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조선시대 직물에 사용된 금장식기법의 유형과 특성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Golden Decoration Technique used in the textile of Chosun Dynasty Era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조선시대 직물에 사용된 금장식기법의 유형과 특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금을 사용하여 복식에 장식하는 기법으로는 금가루 혹은 금박을 직접 직물 표면에 표현하는 인금법과 금사로 화려하게 문양을 넣어 표현하는 직금법, 금사를 사용하여 다양한 문양으로 자수하는 금사자수법이 있다.
연구방법은 금장식기법의 유형을 문헌적으로 고찰하여 인금법, 직금법, 금사자수법으로 분류하고 실증적 유물자료 163점을 바탕으로 각 기법별 특성을 비교?분석하였다. 나아가 고대 사회로부터 화려함을 상징해 온 금장식에 대한 재인식과 현대복식 디자인에 새로운 장을 열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조선시대 직물에 사용된 금장식기법을 인금법, 직금법, 금사자수법으로 분류하였고 각 장식기법의 유형?시기, 문양, 용도, 직물특성 및 내적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인금은 금가루 및 매우 얇은 금박을 접착제와 함께 사용하여 직물표면에 문양을 표현하는 기법으로 금가루를 사용하는 니금법과 살금법 그리고 금박을 사용하는 첩금법이 있다. 직금은 기본 조직을 이루는 경?위사 외에 별도로 금사를 사용하여 문양을 화려하게 표현한 중조직 직물을 말한다. 제직방법에 따라 금사가 직물 폭 전체에 사용되어 문양을 표현하는 위중조직기법과 금사를 무늬부분에만 사용하여 제직하는 부분 위중조직기법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이 두 가지 방법 모두 금사만 사용하여 문양을 표현하는 방법과 금사와 색사를 모두 사용하여 문양을 표현하는 방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인금이 가진 비실용적인 단점을 보완하여 더욱 견고하게 제직에 의해 장식하는 기술이었다. 금사자수는 직물을 제직한 후 문양을 표현하기 위해 2차적으로 장식한 기법 중 금사를 사용하여 자수기법으로 장식한 경우이며 이것은 금사를 사용하여 문양의 윤곽선 혹은 문양의 대부분을 표현하고 금사 중간에 색사를 사용하여 고정하는 금사징금수법과 문양의 내부에는 새틴자수법으로 채우고 윤곽선 부분에만 금사를 사용한 금사징금수법+색사평수법이 있다.
두 번째, 금장식기법의 특성 중 유형?시기별 출현율은 직금법(35.58%)이 가장 높으며, 금사자수법(34.97%), 인금법(29.45%)의 순서이다. 15~16세기에는 직금의 비중이 95.00%로 월등하게 높지만 이후로 갈수록 점점 줄어드는 반면 금사자수법과 인금법의 비중은 15~16세기에는 매우 낮으나 후반기로 갈수록 높아지는 것이 특징이다. 15~16세기의 유물은 모두 출토복식자료이며 19~20세기 자료의 대부분이 소장자료이기 때문에 출토복식은 소장자료에 비해 유물의 보존상태가 양호하지 못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세 번째, 금장식기법이 사용된 직물 유물에 나타난 문양은 한 가지 문양만 사용된 단독형 보다 2∼3가지의 다른 문양들이 조합되어 사용된 복합형의 비중이 훨씬 높으며 이들 모두 동물문양과 자연문양이 조합된 예가 많았다. 인금법, 직금법, 금사자수법 모두에서 단독형의 비중(26.38%)보다 복합형의 비중(73.62%)이 크게 나타났다. 이것은 단독문양보다 여러 종류의 문양을 함께 사용하여 다양한 상징성을 함축적으로 전달하려는 의도로 볼 수 있다.
네 번째, 금을 의복에 장식할 수 있는 신분은 귀한 계층으로 제한되어 있었으므로 용도 또한 극히 제한적이라 볼 수 있다. 금장식기법은 궁중?평상예복 등의 의복에 사용된 경우(33.74%)가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 장신구(28.84%), 의복소품(15.95%), 불교용품(12.27%), 생활소품(9.20%) 등의 순서이다. 인금법은 궁중예복(35.42%)과 장신구(54.17%)에 많이 사용되었고, 직금법은 궁중예복(28.58%)과 평상예복(32.14%)에 비슷한 비중으로 많이 사용되었으며 불교용품(35.71%)에도 비교적 많이 사용되었다. 금사자수법은 의복소품(40.35%), 장신구(33.33%), 생활소품(26.32%)이 비슷한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궁중예복 및 평상예복인 의복류에는 전혀 금사자수법을 찾아 볼 수 없었다. 그리고 이러한 금장식기법은 의복의 전체에 사용된 경우(5.17%)보다는 깃, 섶, 끝동, 곁마기, 선단 등 의복의 부분에 사용된 경우(94.83%)가 월등하게 많았다.
다섯 번째, 금장식기법을 사용한 직물 중 금사자수법을 사용한 모직물 5점을 제외하고는 모두 견직물이다. 이 중에서도 인금법이 사용된 직물은 사(紗)가 41.67%로 가장 많았으며, 직금법이 사용된 직물은 직금단(織金緞)이 98.27%로 월등하게 많았고, 금사자수법이 사용된 직물은 복잡하고 고급스러운 태를 표현할 수 있는 소재인 단(緞)이 73.68%로 월등하게 많았다.
마지막으로 금장식기법은 신분과 부의 상징성, 장식성, 음양사상성과 같은 내적특성을 가진다. 즉 사회적 신분을 표시하거나 경제적 부를 상징하는 수단으로 인식되어 주로 상류계층에서 사용되었으며 아름답게 보이고자 하는 심미적인 효과가 있으므로 장식성을 가진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복식에 금을 사용하여 특정 부위를 강조하거나 장식함으로써 강한 개성과 미를 표현할 수 있었다. 이러한 금장식기법 중 인금법의 경우 음과 양의 색상의 조화로 이루어져 음양사상성을 가진 것으로 볼 수 있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understand type and property of gold decoration techniques used in textile of Chosun Dynasty era. For techniques decorating dress and its ornament using gold, there are Ingeum method directly expressing gold dust or gold leaf onto surface of textile, Jiggeum method expressing by weaving patterns with gold thread, and Gold thread embroidery method embroidering in various patterns using gold thread.
For study process, types of gold decoration techniques are inquired documentarily to be classified into Ingeum method, Jiggeum method, and Gold thread embroidery method, and properties of each method were compared and analyzed based on 163 positive relics. Furthermore, this study is to grope for ways to renew understanding on gold decoration that has been symbol of magnificence from ancient society and open a new field on modern dress(fashion) design.
Gold decoration techniques used in textile of Chosun era was classified into Ingeum method, Jiggeum method, and Gold thread embroidery method, and results of analyzing each decoration technique's type, period, pattern, usage, textile characteristic, and internal characteristic are as follow.
First, Ingeum is the method expressing pattern on the surface of textile using gold dust and very thin gold leaf with adhesives, and there are Nigeum method and Salgeum method using gold dust, and Cheongeum method using gold leaf. Jiggeum means layered texture textile magnificently expressing pattern using gold thread separately from warp and weft. According to weaving method, it is divided into Weejoong texture technique expressing pattern using gold thread throughout the textile and partial Weejoong texture technique weaving by using gold thread only on pattern part. Both of these two methods can be classified into method expressing pattern using only gold thread and method expressing pattern using both gold and color threads. Jiggeum is the technique decorating by weaving to complement impractical demerit Ingeum has and strengthen pattern. Gold thread embroidery is the method decorating with embroidery technique using gold thread among secondary decorating techniques to express pattern after weaving textile, and it is divided into Gold thread Ging Geumsoo method expressing contour of pattern or most of the pattern using gold thread and fixing with color thread, and Gold thread Ging Geumsoo method + Saksa Pyeongsoo method filling inner of pattern with satin embroidery method and using gold thread only on contour part.
Second, for typical and periodical advent percentage among properties of gold decoration techniques, Jiggeum method is the highest(35,58%), followed by Gold thread embroidery method(34.97%) and Ingeum method(29.45%).
Third, for pattern on textile relics used of gold decoration techniques, portion of compound type using combination of two to three different patterns is far higher than single type using one pattern, and many of these patterns have mixed animal patterns and nature patterns. In all Ingeum method, Jiggeum method, Gold thread embroidery method, portion of compound type(73.62%) was higher than that of single type(26.38%). This seems intention to communicate various symbolisms by implication by using diverse kinds of patterns rather than single pattern.
Fourth, as the social standing that can decorate gold onto clothing was limited to noble class, its usage can be said to be very limited. Gold decoration techniques was mainly used in court suit, ordinary suit, etc(33.74%), followed by ornaments(28.84%), clothing article(15.95%), Buddhist article(12.27%), living article(9.20%), etc. Ingeum method was largely used in court suit(35.42%) and ornaments(54.17%), Jiggeum method was largely used in court suit(28.58%) and ordinary suit(32.14%) in similar portions, and used relatively largely in Buddhist article(35.71%). Gold thread embroidery method was used in clothing article(40.35%), ornaments(33.33%) and living article(26.32%) in similar portions, and Gold thread embroidery method cannot be found in clothing kind of court suit and ordinary suit. In addition, these gold decoration techniques were by far used in parts of clothing(94.83%) such as collar, gore, cuff, lining, hem, etc rather than the whole of clothing(5.17%).
Fifth, among textiles used gold decoration method, all of them were silk fabrics except 5 woolen fabrics used Gold thread embroidery method. Among theses, gauze(thin silk) was largely used in textiles using Ingeum method, taking portion of 41.67%, Jiggeum silk was used in 98.27% of textiles using Jiggeum method, taking largest portion, and for textile used of Gold thread embroidery method, silk, material than can express complex and luxurious figures was largely used, taking 73.68%.
Lastly, gold decoration techniques have inner properties such as symbolism of social standing and wealth, ornamentation, and Yin-Yang thought. In other words, they were mainly used in upper class as they were recognized as means to symbolize social standing or economical wealth, and have ornamentation nature as they have aesthetic effect to display beautifully. Also, by stressing or decorating specific part with gold on dress and its ornament, marked individuality and beauty could be expressed. Ingeum method among these gold decoration techniques, was formed in harmony of Ying and Yang's colors, can be said to possess Ying-Yang thought in it.
Author(s)
고순희
Issued Date
2007
Awarded Date
2007.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899
Alternative Author(s)
Ko, Soon-Hee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의류학과
Advisor
장현주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 1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 1
2. 연구방법 및 내용 = 2
Ⅱ. 금장식기법의 유형 = 3
1. 인금법 = 4
1) 니금법(泥金法)·살금법(撒金法) = 5
2) 첩금법(貼金法) = 6
2. 직금(織金)법 = 8
1) 위중조직법 = 9
2) 부분 위중조직법 = 11
3. 금사자수법 = 14
1) 금사징금수법 = 14
2) 금사징금수법+색사평수법 = 16
Ⅲ. 금장식기법에 나타난 특성 = 18
1. 유형·시기 특성 = 20
2. 문양 특성 = 23
3. 용도 특성 = 32
4. 직물 특성 = 44
5. 내적 특성 = 50
Ⅳ. 결론 = 52
참고문헌 = 54
ABSTRACT = 58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고순희. (2007). 조선시대 직물에 사용된 금장식기법의 유형과 특성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Fashion and Textiles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