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견직물의 역학적 성질과 색채 특성을 이용한 촉감각/감성 이미지 예측모델

Metadata Downloads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의류용 견직물을 대상으로 무채색과 유채색 색상․색조의 색채 특성이 촉감각/감성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견직물의 역학적 성질과 색채 특성을 이용한 촉감각/감성 이미지 예측모델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서로 다른 6종의 견직물에 대해 디지털 날염기를 이용하여 중간회색의 무채색과 유채색 색상(Red, Yellow, Green)․색조(pale, vivid, grayish)의 조합으로 총 10가지 색채를 각각 날염하였다. 견직물의 객관적 성질로서 역학적 성질은 KES-FB를 이용하여 인장, 굽힘, 전단, 압축, 표면, 두께 및 무게의 17개 항목을 측정하였으며, 색채 특성은 Munsell 표색계의 색상과 PCCS 표색계의 톤으로 평가하였다. 주관적 촉감각/감성 이미지는 선행연구에서 선정된 촉감각/감성 이미지 용어에 대하여 수정된 magnitude line scale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통계분석으로는 Pearson의 상관계수 분석과 t-test, 일원배치분산분석 및 이원배치분산분석, 계층적 군집분석, 단계적 선형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견직물의 역학적 성질과 촉감각/감성 이미지 간의 관계에 대하여 무채색과 유채색 견직물을 비교․고찰한 결과, 무채색 견직물과 유채색 견직물 모두에서 촉감각/감성 이미지가 역학적 성질들과 유의한 관계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촉감각/감성 이미지별로 무채색 견직물과 유채색 견직물에 대한 평가를 비교한 결과, 전체 용어 중에서 '매끄럽다', '하늘하늘하다', '두껍다', '뻣뻣하다', '독특하다', '전원적이다', '캐주얼하다', '내추럴하다', '모던하다'는 무채색과 유채색 견직물 간에 유이한 차이가 나타났다. '매끄럽다'와 '하늘하늘하다', '독특하다', '모던하다'는 무채색 견직물일 때 더 강하게 인지되는 경향이었으나 '두껍다', '뻣뻣하다', '전원적이다', '캐주얼하다', '내추럴하다'는 견직물이 유채색일 때 더 강하게 인지되는 경향이었다. 그러나 '무겁다', '따뜻하다', '세련되다', '스포티하다' 등을 포함한 나머지 촉감각/감성 이미지에서는 무채색 견직물과 유채색 견직물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이용하여 무채색과 유채색 색상 또는 무채색과 유채색 색조에 따른 촉감각/감성 이미지의 차이를 검정한 결과, '매끄럽다', '하늘하늘하다', '독특하다'와 '모던하다'는 색상․색조에 상관없이 견직물이 무채색일 때 더 강하게 평가되는 경향이었다. '두껍다'와 '뻣뻣하다'는 견직물이 Red와 Green 색상일 때 또는 pale과 vivid 색조일 때 무채색일 때보다 촉감각이 더 강하게 인지되는 경향이었고, '전원적이다'와 '캐주얼하다'는 Green 색상 또는 pale과 vivid 색조의 견직물이 무채색 견직물보다 더 강하게 인지되는 경향이어서 이들 촉감성 이미지는 견직물의 색채 특성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역학적 성질에 따른 촉감각/감성 이미지에 대한 색채 영향력의 차이를 고찰하기 위하여 이원배치분산분석한 결과, 촉감각/감성 이미지는 견직물의 역학적 성질 군집과 색상 간의 상호작용효과가가 더 많이 나타났다. '매끄럽다', '무겁다', '따뜻하다', '두껍다', '독특하다', '여성적이다'는 견직물의 역학적 성질 군집과 무채색 및 유채색 색상․색조 간에 유의한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으며, 무채색일 때 특히 시폰과 조젯이 포함된 군집1이 군집2와 군집3보다 두드러지게 평가되는 경향이어서 군집1이 촉감각/감성 이미지에 대하여 색채 특성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 역학적 성질 특성 군집이라고 사료되었다. 마지막으로 견직물을 대상으로 역학적 성질을 설명변수로 이용한 예측모델과 역학적 성질과 색채 특성을 함께 설명변수로 이용한 예측모델을 수립하여 제안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폭신폭신하다', '따뜻하다', '부드럽다', '탄력이 있다', '하늘하늘하다', '두껍다', '뻣뻣하다', '독특하다'와 '전원적이다', '여성적이다', '스포티하다', '클래식하다', '엘레강스하다', '캐주얼하다', '내추럴하다', '모던하다'의 예측모델에서 색채 특성이 설명변수로 진입함에 따라 역학적 성질과 더불어 색채의 영향을 받는 촉감각/감성 이미지임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는 견직물의 촉감각/감성 이미지에 대하여 역학적 성질과 색채 특성을 이용한 예측모델을 제안함으로써, 견직물의 역학적 성질뿐만 아니라 색채 특성이 촉감각/감성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이는 감성의류소재로서 견직물의 생산 및 설계에 응용할 수 있으며, 상품개발 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 기초 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actile sensation/sensibility image of apparel silk fabrics, to identify the effects of color characteristics on tactile sensation/sensibility image of them, and to provide prediction models for their tactile sensation/sensibility image by mechanical properties and color characteristics. Six different silk fabrics undyed were selected as specimens and each of them was colored by digital textile printing according to 3×3 combinations of chromatic hues (Red, Yellow, Green) and tones(pale, vivid, grayish) as well as achromatic medium Gray. Mechanical properties of silk fabrics were measured by using Kawabata Evaluation System(KES-FB). A total of thirty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subjective evaluation of tactile sensation/sensibility of differently colored silk fabrics after they were tested for normal sight. They used a modified magnitude estimation line scale in terms of 11 tactile sensation terms and 10 tactile sensibility terms. Correlation analysis, t-test, one-way ANOVA, and two-way ANOVA were employed for statistical analysis. Stepwise linear regression was also utilized to provide prediction models for tactile sensory/sensibility image using mechanical properties and color characteristics.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All of tactile sensation/sensibility image terms showed significantly strong correlations to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silk fabrics regardless of color characteristics. Also, tactile sensation terms seemed to be more strongly correlated with mechanical properties than tactile sensibility ones did.
2. When achromatically and chromatically colored silk fabrics were compared in respects of each tactile sensation/sensibility image term, "smooth", "buoyant", "unique" and "modern" were more strongly perceived in achromatically colored silk fabrics whereas "thick", "stiff", "rural" and "casual" were more strongly perceived in chromatically ones. And the other image terms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chromatic and chromatic. On the other hands, achromatically and three different chromatic hues or tones according to the tactile sensation/sensibility images were tested for the differences. Consequently, "smooth", "buoyant", "rural" and "modern" were more strongly perceived in achromatic than in chromatic without reference to hue․tone. Moreover, as for "thick" and "stiff", silk fabrics in Red, Green, pale, and vivid were given higher scores than those in achromatic while "rural" and "casual" were more highly rated for silk fabrics in Green, pale, and vivid than in achromatic. Thus, those of tactile sensation/sensibility image terms seemed to be influenced by color characteristics of silk as well as by mechanical properties.
3.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between color characteristics and fabric clusters by mechanical properties were more frequently found for tactile sensibility terms than tactile sensation ones. Among tactile sensation/sensibility terms, "smooth", "heavy", "warm", "thick", "unique", "feminine", and "sporty" showed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between fabric clusters by mechanical properties and color characteristics including both achromatic and chromatic hue/tone. Fabric cluster Ⅰ including chiffon and georgette had a tendency to be more affected by color characteristics as for their tactile sensation/sensibility than fabric cluster Ⅱ and Ⅲ did.
4. Finally, prediction models for tactile sensation/sensibility of silk fabrics by both mechanical properties and color characteristics were established. Among tactile sensation/sensibility terms, "puff", "warm", "soft", "springy", "buoyant", "thick", "stiff", "unique", "rural", "feminine", "sporty", "classic", "elegant", "casual", "natural" and "modern" were given significant prediction models by both mechanical properties and color characteristics.

These results suggest that regression models for predicting tactile sensation/sensibility image by both mechanical properties and color characteristics could contribute to improving tactile sensation/sensibility image of silk fabrics. In a future study, a more varied fabrics such as cotton, wool, and synthetics need to be investigated to establish tactile sensation/sensibility image considering color characteristics as well as mechanical properties.
Author(s)
이안례
Issued Date
2011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5387
Alternative Author(s)
Lee, An Rye
Affiliation
제주대학교
Department
대학원 의류학과
Advisor
이은주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 목적 4
3. 연구의 추진체계 5
4. 연구의 범위 6

Ⅱ. 이론적 배경
1. 패션소재의 촉감각/감성 이미지 7
1) 촉감각과 촉감성의 개념 및 이미지 용어 7
2) 패션소재의 촉감각/감성 이미지 10
2. 패션소재의 촉감각/감성 이미지와 역학적 성질 간의 관계 14
3. 패션소재의 촉감각/감성 이미지와 색채 특성 간의 관계 19

Ⅲ. 연구방법
1. 직물 시료 23
2. 직물의 색채 특성 발현 및 평가 24
3. 직물의 역학적 성질 평가 25
4. 주관적 촉감각/감성 이미지 평가 26
1) 자극물 26
2) 피험자 26
3) 촉감각/감성 평가 절차 26
4) 촉감각/감성 이미지 용어 26
5) 설문 방식 27
5. 통계분석방법 28
Ⅳ. 연구결과
1. 견직물의 역학적 성질이 촉감각/감성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29
1) 견직물의 역학적 성질 29
2) 견직물의 역학적 성질이 촉감각/감성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31
(1) 촉감각 이미지 34
(2) 촉감성 이미지 39
2. 견직물의 색채 특성이 촉감각/감성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44
1) 무채색과 유채색에 따른 견직물의 촉감각/감성 이미지의 차이 44
(1) 촉감각 이미지 44
(2) 촉감성 이미지 46
2) 무채색과 유채색 색상에 따른 촉감각/감성 이미지의 차이 48
(1) 촉감각 이미지 48
(2) 촉감성 이미지 52
3) 무채색과 유채색 색조에 따른 촉감각/감성 이미지의 차이 55
(1) 촉감각 이미지 55
(2) 촉감성 이미지 58
3. 견직물의 촉감각/감성 이미지에 대한 역학적 성질 군집과 색채 특성의 상 호작용효과 62
1) 견직물의 역학적 성질에 의한 군집 특성 62
(1) 역학적 성질에 의한 견직물의 분류 63
(2) 견직물 역학적 성질 군집별 촉감각/감성 이미지의 특성 63
2) 견직물의 역학적 성질 군집과 색채 특성이 촉감각/감성 이미지에 미치 는 상호작용효과 66
(1) 견직물의 역학적 성질 군집과 무채색․유채색 색상이 촉감각/감성 이미지에 미치는 상호작용효과 66
① 촉감각 이미지 67
② 촉감성 이미지 72
(2) 견직물의 역학적 성질 군집과 무채색․유채색 색조가 촉감각/감성 이미지에 미치는 상호작용효과 80
① 촉감각 이미지 80
② 촉감성 이미지 86
4. 견직물의 역학적 성질과 색채 특성을 이용한 촉감각/감성 이미지 예측모델 92
1) 견직물의 역학적 성질을 이용한 촉감각/감성 이미지 예측모델 92
(1) 촉감각 이미지 예측모델 92
(2) 촉감성 이미지 예측모델 95
2) 견직물의 역학적 성질과 색채 특성을 이용한 촉감각/감성 이미지 예측 모델 100
(1) 촉감각 이미지 예측모델 100
(2) 촉감성 이미지 예측모델 104

Ⅴ. 결 론
1. 연구결과의 요약 110
2. 연구의 의의 및 한계점과 향후 연구 제언 114

참고문헌 116
부록 122
Abstract 132
감사의 글 135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이안례. (2011). 견직물의 역학적 성질과 색채 특성을 이용한 촉감각/감성 이미지 예측모델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Fashion and Textiles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