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쇠살모사 Gloydius ussuriensis의 생태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bstract
본 연구는 2006년 5월에서 2009년 6월까지 제주도와 부속섬인 가파도에 서식하는 쇠살모사 Gloydius ussuriensis 개체군을 대상으로 1)개체군의 몸길이 구성과 성적이형, 2)한배 출산수와 생식 주기, 3)먹이 이용, 4)이동 거리와 행동권, 5)생장률 및 6)체온 조절 등을 파악하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몸길이는 제주도 개체군인 경우 암컷 242-532㎜ (n = 100), 수컷 296-580㎜ (n = 63), 가파도 개체군인 경우 암컷 205-395㎜ (n = 55), 수컷 215-430㎜ (n = 73)로 제주도 개체군보다 가파도 개체군의 몸길이가 작았으며, 두 개체군 모두 가장 큰 개체는 수컷이었다. 본격적인 가임기에 접어든 암컷의 몸길이는 제주도 개체군은 400㎜이상, 가파도 개체군은 330㎜이상으로 나타났다. 제주도 개체군에서는 몸길이가 400㎜ 이상, 가파도 개체군에서는 몸길이가 330㎜인 개체들을 대상으로 몸길이, 꼬리 길이, 체중, 머리 길이, 머리 폭, 눈 사이 거리 등 6개의 형질에 대한 성적크기이형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제주도 개체군은 몸길이, 꼬리 길이, 머리 길이, 머리 폭, 눈 사이 거리에서 수컷이 컸으며, 체중은 암컷이 무거웠다. 가파도 개체군에서는 꼬리 길이에서 수컷이 크게 나타났으며, 체중에서는 암컷이 무거웠으나 다른 형질은 암․수간 차이가 없었다. 새끼에서는 수컷이 꼬리가 길고 무거웠으며, 그 외의 형질은 암․수간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제주도 개체군에서 나타나는 성적크기이형 현상은 후천적인 영향에 의해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쇠살모사의 한배 출산수는 발생이 중지되거나 사산된 개체들을 포함하여 3-9 (4.7 ± 1.5)마리였으며, 4마리, 3마리, 6마리 등의 순으로 출산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한배 새끼의 전체 무게는 7.2-38.9g (19.4 ± 7.5g), 새끼 한 마리의 몸길이는 110-203㎜ (174.3 ± 12.6㎜), 체중은 1.1-6.6g (4.3 ± 0.7g)로 나타났다. 몸길이가 110㎜이면서 체중이 1.1g인 개체는 출생 후 하루 만에 사망하였으며, 건강하게 태어난 개체들 중 가장 작은 개체는 몸길이가 145㎜이고 체중은 2.1g이었다. 한배 출산수는 어미의 몸길이, 어미의 출산 전후의 체중 및 몸 상태에 의해 양성적 관계가 있었다. 암컷과 수컷의 생식 주기는 모두 계절에 따라 변화하였다. 수컷의 정소 크기는 5월에서 8월까지 증가하였다. 6월에서 7월 사이에 증가 폭이 특히 크게 나타났으나, 9월에서 10월에 정소의 크기가 급격히 감소하였다. 암컷에서 여포의 크기는 5월에 급격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6월 이후에 임신한 개체들이 관찰되는 것으로 보아 6월경에 배란이 일어날 것으로 보인다. 8월 중순 이후부터 9월 중순 사이에 발생이 완성된 개체들이 확인되고 있어 이때 출산이 진행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성체 암컷인 경우 6-9월에 번식에 참여하는 개체와 번식에 참여하지 않는 개체들이 모두 확인되는 것으로 보아 가임기의 암컷이라도 매년 생식에 참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제주도 개체군은 지네류(Centipede), 제주도롱뇽 Hynobius quelpartensis, 청개구리 Hyla japonica, 맹꽁이 Kaloula borealis, 북방산개구리 Rana dybowskii, 참개구리 Rana nigromaculata, 도마뱀 Scincella vandenburghi, 대륙유혈목이 Amphiesma vibakari, 작은땃쥐 Crosidure shantungensis, 한라산뒤쥐 Sorex caecutiens hallamontanus, 제주등줄쥐 Apodemus chejuensis 등 다양한 먹이를 먹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가파도 개체군은 참새목 조류의 깃털이 확인된 1개체를 제외하고 지네류와 도마뱀만을 먹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제주도 개체군은 머리의 길이가 클수록 더 큰 먹이(폭이 더 큰 먹이)를 먹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식-재포획 실험 결과, 가파도 개체군은 이동성이 약하고 행동권이 8-167㎡로 매우 작아 정주성이 강한 특성을 나타냈다. 가파도 개체군에서 개체의 성장률은 아주 낮았고 성장 패턴도 불규칙적이었다. 이런 결과는 먹이의 이용성이 떨어지고 먹이 활동을 할 수 있는 기간이 짧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쇠살모사는 적극적으로 체온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여름철보다는 봄철에, 대기의 온도가 높을 때보다는 온도가 낮을 때 더 적극적이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May 2006 to June 2009 to find out the 1) distribution of snout-vent length (SVL) and sexual size dimorphism, 2) reproductive cycle and litter size, 3) prey use, 4) movement and home range, 5) growth rate and 6) thermal regulation of the Ussuri mamushi Gloydius ussuriensis (Viperidae) populations in Jeju island and its annex island Gapa-do. In the case of SVL, on Jeju, the male population was 296-580㎜ (n = 63) and the female population 242-523㎜ (n = 100). In Gapa-do population male SVL was 215-430㎜ (n = 73) and the female was 205-395㎜ (n = 55). The SVL of the Gapa-do population was much smaller than that of Jeju island and the biggest individual in both populations was male. As to the SVL corresponding to the fertility rates of female snakes, the Jeju island and Gapa-do was over 400㎜ and 330㎜, respectively. Sexual size dimorphisms including SVL, tail length (TL), body mass (BM), head length (HL), head width (HW), and inter eye length (IE) were examined among individuals above SVL 400㎜ in Jeju island population and individuals above SVL 330㎜ in Gapa-do population. In Jeju island population, the male showed up larger than the female in SVL, TL, HL, and IE. Female's BM was heavier than the male. In the Gapa-do population, the TL of males was longer than that of the female and the BM of females was heavier than that of the males. In offsprings, the male was longer than female in TL and heavier than female in BM. Together, sexual size dimorphisms in Jeju island population might be acquired. The litter size of G. ussuriensis was 3-9 (4.7 ± 1.5) including individuals which had stopped development or which were stillborn. Litter size was, in order, 4 neonates, 3 neonates, 6 neonates and so on. The total mass of a litter was 7.2-38.9g (19.4 ± 7.5g), neonate SVL was 110-203㎜ (174.3 ± 12.6㎜), and neonate mass was 1.1-6.6g (4.3 ± 0.7g). The individual below l.1g in BM and 110㎜ in SVL was not a normal and died on the postnatal day. The smallest individual born healthy was 145㎜ in SVL and 2.1g in BM. The litter siz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maternal SVL, maternal mass of pre-parturition and post-parturition, and maternal body condition of pre-parturition and post-parturition. The reproductive cycle of males and females changed according to the season. A testis size of males increased from May to August. Testis sizes increased rapidly between June and July but decreased sharply between September and October. In female, ovarian follicle increased dramatically in May. Ovulation may have occurred in June because pregnant females were observed after June. The development of embryos is completed between mid-August and mid-September. Therefore, it is judged that birth occurs during this period. Adult females were in breeding as well as nonbreeding condition, suggesting that not all fertile females participate in reproduction every year. G. ussuriensis population of Jeju island feeds on a diversity of food including: Centiped, Hynobius quelpaertensis, Hyla japonica, Kaloula borealis, Rana dybowskii, Rana nigromaculata, Scincella vandenburghi, Amphiesma vibakari, Crosidure shantungensis, Sorex caecutiens hallamontanus, Apodemus chejuensis and so on. However, Gapa-do population feeds on only two kinds of food, Centipede and Scincella vandenburghi. In stomach contents research, one individual was found to eat passerine bird. In Jeju island population, as the length of the head was longer, they take the large sized foods. In the result of mark-recapture, Gapa-do population seems to be characteristically sedentary, because it has extremely weak mobility and very small home range size of only 8-167㎡. In the Gapa-do populaton, the individual growth rate was low and growing pattern was very irregular. This might be attributed to low food ability and restriction of feeding period. G. ussuriensis also actively regulates body temperature. Particularly, body temperature regulating activity was more active during the spring season than summertime and when the temperature was lower.
Author(s)
김병수
Issued Date
2011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5359
Alternative Author(s)
Kim, Byoung Soo
Affiliation
제주대학교
Department
대학원 생명과학과
Advisor
김원택, 이선령
Table Of Contents
서 론 1

조사 지역 3

제 1 장 개체군의 몸길이 구성과 성적크기이형 5
Ⅰ. 서론 5
Ⅱ. 재료 및 방법 6
1. 표본수집과 크기측정 6
2. 통계처리 9
Ⅲ. 결과 및 고찰 9
1. 지역 개체군간 크기 비교 9
2. 개체군의 몸무게 분포와 성적 성숙 12
3. 성적크기이형 14
Ⅳ. 요약 18

제 2 장 생식 주기 및 한 배 출산 수 20
Ⅰ. 서론 20
Ⅱ. 재료 및 방법 21
1. 생식 주기 21
2. 한 배 출산 수 22
Ⅲ. 결과 및 고찰 24
1. 생식 주기 24
2. 한배 출산수 28
Ⅳ. 요약 38

제 3 장 먹이 이용 40
Ⅰ. 서론 40
Ⅱ. 재료 및 방법 41
Ⅲ. 결과 및 고찰 41
Ⅳ. 요약 48

제 4 장 가파도 쇠살모사의 이동과 행동권 50
Ⅰ. 서론 50
Ⅱ. 재료 및 방법 51
Ⅲ. 결과 및 고찰 52
Ⅳ. 요약 60

제 5 장 가파도 쇠살모사의 성장률 61
Ⅰ. 서론 61
Ⅱ. 재료 및 방법 62
Ⅲ. 결과 및 고찰 63
Ⅳ. 요약 69

제 6 장 가파도 쇠살모사의 체온 조절 70
Ⅰ. 서론 70
Ⅱ. 재료 및 방법 71
Ⅲ. 결과 및 고찰 72
Ⅳ. 요약 76

적 요 77

참고문헌 79
Degree
Docto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김병수. (2011). 쇠살모사 Gloydius ussuriensis의 생태에 관한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Biolog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