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제주지역 여성소비자의 친환경농산물 이용현황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Use Status of and Satisfaction with Environmental-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by Female Consumers in Jeju Area : Focused on Consumers Using Specialty Shops for Environmental-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Abstract
이 연구는 제주지역 친환경농산물 전문매장을 이용하는 여성소비자의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이용현황 및 만족도를 파악하여 고품질의 안전한 농산물이 생산?공급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 소비의 저변확대를 돕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주지역 친환경농산물 전문매장을 이용하는 여성소비자 424명을 대상으로 친환경농산물 이용현황 및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차이는 χ2검증과 t-test,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집단간 차이검증은 쉐페의 다중범위검증(Scheffe's multiple renge test)으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제주지역 친환경농산물 전문매장을 이용하는 여성소비자가 주로 구입하는 친환경농산물의 종류는 엽채류, 과일류, 곡류/잡곡류였다. 월 식료품비 중 친환경농산물 구입비가 차지하는 비율은 20%미만이 57.0%였고, 주 1회 이상 전문매장을 이용하는 여성소비자는 42.0%로 나타났다.
둘째, 제주지역 친환경농산물 전문매장을 이용하는 여성소비자는 친환경농산물이 일반농산물과 비교하여 품질이 우수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49.8%가 농약과 비료의 사용량에서 차이가 있다고 하였다. 친환경농산물을 선호하는 이유로는 유해물질이 적고 건강에 좋으므로가 88.9%로 나타났다.
셋째, 제주지역 친환경농산물 전문매장을 이용하는 여성소비자는 안전성에 대한 만족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신선도, 맛, 색깔, 모양, 다양성, 판매자, 전문매장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만족하고 있었으나, 가격에 대해서는 만족수준이 낮게 나타났다.
넷째, 친환경농산물 전문매장을 만족하는 이유로는 친환경농산물 및 전문매장을 신뢰하므로가 67.3%로 나타났고, 불만족하는 이유로는 가격이 비싸고 다양한 제품이 없기 때문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친환경농산물의 소비촉진을 위해 믿을 수 있는 생산자와 제조회사의 확립, 가격 인하, 품질 향상, 구매 장소의 다양화, 품질인증 표시제도의 강화,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홍보 강화가 필요하다고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제주지역 친환경농산물 전문매장을 이용하는 여성소비자는 안전성에 대한 만족수준은 높게 나타났으나, 가격에 대한 만족수준은 낮게 나타났다. 이는 높은 판매가격에 대해 불만족하는 것으로 소비확대를 위해서는 비록 친환경농산물이 차별성과 특수성을 지니고 있더라도 생산비 인하와 유통비용의 절감에 의한 가격인하가 필요하다. 또한 소비자가 판매가격을 이해하고 부담을 적게 느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가격 책정 근거를 공개할 필요가 있으며 가격조사를 통한 정보제공이 필요하다.
둘째, 친환경농산물과 전문매장을 신뢰하기 때문에 전문매장을 만족하고 있었고, 가격이 비싸고 다양한 제품이 없기 때문에 불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소비자 신뢰 제고를 위해서는 인증제도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와 친환경농산물 진위여부를 판별하는 객관적인 자료 제공이 필요하다. 또한 질적, 외형적 상품성 향상과 친환경농산물을 이용한 다양한 가공제품의 상품화에 대한 노력과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친환경농산물의 소비촉진을 위해 믿을 수 있는 생산자와 제조회사의 확립, 가격 인하, 품질 향상, 구매 장소의 다양화, 품질인증 표시제도의 강화,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홍보 강화가 필요하다고 나타났다. 생협 및 특정한 매장을 통해서만 구입할 수 있는 지금 현황에서는 지역 가까운 소매상을 통해서도 친환경농산물을 쉽게 구입할 수 있는 유통시스템이 필요하다. 생산지를 직접 소비자들이 현장 방문하는 도농간 연대나 생협 등의 단체를 통한 직거래 운동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제주지역 친환경농산물 전문매장을 이용하는 여성소비자를 대상으로 조사하여 일반소비자와 비교할 수 없었던 점을 안타깝게 생각하고 향후 연구에서는 일반소비자와의 비교분석을 통해 보다 많은 대상자와 연령층과의 비교분석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has the purpose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program development to suggest a way for high quality safe agricultural products to be produced and supplied and help the base expansion of consumption class by understanding use status of and satisfaction with environmental-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by female consumers using specialty shops for environmental-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in the Jeju area to utilize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environmental-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In order to accomplish this study purpose, 424 female consumers who use specialty shops for environmental-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in the Jeju area were selected for the analysis of use status of and satisfaction with environmental-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by using χ2 verification t-test and, one-way ANOVA. The differences verification between groups were analyzed by Scheffe's multiple range test.
The major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
First, the types of environmental-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mainly purchased by the female consumers who were using the specialty shops for environmental-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in the Jeju area were leafy vegetables, fruits, grains and minor grains. Out of the monthly articles of food, the ratio of the environmental-friendly product purchase was below 20% and most of the female consumers use it more than once a week.
Second, it was recognized that compared to general agricultural products, the environmental-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has superior quality and there are differences in agricultural chemicals and their amount used. In addition, they were preferred due to less harmful substances and healthy.
Third, the female consumers using the specialty shops for the environmental-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showed high satisfaction with safety. They were satisfied to some degree with freshness, taste, colors, shapes, variety, sellers and specialty shops but their satisfaction with prices were low.
Fourth, the reason why satisfaction with the specialty shops for the environmental-friendly products was mad in the area was trust in environmental-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and the reasons why dissatisfaction with them was created in the area were high prices and not various products.
Fifth, the prospects for the environmental-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are rather bright and many female consumers replied that they would increase purchase of the environmental-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in the future. It was found that establishment of producers and manufacturers reliable to promote consumption of the environmental-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price reduction, quality improvement, variety of purchase places, reinforcement of quality certification indication system and public relations' reinforcement for environmental-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are necessary.
I would like to suggest the following based on the above study results.
First, they were doubtful of the environmental-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and dissatisfied with the high selling prices. Positive public relations for consumer trust raise and objective information provision to judge truth or falsehood of the environmental-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are requested. Furthermore, the grounds on the price settlement need to be publicized and the efforts and support for qualitative and exterior product value improvement and market opening are requested.
Second, consumers recognized the environmental-friendly products as an agricultural method that thinks health and environment. For convenience security to easily purchase the environmental-friendly products, promotion activities for distribution and sale should be reinforced. Through groups like consumers' cooperative associations, support to install small-scaled shops for local consumers to easily approach environmental-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are required.
Third, educational activities for producers and consumers are necessary. As for producing farmhouses, consistent education for production technology support is necessary and education for consciousnes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preservation and national health is requested. In addition, for consumers, education for environmental-friendly agricultural consciousness and farm village's environmental preservation and national health management should be performed through consumer groups and Nonghyup.
This study focused the female consumers using the environmental-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in the Jeju area and because the whole consumers in the Jeju area were not surveyed, sampling is not systematic so that it is necessary to be careful to generalize the study results.
Author(s)
박지윤
Issued Date
2007
Awarded Date
2007.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036
Alternative Author(s)
Park, Ji-Yun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Advisor
김정숙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 3
1. 친환경농업과 친환경농산물 = 3
2. 친환경농산물의 분류 = 6
3. 친환경농산물의 생산 = 9
4. 친환경농산물의 유통 = 11
1) 친환경농산물의 유통현황 = 11
2) 친환경농산물 유통의 특징과 문제점 = 14
5. 친환경농산물의 소비 = 15
6. 선행연구고찰 = 17
Ⅲ. 연구 문제 및 연구 방법 = 19
1. 연구 문제 = 19
2. 연구 방법 = 19
1) 측정 도구 = 19
2) 조사 대상 및 자료 수집 = 21
3) 자료 분석 방법 = 21
Ⅳ. 분석결과 및 논의 = 22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 22
2. 친환경농산물의 이용현황 = 24
1) 구입 친환경농산물의 종류 = 24
2) 월 식료품비 중 친환경농산물 구입비가 차지하는 비율 = 25
3) 친환경농산물 전문매장의 이용횟수 = 26
3.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인식 = 27
1) 친환경농산물과 일반농산물의 차이에 대한 인식 = 27
2) 친환경농산물의 품질에 대한 인식 = 29
3) 친환경농산물의 선호이유 = 30
4.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만족도 = 31
1) 친환경농산물의 품질에 대한 만족도 = 31
2) 친환경농산물 판매자에 대한 만족도 = 33
5.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전망 = 35
1) 친환경농산물의 향후구입의사 = 35
2) 친환경농산물의 전마에 대한 인식 = 36
3) 친환경농산물의 소비촉진을 위한 개선점 = 37
Ⅴ. 결론 및 제언 = 38
참고문헌 = 41
Abstract = 44
부록 = 47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박지윤. (2007). 제주지역 여성소비자의 친환경농산물 이용현황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Social Education > Natural and Cultural Heritage Educati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