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교육복지서비스 전문인력 필요성에 대한 제주지역 교사들의 인식 연구

Metadata Downloads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의 실시유형에 따라 교사들을 대상으로 교육복지서비스 전문인력의 필요성을 조사함으로써, 앞으로 교육복지서비스의 전문인력을 효과적으로 기획하고 제공하는데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교육복지서비스 전문인력에 대한 역할기대의 중요성을 알아보고 필요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교육복지서비스에 관한 문헌고찰과 설문조사로 이루어졌으며, 조사대상은 제주지역 학교 중 교육복지투자우선 지원사업 해당학교 7개교와 비해당 학교 4개교의 총 330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자료는 SPSS/WIN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조사결과의 일반적 사항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기술통계분석을 사용하였고, 교육복지서비스 도입과 필요성에 대한 인식과 교육복지서비스 전문인력의 역할과 협력에는 교차분석과 독립표본T(t-test)검정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한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자들의 성별은 여자가 70.6%로 남자교사보다 많았고, 학교형태로는 제주시지역 초등학교가 38.8%, 제주시지역 중학교가 26.4%이며 서귀포지역 초등학교는 20.9%, 서귀포지역 중학교가 13.9%였다. 연령의 분포로는 다른 연령대보다 30-39세 이하의 교사가 30.6%, 40-49세 이하의 교사가 30.9%로 가장 많았다.

둘째, 교육복지서비스 도입과 필요성에 대하여 교사들은 교육복지서비스 제공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었고, 교육복지서비스가 학생들의 학교생활 적응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복지서비스 도입의 필요성과 교육복지서비스 제도의 확대가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그리고 광역자치단체의 교육복지서비스 제공의 필요성과 교육복지서비스의 법적‧제도적 장치 마련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다.

셋째, 교육복지서비스 전문인력의 역할기대 중요성에 대한 교사의 인식에서는 '학생과 가족의 인권을 보장하기 위한 옹호활동'과 '학교 내의 타전문직과 협력', '학생의 문제를 예방, 해결하기 위해 외부전문기관과의 협력', 그리고 '지역사회의 청소년 유해환경 개선'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교사들은 그들의 생활지도를 통해 해결하기 어려운 학생문제에 대한 교육복지서비스 전문인력의 원조를 바라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생활지도를 통해 해결하기 어려운 학생문제에 대해 그 분야의 전문가의 협력을 원하고 있고 그 중간역할을 교육복지서비스 전문인력이 해주기를 원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교사와 교육복지서비스 전문인력의 협력관계 필요성 인식에서는 '학교장이 구성원의 의견청취와 업무지원'과 '교사들 간에 우호적이고 친밀한 관계', '교육복지서비스 전문인력의 성실한 성품과 바른 언행' 그리고 '학생에게 제공되는 교육복지서비스를 교사에게 알려야 하는 필요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학교라는 공간 안에서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교사와의 협력을 이루어가기 위해서는 교육복지서비스 전문인력의 개인적인 특성보다는 학교나 교사와 관련된 특성이 더 많은 영향을 준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교육복지서비스 전문인력의 필요성을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복지서비스 제공을 위한 교육복지서비스 전문인력의 활동과 전문적인 역할 수행이 필요하며 교육복지서비스 제도화를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그리고 교육복지서비스의 종합적인 접근을 위해서 학교 내의 교육복지서비스를 위한 예산이 확대되어야 한다.

둘째, 교육복지서비스는 학생-학교-지역사회의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며, 교육복지서비스가 시범사업에 머물지 않고, 제도적으로 정착되어야 한다. 또한 실질적인 교육복지서비스 실천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교육복지서비스 전문인력과 함께 직접적으로 업무를 수행하는 중간관리자에 대한 교육복지서비스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학교장이 학교 구성원들의 의견을 수용하고 이해하는 학교의 집단문화 수준이 높아져야 하며, 교육복지서비스 전문인력은 지역사회 자원을 더욱 많이 연계해서 교육복지서비스 전문인력의 전문성을 충분히 나타낼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교사들이 교육복지서비스에 대해서 더 많은 욕구를 가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교육복지서비스 전문인력이 학교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지만 이에 대한 제도가 이루어지지 않은 현 상태에서는 제도화를 위한 노력과 지역사회중심의 전문적인 활동과 활성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교육복지서비스 전문인력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전문적인 역할 수행을 위한 교육복지서비스의 자질 향상과 직접적인 서비스 제공을 통한 접촉기회의 확대가 필요하다. 또한 교육복지서비스의 지속적인 연구와 노력이 필요하며 교육계 및 관련영역과의 연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school welfare service of Jeju province by examining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school welfare. Thus, the paper aims to go over the problems raised by previous studies about the roles of school social workers and to investigate the expected roles of the workers in different situations.
This paper is divided into two sections, literature review and survey. The survey examined 330 teachers from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in Jeju province.
SPSS/WIN was applied to the data analysis. Frequency, mean and standard deviations were used to clarify the general trend of the survey results. Finally, T-test and crosstabs were used in intergroup variation.

The survey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70.6% of the respondents were women when dividing them according to gender. When classified according to places, 38.8% of the respondents were from the elementary schools and 26.4% from the middle schools in Jeju City. On the other hand, 20.9% were from the elementary schools and 13.9% from the middle schools in Seogwipo City. The survey also classified respondents into five age groups - twenties, thirties, forties, fifties, and those older than sixties. The two largest age groups were people in their thirties(30.6%) and in their forties(30.9%).

Second, most of the respondents argued that the school welfare service is necessary for it helps students adjusting to school life. They said that school welfare system should be widely implemented to many schools in Jeju province. They insisted that local governments should provide school welfare service by setting up legal bases.

Third, the respondents were expecting several roles from the school social workers. School social workers are expected to protect the rights of students and their family. In addition, they should cooperate with other experts to prevent juvenile delinquency and protect students from various harmful environments. Based upon the survey results, we realized that most of the respondents want assistance from school social workers in solving several educational problems.

Fourth, the survey results suggest that several factors influence school social worker's cooperation with different agents at school. Such factors are 1) school principal's active support of the school welfare system, 2) favorable and intimate relationships among teachers, 3) school social worker's sincerity and good attitude, and 4) the necessity to inform teachers about each school welfare service for students. It turned out that environmental factors including the characteristics of school and teachers more influence the cooperation rather than personal characteristics of an individual social worker.

Based on the results, followings can be suggested.

First, in order for school social workers to provide professional welfare services, continuous effort on systemizing the welfare service is required. To achieve the goal, schools must increase the budgets for school welfare service.

Second, school welfare service requires systemic approach that intimately connects student, school, and local society. It is the only way that fully establish school welfare service in Jeju. For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school welfare, it is necessary to educate middle managers about the welfare service for they must work together with school social workers.

Third, the quality of the school system should be enhanced to a level in which school principal listens to the opinions of different agents in school. In addition, school social workers should incorporate the resources of the local society to fully show their speciality. Finally, the teachers must have more interest on school welfare service.

Lastly, allocating school social workers at each school is ideal, but it is difficult to do so in current situation. Thus, it is necessary to systemize the welfare service and activate it in the local society level. In order to systemize the welfare service, it is better to increase the opportunity for schools to experience the service and enhance its quality.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onduct more studies on school welfare and increase the cooperations among the related fields.
Author(s)
정현주
Issued Date
2011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5272
Alternative Author(s)
Jeang, Hyun-Ju
Affiliation
제주대학교
Department
대학원 행정학과
Advisor
남진열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Ⅰ. 서론 ․․․․․․․․․․․․․․․․․․․․․․․․․․․․․․․․․․․․․․․․․․․․․․․․1
1. 문제제기 ․․․․․․․․․․․․․․․․․․․․․․․․․․․․․․․․․․․․․․․․․․․․․․ 1
2. 연구목적 ․․․․․․․․․․․․․․․․․․․․․․․․․․․․․․․․․․․․․․․․․․․․․․ 3

Ⅱ. 이론적 배경 ․․․․․․․․․․․․․․․․․․․․․․․․․․․․․․․․․․․․․․․․ 7
1.교육복지서비스 ․․․․․․․․․․․․․․․․․․․․․․․․․․․․․․․․․․․․․․․․․․ 7
2. 교육복지서비스 전문인력의 역할 ․․․․․․․․․․․․․․․․․․․․․․․․․․․․ 13
3. 교육복지서비스 전문인력과 교사의 협력관계 ․․․․․․․․․․․․․․․․․․․․ 21
4. 외국의 교육복지서비스 ․․․․․․․․․․․․․․․․․․․․․․․․․․․․․․․․․․․ 29

Ⅲ.연구방법 ․․․․․․․․․․․․․․․․․․․․․․․․․․․․․․․․․․․․․․․․․․․ 39
1.연구문제 및 연구 모형 ․․․․․․․․․․․․․․․․․․․․․․․․․․․․․․․․․․․ 39
2. 조사대상 ․․․․․․․․․․․․․․․․․․․․․․․․․․․․․․․․․․․․․․․․․․․․ 41
3. 조사기간 및 자료수집방법 ․․․․․․․․․․․․․․․․․․․․․․․․․․․․․․․․ 42
4. 조사도구 ․․․․․․․․․․․․․․․․․․․․․․․․․․․․․․․․․․․․․․․․․․․․ 42
5. 자료분석방법 ․․․․․․․․․․․․․․․․․․․․․․․․․․․․․․․․․․․․․․․․․ 44

Ⅳ. 연구결과 및 분석 ․․․․․․․․․․․․․․․․․․․․․․․․․․․․․․․․․․45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45
2. 교육복지서비스 도입과 필요성 ․․․․․․․․․․․․․․․․․․․․․․․․․․․․․ 46
3. 교육복지서비스 전문인력 역할기대 중요성 ․․․․․․․․․․․․․․․․․․․․․ 51
4. 교육복지서비스 전문인력과 교사의 협력관계 필요성 ․․․․․․․․․․․․․ 55

Ⅴ. 결론 ․․․․․․․․․․․․․․․․․․․․․․․․․․․․․․․․․․․․․․․․․․․․․․ 59
1. 연구결과 요약 ․․․․․․․․․․․․․․․․․․․․․․․․․․․․․․․․․․․․․․․․ 59
2. 제언 ․․․․․․․․․․․․․․․․․․․․․․․․․․․․․․․․․․․․․․․․․․․․․․․ 63

⎕ 참고문헌․․․․․․․․․․․․․․․․․․․․․․․․․․․․․․․․․․․․․․․․․․․․ 68
⎕ 설문지․․․․․․․․․․․․․․․․․․․․․․․․․․․․․․․․․․․․․․․․․․․․․․ 74
⎕ Abstract․․․․․․․․․․․․․․․․․․․․․․․․․․․․․․․․․․․․․․․․․․․ 78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정현주. (2011). 교육복지서비스 전문인력 필요성에 대한 제주지역 교사들의 인식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Public Administr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