어촌활성화를 위한 교육기회의 제공은 소수 핵심적인 리더에 대한 교육과 아울러 어촌계 또는 마을의 자체교육으로 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유도할 때 교육효과는 크게 높아질 것이다.
둘째, 수산시설을 이용한 관광자원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수산시설은 훌륭한 관광자원이다. 인공어초시설을 이용하여 바다낚시터나 수중생태공원의 조성, 스킨스쿠버다이버의 활동장으로 조성하는 방안이다. 또한, 어항시설인 방파제에 안전시설을 설치하여 바다낚시터로 조성하거나 일부 어항구역에는 친수공간을 조성하여 시민의 휴식공간으로 제공하고, 해상 어류가두리 시설 중 일부를 이용하여 바다낚시터로 개발하는 방안을 들 수 있다.
셋째, 유어장 운영 활성화가 필요하다. 유어장 운영상 문제점으로 유어장 이용에 대한 이용자와의 요금징수에 대한 불필요한 마찰의 발생과 숙박, 어촌체험, 이벤트 등 육상 활동과 연계한 프로그램의 부재, 홈페이지 등을 이용한 홍보의 부재 등이 나타나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운영자의 경영마인드 제고, 유어장 홈페이지 활성화, 어촌계 구성원 중심의 전문인력 양성, 유어장내 어류자원보호 방안 강구, 유어장 편의시설의 체계적 운영 관리와 육상프로그램의 강화 등 전략이 필요하다.
넷째, 어촌체험학습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어촌관광은 관광객이 직접 어촌을 방문하여 직접 보고, 느끼고, 만들어 볼 수 있도록 한다는 측면에서 체험적 요소를 포함한다. 특히 어촌에서 손쉽게 즐길 수 있는 바릇잡이 체험, 고망낚시 체험, 정치망 그물 올리기 체험, 원담에서 고기잡기 체험 등 여러 가지 체험어업의 메뉴를 발굴하여 어업체험 프로그램을 활성화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어촌계운영 활성화를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 어촌계장은 행정, 수협 등과의 유기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각종 어촌계 단위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나 마을에 비하여 대우가 열악하여 사명감이 저하되고 있는 실정임으로 어촌계장의 처우개선을 통한 사명감 고취와 수산시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어촌계 운영비를 지원할 수 있는 법·제도적 마련이 필요하다.
여섯째, 영등굿 등 어촌문화 자원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어촌 문화자원의 체계적인 발굴은 어촌관광 활성화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영등굿 등의 관광자원화 방안은 행사장소의 확보와 수석 심방에 대한 기능보유자 등록 지원, 행사비용의 지원을 충족시키면서 소규모 영등굿 전시관 건립, 지역축제와 연계한 굿의 재현 등 실행 프로그램이 병행되어야 한다.
일곱째, 관광기반시설의 확충이 필요하다. 어촌관광개발을 위해서는 도로, 주차장, 쓰레기 처리장 등의 기반시설 확충이 필요하다. 지역사회의 입장에서는 기반시설의 확충은 자체적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관광개발의 전제조건으로 인식되므로, 어촌관광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공공부문에서 사회기반시설의 확충에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어촌지역 리더의 육성과 지원이 필요하다. 어촌지역 리더를 육성하기 위한 교육과정은 기존 어업중심의 교육에서 탈피하여 어촌주민에게 비전과 희망을 제시하고 어촌주민이 어촌활성화에 적극 참여하도록 이끌 수 있는 자질을 계발하는 교육과정이 개설되어야 한다. 어촌지역 리더의 육성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교육기관의 활용, 자발적인 참여 교육, 사후평가시스템 도입 및 지속적인 인적자원관리 등 지원방안을 강구하여야 한다.
이런 결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제주특별자치도내 다른 지역이나 정책당국자까지 의견을 듣지 못하고 어촌계만을 대상으로 하여 교차분석 없이 단순 빈도 분석에 그쳤다는 한계를 갖고 있다. 그리고 어촌계 활성화 정책의 발전방안을 제시하는 수준에 머물러 앞으로 어촌지역의 활성화를 위한 구체적인 시행방안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the potential possibility and development measures of fishing villages as a means of fishing fraternity revitalization. I took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study from previous national and international literature on the development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and the spatial scope of the study is limited to fishing fraternities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JSSP). With a survey sent to the public officials who are currently in charge of the Fishing Village Section, I found out the obstacles for the development of fishing villages and then provided the countermeasures for fishing fraternity revitalization.
The analytical frame for the study consists of the internal and external resources for fishing fraternities. For the internal resources side, I looked into the capability of residents, physical infrastructures, and management systems for fishing fraternities. For the external resources side, I examined the necessity of new tourism resources and the support and cooperation system for them.
According to the survey, the problems of fishing fraternities in JSSP are divided into two types of factors, internal factors and external factors. For the internal factors, first, the fishing villages do not have enough funds and real estate to allow them to run tourism for themselves. Second, the assistance from the local government, to increase the income for fishing villages, is very small. Even though their major income comes from renting pensions, selling marine products or running restaurants, the participatory programs for visitors are not numerous enough. Third, fishing villages have much more difficulty in keeping fraternities because their financial conditions are far worse than that of non-fishing villages.
For the external factors, first, there is a lack of infrastructure for income improvement and tourism resources. Second, from the viewpoint of fishing fraternities, fishing villages want to increase funding support for fishery-seed discharging businesses.
Based on the results, the development measures for fishing fraternities can be summarized as:
● First, education for fishing village residents should be increased.
● Second, a measure for utilizing fishery facilities as tourism resources should be prepared.
● Third, the revitalizing of fishing areas for tourists is needed.
● Fourth, participatory programs for tourists should be developed.
● Fifth, more support for fishing fraternities should be provided.
● Sixth, an effort should be made to turn traditional Jeju fishing-village ceremonies, such as Yongdung-goot (an annual shamanistic ceremony honoring the god of the sea), into tourist attractions.
● Seventh, the tourism infrastructure should be expanded.
● Lastly, leaders for fishing villages should be cultivated and more support for them should be given.
This study merely presents the countermeasures for fishing fraternity revitalization. Therefore, a follow-up study is required to provide detailed action plans for the above-mentioned countermeasures.
Author(s)
박태희
Issued Date
2009
Awarded Date
2009.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657
Alternative Author(s)
Park, Tae-Hee
Affiliation
제주대학교 행정대학원
Department
행정대학원 행정학과
Advisor
김성준
Table Of Contents
제1장 서론 = 1
제1절 연구의 목적 = 1
제2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 2
제2장 이론적 배경 = 4
제1절 지역개발 = 4
제2절 어촌지역개발 정책 = 9
제3절 선행연구 검토 = 23
제4절 연구분석의 틀 = 28
제3장 제주지역 어촌의 현황 및 실태분석 = 29
제1절 어촌계 현황 = 29
제2절 조사의 설계 및 분석 = 30
제3절 문제점 및 시사점 = 35
제4장 국내·외 어촌사업 및 어촌개발정책 사례분석 = 37
제1절 국내사례 = 37
제2절 국외사례 = 65
제3절 사례의 시사점 = 73
제5장 제주지역 어촌계 활성화 정책의 발전방안 = 75
1. 어촌 주민의 역량강화 = 75
2. 어촌 물적 기반의 확충 = 77
3. 어촌계 관리운영의 강화 = 79
4. 신 관광자원의 융합 및 개발 필요성 = 82
5. 지원 및 협조체제의 강화 = 84
제6장 결론 = 86
참고문헌 = 89
ABSTRACT = 93
부록 = 95
부록 1 어촌지역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설문조사표 = 95
부록 2 어촌계 정관(예) = 100
부록 3 어촌계정관 부속서 임원선거규정(예) = 116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행정대학원
Citation
박태희. (2009). 濟州地域 漁村契 活性化 政策에 關한 硏究
Appears in Collections:
Public Administration > Public Administr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