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제주특별자치도 중학교 가정실의 실내환경 및 시설·설비의 운영실태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Study on Indoor Environment and Management of Facilities and Equipments of Home Economics Practice Rooms of Middle Schools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bstract
1997년 제7차 교육과정이 시작되면서 새로운 교육목적과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다양한 교육시설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기술·가정과 교육은 실생활에 응용, 실천할 수 있도록 이론과 실습을 병행하는 교육으로서 실습 영역은 매우 중요한 부분이며, 실습 효과를 극대화 시키기 위해서는 현행 교육시설·설비 기준에 적합한 현대화된 시설·설비가 갖추어져야 한다. 그러므로 이 연구는 가정과 교육목적을 효율적으로 달성하고 가정과 교육의 효과를 증대 시킬 수 있도록 제주특별자치도 중학교 가정실의 실내환경 및 시설·설비 현황을 파악하여 가정실의 효율적 활용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현장조사와 설문조사를 채택하였다. 현장조사는 제주특별자치도내 중학교 41개교 중 10개교를 선정하여 2006년 8월 16일부터 9월 31일까지 온·습도, 조도, 교구실태를 조사하였고, 설문조사는 제주특별자치도 41개 중학교 기술·가정과 교사 95명을 대상으로 2005년 11월 1일부터 2005년 11월 23일까지 우편을 통해 조사하였다. 현장측정을 하면서 회수된 설문지들을 포함하여 총 95부중 64부가 회수되었으며 응답한 설문지 중 유효한 61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t-test, ANOVA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가정실의 보유 여부는 93.4%의 학교가 가정실을 보유하고 있다.
2) 가정실의 활용실태는 다른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 '가끔 있다'라고 하였으며, 용도는 학생활동 및 교육용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으며, 다른 용도로 사용하여도 수업방해에는 큰 지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 학기당 실습횟수는 평균 1-2회이며, 실습 1회당 실습시간은 평균 2시간, 실습을 가장 많이 하는 단원은 식생활 단원이다.
4) 가정실의 크기는 1칸(66㎡)-1.5칸(99㎡)이 가장 많으며 효율적 실습을 위한 가정실의 크기는 1.5칸(99㎡)-2칸(132㎡)을 가장 선호하였다. 가정실의 옆 교실에는 주로 특별교실이 있으며, 위치에 대한 만족도는 높은 편이다.
5) 가정실에서 수업을 할 때 가시적으로 느끼는 채광은 밝은 편이고, 평균조도는 점등시 1039.7lux, 소등시 365.8lux로 기준조도인 300lux에 비해 훨씬 밝으며 균제도는 불량하였다. 온도는 봄·가을철 온도는 적당하나, 여름·겨울철 온도는 적당하지 않다고 느끼고 있으며 냉난방시설이 미비하였다.
6) 작업대·개수대·가스대는 각각 따로 설치된 형태가 많았으며 이러한 형태는 비효율적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효율적인 작업대·개수대·가스대 형태로서는 작업대에 개수대와 가스대가 함께 설치된 형태를 선호하였다.
7) 환기 시설은 있는 곳보다 없는 곳이 많으며, 있는 곳은 벽면환기팬 형태가 많고, 환기정도는 보통이다.
8) 안전시설 보유여부는 화재경보기, 가스감지기, 소화기, 스프링쿨러, 비상구표시, 피난시 경로 표시는 없었으며, 소화기만 잘 갖추고 있어 안전시설은 전반적으로 미비하였다.
9) 가정실의 교구 보유율은 조리의 기초 영역이 56.5%, 의복마련과 관리 영역이 20.2%, 가족생활과 주거·자원관리와 환경 영역이 2.5%로 전체적으로 매우 낮은 보유율을 보이고 있다. 또한 교구 보유가 조리의 기초 영역에 편중되어 있어 조리실습외에 다른 실습은 교구부족으로 인하여 실습이 이루어지기 어려운 상황이다.
10) 가정실의 전체적인 실태 만족도는 인구사회학적 변인의 경우 연령과 성별형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실습운영 변인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실내환경변인은 환기시설 변인을 제외한 모든 실내환경 변인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그러므로 실내환경과 가정실 실태 만족도는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11) 가정실내 공간의 느낌에 대해서 여학교 교사들은 '좋다', '단순하다', '넓다', '아담하다'에 긍정적 반응을 보였으며 남학교 교사들은 '아담하다'에 긍정적 반응을 보였고, 남녀공학교 교사들은 '좋다', '단순하다', '환하다', '깨끗하다', '차분하다'에 긍정적 반응을 보였다.
이와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교사들은 가정실 크기에 대해 불만을 느끼고 있지만 가정실의 크기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없어 가정실 크기에 대한 기준이 필요하다. 둘째, 설문조사와 현장조사 결과 가정실의 여름·겨울철실내온도는 부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현재 각각 설치되어 있는 형태의 작업대, 개수대, 가스대 형태는 비효율적이다. 넷째, 환기시설을 갖추고 있는 곳은 많지만 환기는 잘 이루어지지 않아 환기시설이 미흡하다. 다섯째, 소화기 외에 다른 안전시설이 미비하므로 안전시설 확충이 필요하다. 여섯째, 교구보유율이 매우 낮으며 교구가 조리기초 영역에 편중 되어 있다. 일곱째, 실습시간 운영이 비효율적이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현재 제주특별자치도 중학교 가정실은 매우 낡고 낙후된 상태이다. 제7차교육과정의 성격에 맞으며, 일상생활수준에 준하는 현대화된 시설을 갖춘 가정과 실습실의 신축 또는 개축이 필요하다.
둘째, 제7차교육과정에서 가정과 실습분야는 각 영역별로 다양하며, 각 분야별 실습 교구를 갖추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현 실태는 많은 학교가 조리실습 위주로 교구를 갖추고 있어 가정실은 조리실습용 외에는 낮은 활용도를 보이고 있었다. 가정실의 활발한 활용을 위해 가정실에서 가정교과 모든 단원의 수업이 이루어질수 있도록 교과 성격에 맞는 교구·설비가 갖추어 져야 하며, 기술교과와 효율적인 연계 수업을 할 수 있도록 기술실과 가정실의 위치는 인접해 있어야 한다.
셋째, 가정실에서 수업을 할 때, 실습을 하기위해서는 교사들이 실습을 준비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그러나 짧은 쉬는 시간 안에 가정교사 혼자 실습준비를 모두 갖추기는 시간이 매우 부족하다. 가정교과의 효율적이고 원활한 수업운영을 위해서는 가정실 전담 보조교사가 필요하며 가정실옆에 준비실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Since the 7th curriculum began in 1997, various educational facilities have been needed to achieve the new education purposes and objectives. In particular, manual training and home economics education are very important in practical education as they company both theories and training. In order to maximize the effect of actual training, modernized facilities and equipments appropriate to current educational standard are necessary to be installed. Therefore the study examines indoor environment and status of facilities and equipments of middle-school home economics practice rooms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nd suggests effective methods to use the practice rooms in order to achieve efficiently and maximize educational effects of home economics education .
Study method employs on-site research and a survey. The on-site research was conducted about temperature, humidity, intensity of illumination, and status of teaching instrument in 10 out of 41 middle schools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from August 16 to September 31, 2006. Meanwhile, the survey was implemented by mail for 95 teachers in charge of manual training and home economics education in 41 middle schools in Jeju from November 1 to 23, 2005. 64 questionnaires out of total 95 were collected, including those collected during the period of on-site research. Finally, 61 questionnaires which were effective among the answered ones were used for analysis. Collected materials were analyzed with the SPSS Win.12.0 program for frequency, percentile, t-test, and ANOVA analysis.
Results are like followings;
1) 93.4% of the total middle schools have a home economics practice room.
2) Home economics practice room is 'often' used for a different purpose in most schools, in particular for student activities and for education. Being used for a different purpose seems not to affect the home economics class.
3) Actual training is being conducted once or twice per semester, on average, for 2 hours, in particular for the unit of dietary life.
4) Size of a home economics practice room is about 1 kan(66㎡) to 1.5kan(99㎡)in most cases, but preferred as about 1.5 kan(99㎡) to 2 kan(132㎡). In many cases, a home economics practice room is located beside a special classroom with high satisfaction on the location.
5) When having a class in a practice room, lighting seems bright in visual sights and average intensity of illumination is 1039.7lux on lighting and 365.8lux at dark, which are much brighter than baseline illumination of 300lux but with a low uniformity rate. Temperature is appropriate on Spring and Autumn, but not on Summer and Winter due to insufficient A/C and heating facilities.
6) A worktable, a sink and a cooking stove are separately installed in most cases, but the form is regarded as inefficient. For an effective form, they are preferred to be installed in one place together.
7) Many schools have no ventilation facilities and, if any, just wall ventilation fans. Thus, a degree of ventilation is normal.
8) Safety facilities are in general unprepared just with fire extinguishers. There are not installed with fire alarms, gas detectors, fire extinguishers, spring coolers, exit indicators, path indicators for evacuation.
9) Among teaching instruments of a home economics practice room, the middle schools equip with a basic area of 56.5%, a clothing and management area of 20.2%, and family life and housing, resource management, environment area of 2.5% with a very low rate in general. In addition, since retaining teaching instrument focuses on only a basic area of cooking, other practical training except cooking cannot be proceeded due to the lack of instruments.
10) In terms of overall satisfaction with the status of home economics practice rooms,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y age and sex in the category of the sociology of population. Bu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ractice operation. In the perspective of indoor environment, all indoor environments except ventilation facilities have significant effects. Therefore, it seems that indoor environment has close relations with the satisfaction with the status of home economics practice rooms.
11) About how to feel about the space inside a practice room, teachers in a girls' middle school positively respond saying like 'good', 'simple', 'large', 'cozy', etc. Teachers of coeducation say, 'good', 'simple', 'bright', 'clean', 'calm', etc. also with a positive response.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examined the following problems;
First, teachers have concerns on size of a home economics practice room, but there is no clear standard on the size. Thus, a standard about size of a home economics practice room needs to be set. Second, the temperature of a home economics practice room on Summer and Winter turns out not appropriate according to the survey and the on-site research. Third, a current form of deploying a worktable, a sink, and a cooking stove is inefficient. Fourth, many places equip with ventilation facilities, which are not well working. Fifth, other than fire extinguishers, other safety facilities need to be acquired. Sixth, a rate of retaining teaching instrument is very low and focuses on a basic cooking area only. Finally, practice-time operation is inefficient.
Based on the above results, some suggestions can be mentioned like followings;
First, current home economics practice rooms of middle schools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re very old and outdated. It is necessary to build newly or remodel a practice room with modernized facilities corresponding to our daily living and in accordance with features of the 7th curriculum.
Second, practice areas of home economics vary by each area in the 7th curriculum and teaching instruments for each area needs to be equipped. However, currently many schools have teaching instruments focusing on cooking practice. Thus, a home economics practice room is being used with very low utility except for cooking. To actively use a practice room, appropriate instruments and facilities for curriculum should be installed for all units of a class to proceed in a home economics practice room. Also, for a class efficiently interconnected with manual training, a home economics practice room and a manual training room needs to be located closely.
Third, when having a class in a home economics practice room, teachers need to have enough time for preparation. However, it is not possible for a teacher alone to prepare all necessary items in a short break time. Thus, for an efficient and smooth home economics class, an assistant teacher of home economics education is necessary and there should be a preparation room beside a home economics practice room.
Author(s)
박민혜
Issued Date
2007
Awarded Date
2007.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808
Alternative Author(s)
Park, Min-Hye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Advisor
김봉애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 1
2. 연구의 목적 = 2
3. 연구의 범위와 제한점 = 2
Ⅱ. 이론적 배경 = 3
1. 중학교 가정 교과의 성격 = 3
1) 가정 교과 교육의 성격 = 3
2) 교과내용 = 4
2. 중학교 가정교과 교육 시설·설비 = 6
1) 교육시설의 개념 = 6
2) 교구·설비의 정의 = 7
3) 교육시설 환경기준 = 7
4) 교구기준 = 8
3. 제주특별자치도 중학교 가정실 = 9
4. 경기도·인천광역시 중학교 가정실 = 12
Ⅲ. 연구내용 및 연구 방법 = 13
1. 연구내용 = 13
2. 연구방법 = 13
1) 현장조사 = 13
2) 설문조사 = 16
Ⅳ. 조사결과 및 논의 = 18
1. 현장조사 = 18
1) 조사대상학교의 일반적 사항 = 18
2) 가정실의 환경요소 = 18
3) 가정실의 공간 구조 = 21
4) 교구 실태 = 25
2. 설문조사 = 29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9
2) 가정실 시설 실태 및 활용 = 30
3) 가정실의 실내환경 = 33
4) 가정실의 필요성 및 효율성 = 38
5) 가정실 실태 만족도 = 39
6) 교사들의 가정실내 공간에 대한 반응 = 42
3. 가정과 교사들의 요구 = 43
4. 가정실의 문제점 = 44
5. 가정실의 효율적 운영 방안 = 45
Ⅴ. 결론 및 제언 = 46
1. 결론 = 46
2. 제언 = 47
참고 문헌 = 49
Abstract = 51
부록 = 54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박민혜. (2007). 제주특별자치도 중학교 가정실의 실내환경 및 시설·설비의 운영실태에 관한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Social Education > Natural and Cultural Heritage Educati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