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제주지역 초등학생의 식생활 실태 및 영양지식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Dietary Life and Nutrition Knowledg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Jeju
Abstract
본 연구는 제주지역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식생활 실태, 식행동 및 영양지식에 관한 실태를 조사·분석함으로써 학령기 아동의 바람직한 식습관 형성을 위한 영양교육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제주지역 초등학생 852명을 대상으로 2007년 12월 26일부터 12월 30일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SPSS Win Program(Ver.12.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량, χ2-test, t-test, ANOVA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의 비만도에 의한 체중군 분포에 있어서는 정상체중군(48.6%)이 가장 많았고, 저체중군(27.6%), 과체중군(12.6%), 비만군(11.3%)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남학생의 비만율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둘째, 조사대상의 식생활 실태에 있어서는 시간이 없어서 아침식사를 거르는 학생(24.1%)들이 가장 많았고, 과체중 및 비만군 학생들의 간식횟수가 정상 및 저체중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적게 나타났다.
셋째, 조사대상의 편식실태에 있어서는 여학생(33.6%)이 남학생(28.8%)보다 콩류에 대한 편식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신의 편식습관에 대한 아동들의 인식에 있어서는 '고쳐야 한다'의 경우 영양 교육을 받은 학생의 비율(67.9%)이 영양교육을 받지 않은 학생들의 비율(61%) 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넷째, 조사대상의 일반사항에 따른 식행동 점수는 부모 및 조부모와 함께 살고 있는 학생들의 점수(45.4점)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어머니가 식사를 준비해 주는 학생들의 점수(44.7점)가 가장 높았다.
다섯째, 조사대상의 식생활 실태에 따른 식행동 점수에 있어서는 외식을 한달에 1번 정도 하는 학생들의 식행동 점수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패스트푸드를 선호하는 학생들, 가려먹는 음식이 많은 학생들과 채소류를 편식하는 학생들의 식행동 점수가 유의적으로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여섯째, 조사대상의 영양지식점수는 총 26점 만점에 대해 남학생(18.4점)에 비해 여학생(19.4점)의 점수가 유의적으로 높았고, 6학년(19.2점)이 5학년(18.3점) 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도시 거주 학생들의 점수(19.1점)가 농촌 거주 학생들(18.4점)에 비해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일곱째, 조사대상의 식생활 실태에 따른 영양지식 점수에 있어서는 아침식사와 저녁식사를 매일 먹는 학생들, 점심식사와 저녁식사 사이에 간식을 하는 학생들과 '편식습관은 고쳐야 한다'고 응답한 학생들의 점수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한편, 편식하는 식품에서는 '김치류'라고 응답한 학생들의 점수(17.5점)가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여덟째, 각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영양지식점수와 균형적인 식행동 점수, 규칙적인 식행동 점수, 건강관련 식행동 및 생활습관 점수, 식행동 총점 평균, 나의 체격도와 체중군분포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한편 여학생의 경우에만 체중만족도와 체중군분포, 나의 체격도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조사대상 학생들은 아침·저녁 결식, 편식 등의 식생활 실태에 있어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영양지식 점수가 높을 수록 식행동 점수가 높음을 알 수 있어 이를 반영한 영양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보급됨으로써 학령기 아동들을 위한 학교 영양교육이 활성화될 수 있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In this study, by surveying and analyzing the factual elements in the dietary life, dietary behaviors and nutrition knowledges for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Jeju region, we were to provide a fundamental data for coming up with a measure for the nutrition education for desirable dietary behaviors in those studying age students.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a survey for 852 elementary school children from Dec. 26, to Dec. 30, 2007, using SPSS Win Program(Ver.12.0) and χ²-test, t-test, ANOVA.
The summary of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distribution of weight groups based on the obesity, the normal weight group(48.6%)was the most prominent, followed by lower weight group(27.6%), overweight group(12.6%) and obese group(11.3%).
Second, in the dietary life, the case of skipping breakfast for the limitation of time were most prominent(24.1%); the frequency of taking snacks in the overweight and obese groups were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with the normal and lower weight groups.
Third, in the unbalanced dietary behavior, female students(33.6%) showed a higher level than the male(28.8%) that were unbalanced dietary about beans; in the recognition of the unbalanced dietary habit by the students, positive opinions about 'to be fixed' were more frequently presented by the educated students(67.9%) than those not.
Fourth, for the scores of dietary behavior according to the general properties of those surveyed, the students who were staying with their parents and grand parents indicated higher level(45.4); the kids whose meals were prepared by their mothers showed the highest level(44.7).
Fifth, in the scores of dietary behavior based on the dietary life, the students having one time of eating out a month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level. The scores between students who preferred the fast foods, were picky in having foods, and biased to vegetables showed a significantly lower level of scores.
Sixth, from the perfect score of 26 points in the nutrition knowledge, the female students(19.4) indicated higher level than the male counterparts(18.4); sixth grade(19.2) than fifth grade(18.3); and urban students(19.1)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 than the rural students(18.4).
Seventh, in the scores of nutrition knowledge according to the dietary life, the highest level was found in those students who were having their breakfasts and dinners everyday, snacks between lunch and dinner, and who presented a response with the opinion that the picky eating should fixed. Meanwhile, a significantly higher scores(17.5) were found in those students who answered 'Kimchi' to the question asking the foods preferred in a unbalanced diet.
Eighth, when it comes to the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s between each parameters, positive correlations were suggested between the scores of nutrition and balanced dietary behavior, regular dietary behavior, health-wise dietary behavior and life habits, mean values of the total scores of dietary behavior, body sizes and distribution of weight groups. Meanwhile, only the female students indicated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satisfactions with weights and distribution of weight groups, and age-based body sizes.
The above results come down to a conclusion that the students surveyed had some problems with their dietary lives in terms of skipping of breakfast and dinner, or unbalanced diet; the higher level of nutrition knowledge scores showed also higher scores of dietary behavior, which suggested it was necessary to develop and disseminate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reflecting the above results as a measure to vitalize the activities of the school authorities in the nutrition education for the studying age individuals.
Author(s)
양영순
Issued Date
2009
Awarded Date
2009.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522
Alternative Author(s)
Yang, Young-Soon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영양교육
Advisor
채인숙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 1
Ⅱ. 이론적 = 배경
1. 학령기 아동의 영양 = 3
2. 학령기 아동의 식생활실태 = 5
3. 학령기 아동의 식행동 = 7
4. 학령기 아동의 영양지식 = 9
Ⅲ. 연구내용 및 = 방법
1. 연구대상 및 기간 = 10
2. 연구내용 및 방법 = 10
1) 일반사항 및 신체계측 = 11
2) 식생활 실태 = 11
3) 식행동 = 11
4) 영양지식 = 12
3. 자료의 통계처리 = 12
Ⅳ. 연구결과 및 = 고찰
1. 일반 사항 및 체격 실태 = 13
1) 일반사항 = 13
2) 체격실태 = 15
(1) 신장, 체중 = 15
(2) 비만도에 의한 체중군 분포 = 16
(3) 일반사항에 따른 체격 인지도 및 체중만족도 = 16
2. 식생활 실태 = 18
1) 정규식사 = 18
(1) 식사 태도,식사시간 및 식사량 = 18
(2) 아침식사 실태 = 22
(3) 저녁식사 실태 = 24
2) 간식 실태 = 26
(1) 성별과 영양교육경험에 따른 간식 실태 = 26
(2) 체중군에 따른 간식 실태 = 27
3) 외식 실태 = 30
(1) 성별에 따른 외식실태 = 30
3. 식행동 = 32
1) 식행동에 대한 인식도 = 32
2) 편식실태 = 33
(1) 일반사항에 따른 편식정도 = 33
(2) 영양교육 경험에 따른 편식 실태 = 34
3) 식행동 실태 = 35
(1) 성별에 따른 식행동 실태 = 35
(2) 일반사항에 따른 식행동 점수 = 38
(3) 식생활 실태에 따른 식행동 점수 = 39
4. 영양지식 = 45
1) 영양지식 정보급원 = 45
2) 일반사항에 따른 영양지식 점수 = 45
3) 식생활 실태에 따른 영양지식 점수 = 47
(1) 아침 식사 및 저녁식사 실태에 따른 영양지식 점수 = 47
(2) 간식실태에 따른 영양지식 점수 = 48
(3) 편식 실태에 따른 영양지식 점수 = 48
5. 각 요인별 상관 관계 = 50
Ⅴ. 결론 및 제언 = 52
참고문헌 = 55
부록 제주지역 초등학생의 식습관 및 영양지식 조사 = 60
ABSTRACT = 68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양영순. (2009). 제주지역 초등학생의 식생활 실태 및 영양지식에 관한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Nurtition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