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갈옷 드레스 패턴에 관한 연구 -50대 여성을 대상으로-

Metadata Downloads
Abstract
건강, 인체위생, 더 나아가 친환경성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 이에 따라 천연염색에 대한 관심이 높아가고 있다. 천연염색 중 하나인 감물염색은 자외선 차단효과, 활동성, 위생성, 내구성, 통기성, 강연성, 방수성, 방충성, 항균성 등 기능적이고 위생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고 제주도에서는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는 갈천을 이용하여 의복을 만든 것이 갈옷이다. 현재 기능적이고 위생적인 기능이 있는 친환경 상품인 갈옷의 인지도와 선호도는 많이 낮은 상태이다. 갈옷의 문제점 중 가장 큰 문제점은 갈옷제작업체의 각각의 의류제품 치수 체계 및 호칭이 상이하며 동일한 호칭이라도 제작업체에 따라 적용하는 인체치수가 달라 소비자의 불편을 야기한다. 그리고 대부분의 젊은 여성의 의복 패턴을 중심으로 의복이 제작되는 실정이라 다양한 체형을 가진 중년여성의 의복 구매자들이 신체적합성이 높은 갈옷 드레스를 찾기는 더욱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는 체형변화가 가장 큰 50대 중년여성을 연구대상으로 하였고 중년여성의 BMI를 기준으로 3가지체형으로 나누고 Size Korea(2004)의 50대 인체치수 자료와 직접계측 자료에 의한 50대 중년여성 체형을 고찰한 후 정상체형(94-97-155), 과체중(97-100-160), 중도비만체형(100-103-160)으로 본 연구의 치수체계를 설계하였다. 기존 드레스원형에 예비 착의평가를 실시하여 수정 후 비교원형을 제작하고 이를 기본으로 2차 착의평가를 실시한 후 수정·보완하여 50대 중년여성 체형에 맞는 갈옷드레스 연구원형을 제작하기 위한 목적으로 연구되었다.
연구 대상은 신체변화가 가장 크게 나타나는50∼59세의 중년여성으로 하였다.
치수설정은 BMI지수를 기준으로 하였고, Size Korea 5차 한국인 인체치수조사를 통하여 50대 중년여성의 표준치수와 직접계측 치수를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BMI지수를 통한 체형분류의 접합성을 규명하였고, 비교원형과 연구원형의 외관에 대한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연구원형의 적합성을 규명하였다.
자료분석 방법은 SPSS/PC +12.0 Package를 이용하여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coefficient), T-검정(T-test)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Size Korea(2004) 인체치수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가슴둘레, 젖가슴둘레, 젖가슴아래둘레, 허리둘레, 배꼽수준허리둘레, 엉덩이둘레와 몸무게의 상관관계가 매우 높고 두께-너비 관련 상관관계수를 보면 젖가슴너비, 허리너비, 배꼽수준허리너비, 젖가슴두께, 허리두께, 배꼽수준허리두께와 몸무게의 상관관계도 높게 나왔다.
둘째, Size Korea(2004)의 50대중년여성의 표준치수와 직접계측 표준치수를 비교한 결과 BMI, 허리둘레는 Size Korea(2004)의 50대 중년여성의 표준치수가 높게 나왔고 키, 몸무게, 등길이, 앞중심길이, 가슴둘레, 젖가슴둘레, 젖가슴아래둘레. 배꼽수준허리둘레, 엉덩이둘레는 직접계측 표준치수가 높게 나왔다.
셋째, 비교원형과 연구원형의 외관에 관한 관능검사 결과 둘레항목 여유분에 대하여 유의한 차이가 났다. 여성의 연령이 증가할수록 몸무게와 수평항목이 증가한다는 선행연구의 결과로 사료된다.
넷째, 앞목둘레선과 뒤목둘레선의 여유분에 대하여 유의한 차이가 났다. 중년여성의 체형이 바른체형 다음으로 숙인체형과 휜체형이 많다는 선행연구의 결과로 사료된다.
다섯째, 연구원형을 KS의류치수규격 그레이딩 편차를 적용하여 정상체형(94-97-155), 과체중체형(97-100-160), 중도비만체형(BMI 28미만)-(100-103-160)의 갈옷드레스 연구원형을 제작하여 본 연구 피험자에게 착의시켜 착의평가한 결과, 전체적으로 신체에 적합한 갈옷드레스 원형으로 검증되었다.
Natural dyeing has drawn a lot of attention as consumers' interests in health, hygiene and the environment-friendly product have been growing. Among natural dyeing methods, dyeing with persimmon juice is hygiene and it includes many functions such as UV protection, durability, breathability and antibiotic functions. Based on the functions, Gal Ot (clothing) has been created with traditional island cloth known as 'gal-cheon' with the above-mentioned functions in Jeju island. Currently, the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the environment-friendly Gal Ot seems to be low. One of the reasons is that its size and naming system varies by manufacturer and even with the same naming system, the size still varies by manufacturer. In addition since the clothing pattern has focused on young women, it is difficult for old women to find the Gal Ot dress that'd fit them when they have a wide range of body sizes.
This study examined women between 50 and 59 who have the most significant change in size and divided them into 3 body types based on BMI. Then, the study reviewed body sizes of women in their 50's provided by Size Korea (2004) as well as directly measured data to establish the size system for the study as follows; normal, overweight, and moderate obesity. The purpose of the established size system is to design original form of the Gal Ot dress for women in their 50's by supplementing the shortcomings of the existing dress form.
The suitability of body classification was clarified using BMI, and a sensory test was conducted on appearance of comparison and research form to insure the suitability of the research form.
As for data analysis,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T-test were carried out using SPSS/PC +12.0 Packag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body sizes provided by Size Korea(2004) showed that there is a high correlation between chest girth, breast girth, under-breast girth, waist girth, waist circumference, hip girth, and weight. The result also showed that in terms of breadth and depth, there is a high correlation between bust breadth, waist breadth, waist circumference, bust depth, waist depth, waist circumference depth, and weight.
Second, the results of comparing standard sizes of women in their mid-50's provided by Size Korea (2004) to the standard size of direct measurement shows that the standard size provided by Size Korea (2004) was higher in BMI and waist girth whereas standard size of direct measurement was higher in height, weight, back length, waist front length, chest girth, bust girth, under-bust girth, waist circumference, and hip girth.
Third, the results on the sensory test conducted on appearance of comparison and research form shows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pace of the girth items. It can be interpreted as results of preliminary study that the older the women are, the more weight and horizontal items they would have.
Fourth,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pace between front and back neck girth. This seems to reflect the precedent study result that the number of old women with bent or crooked body type is little less than number of those with normal body type.
Fifth, the research showed that the research form is the original form of Gal Ot dress suitable for the entire body by designing the research form of normal(94-97-155), overweight(97-100-160) and moderate obesity(BMI under 28)-(100-103-160) based on grading difference of KS apparel size standardization, and dressing the subject for the study.
Author(s)
강지숙
Issued Date
2011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5388
Alternative Author(s)
Kang, Ji Suk
Affiliation
제주대학교
Department
대학원 의류학과
Advisor
권숙희
Table Of Contents
국문초록 ⅰ
표 목 차 ⅵ
그림 목차 ⅶ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내용 3
Ⅱ. 이론적 배경 4
1. 갈옷의 유래와 전망 4
2. 천연염색의 정의와 전망 6
3. 체형변화에 따른 원피스 드레스의 선행연구 7
4. 여성의 연령에 따른 체형변화 및 특징 8
1) 성장기의 신체적 특징 8
2) 20대 신체적 특징 9
3) 30대 신체적 특징 9
4) 40대 신체적 특징 10
5) 50대 신체적 특징 10
6) 60대 신체적 특징 10
5. 중년여성의 연령구분 및 신체적 특징 11
1) 중년여성의 연령구분 11
2) 중년여성의 신체적 특징 12
6. 비만-수척 요소에 의한 체형분류 15
Ⅲ. 연구방법 및 절차 18
1. 연구의 구성도 18
2. 기성복 치수 설정 19
3. 직접계측 및 피험자 선정 21
1) 연구대상 21
2) 측정방법과 계측항목 21
3) 측정기준점 및 기준선 21
4) 측정항목 21
5) 피험자선정 21
4. 갈옷드레스 디자인 선정 24
5. 갈옷드레스 치수 선정 25
6. 갈옷드레스 비교원형 패턴설계 26
7. 착의실험 29
1) 감물염색 29
(1) 시료 29
(2) 염색방법 29
2) 실험衣 제작 29
3) 외관평가 30
(1) 검사방법 및 평점 30
(2) 자료처리 및 분석 30
Ⅳ. 연구 결과 및 고찰 33
1. BMI집단 간 젖가슴둘레 차이 33
2. 직접계측한 50대 여성의 인체치스 간의 상관계수 33
3. 여성의 인체치수 간의 상관계수 34
4. 갈옷드레스 디자인 선정 40
5. 갈옷드레스 비교원형 패턴설계 42
1) 갈옷드레스 비교원형 패턴 선정 42
2) 갈옷드레스 비교원형 설계 42
6. 갈옷드레스 연구원형 패턴 설계 46
1) 갈옷드레스 연구원형 설계 46
(1) 민소매 갈옷드레스 연구원형 46
(2) 반소매 갈옷드레스 연구원형 48
7. 갈옷드레스 비교원형과 연구원형 착의평가 50
1) 외관평가 결과 50
(1) 민소매 갈옷드레스의 외관평가 결과 50
(2) 반소매 갈옷드레스의 외관평가 결과 54
8 그레이딩 룰 및 룰값 작성 57
Ⅴ. 결론 및 제언 66
참고문헌 70
부록 Ⅰ. 직접계측 문항 76
부록 Ⅱ. 갈옷 디자인 선호도 설문지 77
Abstract
감사의 글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강지숙. (2011). 갈옷 드레스 패턴에 관한 연구 -50대 여성을 대상으로-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Fashion and Textiles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