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조선후기 민화(民畵)의 효제문자도(孝悌文字圖)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Syudy on painting of characters of Chosun dynasty
Abstract
한자를 진서(眞書)라고 생각하고 한글을 언문(諺文)이라고 믿었던 어두운 때가 있었다. 그것도 잠시 동안이 아니라 근세사의 한토막이고 보니 우리가 물려받은 지식 속에는 비뚤어진 요소가 많을 것이다. 그러면 한자를 진서라고 믿었던 시대엔 어떠한 그림을 진화(眞畵)라고 받들었는지는 어려운 일이 아닐 것이다. 양반 사대부의 그림만을 정통회화라 하여 회화에 있어서 한글의 생리처럼 미술사의 맥락을 국한시켜왔다.
그러나 전통회화의 역사에서 간과되어 버렸던 조선시대의 민화는 미학적, 미술사적 관점 뿐 만 아니라 조선시대의 서민들의 의식 세계를 파악하는 데도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이런 민화에는 교화적인 내용이 숨어있고, 길상(吉祥), 벽사(·邪), 음양오행(陰陽五行)사상, 삼강오륜(三綱五倫) 등 상징적인 내용 즉, 서민들의 삶 속에서 우러나온 일상의 감정 표현들을 담아내고 있다. 또한 민화의 기발한 상상력과 틀에 얽매이지 않은 자유로움이 있어서 서민들이 공유할 수 있는 예술이다. 민화는 다양한 소재와 자유로운 변용, 일반회화에서 느껴지지 않는 자유로운 구도 등 다양하고 풍성한 잠재력으로 현대적인 감각을 가진 형식으로 조선시대 회화사에 있어서 대단한 성취를 보여준다고 할 수 있겠다.
우리 민족의 미의식을 담아 생활 습속에 따라 제작된 실용회화로서 대중들의 집단적인 염원과 가치·감정이 일반화 되어 나타났다고 볼 수 있으며 미적인 공감대를 엇비슷하게 갖고자 하는 시대상의 반영이라 할 수 있다. 한국적 미감을 형성하고 우리의 정신적 토양과 삶에 뿌리를 두고 있는 민족의 그림이며 종교적 사상과 사회적 배경 속에는 서민의 생활을 기반으로 전승되면서 하나의 예술양식으로 정립되었다.
이러한 민화 중 효제문자도(孝悌文字圖)는 사회 구성체의 일원이 마땅히 지녀야 된다고 믿어왔던 도덕적 가치관을 집약한 유교의 윤리관인 효(孝)·제(悌)·충(忠)·신(信)·예(禮)·의(意)·염(廉)·치(恥)의 여덟 가지의 유교적인 철학을 병풍으로 제작한 그림을 말한다.
효제문자도는 조선 후기의 서민의식과 문화를 대변해주고 있기 때문에 역사적인 가치를 지니고 있을 뿐만 아니라 글자와 그림을 조화시킴으로써 다의성을 가진 매우 특이한 형식으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
조선사회의 민중을 지배해 온 부모를 공경하고, 형제와 이웃이 화목하며, 국가와 민족을 사랑하고, 사회구성원들 사이에 신의를 존중하고, 그것으로 국가 사회를 지탱하는 예악이 확립되고, 언제나 진리와 정의 편에 서며, 근면, 검소절제를 미덕으로 알고, 헛된 부귀와 공명을 탐하던지 불의를 범하는 일의 부끄러움을 알라하는 윤리덕목을 내용으로 담고 있다.
본 논문의 연구 대상인 효제문자도는 민화의 한 종류로서 다른 민화보다 많은 주목을 받아왔던 장르는 아니다. 그러나 유교적 이념을 지닌 문자와 설화, 고사내용을 담고 있기 때문에 당시 민중들의 진솔한 삶과 도덕 윤리관이 집약되었다. 또한 한자의 조형성을 바탕으로 도덕적인 윤리가 더해져 문자가 가지는 의미를 상징화시켜 글자그림으로 만들어 낸 조형양식의 예술세계는 높은 의의를 가질 만 하다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첫째, 조선후기 17세기에서 19세기 말까지 전성을 이루며 서민들의 삶을 들여다 볼 수 있고 풍부한 민중 예술로서 서민들의 문화인 민화를 통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둘째, 민화 중 사대부들의 고안으로 제작 되어진 효제문자도가 발생 할 수 밖에 없었던 사회적, 문화적 상황을 고찰해 본다. 셋째, 민화 중 효제문자도는 문맹인 서민들에게 그림을 통하여 유교적인 사상이 담긴 문자의 의미를 전달하기 위해 만들어진 그림에 담긴 고사와 소재들을 살펴본다.
윤리규범은 인간을 인간답게 살도록 하는 도덕적 덕목이므로 어느 사회에서나 중시되었으며 지금까지도 한국사회를 지탱해 온 사회적 기능을 가지고 있다.
효제문자도는 실용미술로서 어떻게 사회적 윤리와 도덕률 학습에 기여하였는가를 알아 볼 수 있고, 지나간 전통사회에서 통용되었던 그림이라 할지라도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 속에서도 그 의미를 새겨봄으로서 효제문자도의 교육적 역할에 대한 긍정적 이해를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현대사회에서 실용미술의 교육적 활용방안을 찾는데 하나의 좋은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home education and presentation style of Ethics Character Picture of the Chosun Dynasty. The symbol and function of Ethics Character Picture lies the education at home in ethical education. The eight ethics characters are 'Hyo(Filial piety)', 'Je(Brotherliness)', 'Choong(Loyalty), 'Shin(Faith)', 'Ye(Courtesy)', 'Eu(Justice)', 'Yeom(Honor)', and 'Chi(Shame)'. Living according to these ethical guiding principle means that one should tend one's parents with Filial piety, be friendly with neighbors, love one's nation and people, keep one's faith, be courteous and thrifty, and have a sense of honor. The form of Ethics Character Picture is the presentation pattern harmonizing house decorative art and the 8 characters symbolizing the ethics that people should follow in their daily life.
Ethics Character Picture are usually presented on an eight-folding screen. Each of the eight characters takes up one-fold. The frame of each screen is composed of a Chinese character and a picture of a symbolic object. Each picture shows the object which symbolizes the meaning of each character. Ethics characters and objects are unique, both representing different meanings. For example, the character 'Hyo' has the meaning of filial piety and is symbolized objects such as a carp, bamboo shoot, fan, orange, and a six-string Korean harp. The presentation pattern of ethics character shows four distinctive features. Among those character pictures produced in the 20th century, many include overly decorative features and images. This made it very difficult to determine the original character. That's why the existing educational purpose of ethics character became weak and the practical purpose of house decoration was emphasized.
Author(s)
김성희
Issued Date
2009
Awarded Date
2009.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516
Alternative Author(s)
Kim, seong hu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미술교육
Advisor
강동언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 1
Ⅱ. 민화의 일반적 고찰 = 3
1. 민화의 개념 = 3
2. 민화의 주제와 인식 = 7
Ⅲ. 효제문자도의 형성 = 12
1. 조선후기 사회 및 문화적 경향 = 12
2. 효제문자도의 발생과 형성 = 16
3. 효제문자도의 미의식 = 21
4. 효제문자도의 교육적 내용 = 33
Ⅳ. 결론 = 37
참고문헌 = 39
Abstract = 41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김성희. (2009). 조선후기 민화(民畵)의 효제문자도(孝悌文字圖)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Fine Arts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