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제주지역 노년층의 영양위험요인지표와 건강상태에 대한 종단적 연구

Metadata Downloads
Abstract
본 연구는 제주 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225명을 2005년도에 1차 조사하였고, 2007년에 2차 추적 조사를 하였다. 최종 분석대상자는 127명(남자 58명, 여자69명)으로 일반사항, 신체계측, 식생활조사, 혈액분석을 하였다. 노인들의 영양위험요인지표와 신체계측 및 혈액성상, 영양소섭취상태의 관련성을 보고자하였으며 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의 평균연령은 2005년에는 남녀 각각 71.8±5.2세, 75.0±6.6세이었고, 2007년에는 각각 73.8±5.1세, 77.2±6.6세이었다.

2. 조사대상자의 평균 신장 및 체중은 2005년에는 각각 154.6±9.0㎝, 56.6±9.5㎏이었고, 2007년에는 각각 154.6±9.5㎝, 55.9±9.4㎏이었다. 2년 후 추적조사결과 신장을 제외하고 체중(p<0.01), 신체질량지수(p<0.01), 근육량(p<0.001), 체지방량(p<0.001), 체지방율(p<0.001), 허리/엉덩이둘레 비율(p<0.001), 수축기혈압(p<0.001), 이완기혈압(p<0.001)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신체질량지수 분류에서 2005년과 2007년에 신체질량지수 23미만인 정상군이 각각 46.5%, 48.%로 가장 많았고, 허리엉덩이둘레 비율 분류에서 2005년보다 2007년에 복부비만군이 유의적으로 증가하고 수축기혈압과 이완기혈압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3. 조사 대상자들의 혈액분석 결과에서 공복시 혈당은 성별과 연령별 차이가 크지 않았으나 혈청지질에서는 변화를 보였다. 나이가 많은 여자노인은 총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이 남자노인에 비해 높았다. 또한 2년 후의 추적조사에서 공복시 혈당은 큰 변화가 없었으나 총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 중성지방은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HDL-콜레스테롤은 낮아졌다. 특히 LDL-콜레스테롤과 HDL-콜레스테롤의 변화는 유의적이었다.(P<0.001)

4. 식습관 조사결과에서 아침, 점심, 저녁의 끼니별 식사 섭취 횟수는 주당 2005년에는 6.6±1.4회, 6.6±1.3회, 6.9±0.6회이었고, 2007년에는 6.6±1.4회, 6.7±1.0회, 7.0±0.3회로 나타났다. 노인들의 식습관에서는 2005년과 2007년에 식사시간이 항상 규칙적이라고 한 경우는 각각 51.2%, 34.7%이었고, 식사량이 항상 일정하다고 한 경우는 각각 64.6%, 48.0%이었다. 또한 2005년과 2007년에 노인들 중 과식을 하는 경우는 각각 1.6%, 1.6%이었고, 30.7%와 25.2%의 노인들은 편식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5년보다 2007년에 규칙적인 식사시간과 식사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5. 총 16개의 영양위험요인지표 중 조사대상 노인들이 가장 많이 가지고 있는 영양위험요인지표는 2005년과 2007년에 각각 약물복용(66.9%, 66.1%)과 치아문제로 인한 음식섭취의 어려움(62.2%, 48.8%)이었고, 치아문제와 경제적 수입에서는 2005년과 2007년 조사결과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영양위험요인지표점수는 2005년과 2007년에 각각 3.8±1.9점, 3.6±2.2점으로 영양양호군(4개미만)노인은 2005년과 2007년에 각각 53.5%, 54.3%, 중등도 영양위험군(4이상 6개미만)노인은 각각 29.1%, 27.6%, 고 영양위험군(6개 이상)노인은 각각 17.3%, 18.1%로 나타났다.

6. 조사대상자의 1일 식품군별 총 섭취량은 2005년과 2007년 조사에서 각각 1250.2g, 1262.8g이었고, 열량 섭취량은 각각 1774.5kcal, 1878.4kcal이었다. 2005년과 2007년에 평균필요량 미만으로 섭취하는 영양소 중에서 각각 칼슘(55.1%, 68.5%) 비타민 A(82.7%,80.3%), 비타민 B2(52.8%, 30.7%), 엽산(77.2%, 74.8%)의 섭취가 저조하였다. 총 열량에 대한 3대 영양소의 구성비는 2005년에는 71.1% : 14.6% : 14.3%, 2007년에는 70.1% : 14.5% : 15.4%이었다.

7. 2005년과 2007년 조사에서 신체질량지수 23미만인 노인이 신체질량지수 23이상인 노인보다 허리/엉덩이둘레비율과 신체질량지수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 2005년에는 신체질량지수 23미만인 노인이 신체질량지수 23이상인 노인보다 HDL-콜레스테롤이 유의적으로 높았고, 2007년에서도 신체질량지수 23미만인 노인이 다른 군에 비해 HDL-콜레스테롤이 유의적으로 높았고, 중성지방은 유의적으로 낮았다. 2005년의 신체질량지수급간에 따라서 2007년도의 공복혈당은 큰 변화가 없었으나 총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중성지방은 신체질량지수가 높아지면서 증가하는 양상이었고, HDL-콜레스테롤은 감소하는 변화를 보였다. 특히 2005년 신체질량지수가 23미만인 노인에 비해 신체질량지수 23이상인 노인들의 혈청중성지방 증가가 유의적이었다(p<0.01). 2005년과 2007년 조사에서 신체질량지수 23미만인 노인이 신체질량지수 23이상인 노인보다 식품군 및 영양소 섭취량이 낮았고, 특히 2005년의 신체질량지수 급간에 따라서 신체질량지수가 낮을수록 2007년도의 식품군 및 영양소 섭취량이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8. 조사대상자의 영양위험요인지표와 수축기혈압, 이완기혈압, 허리/엉덩이둘레비율, 신체질량지수, 공복혈당, 혈청지질을 분석한 결과 2005년과 2007년 조사에서는 영양위험요인지표에 따라 고 영양위험군(6개 이상)노인이 영양양호군(4개 미만)노인과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에 2005년의 영양위험요인지표에 따른 2007년도의 공복혈당 및 혈청지질 분석결과에서는 영양위험요인지표가 높을수록 HDL-콜레스테롤은 유의적으로 낮아지고 중성지방은 유의적으로 높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2005년과 2007년 조사에서 영양위험요인지표에 따라 고 영양위험군(6개 이상)노인이 영양양호군(4개 미만)노인보다 식품군 및 영양소 섭취량이 낮았고, 특히 2005년의 영양위험요인지표에 따른 2007년도의 식품군 및 영양소 섭취량은 영양위험요인지표가 높을수록 식품군 및 영양소 섭취량이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이상과 같이 노인들의 건강 및 영양상태는 신체질량지수와 영양위험요인지표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질량지수는 조사시점부터 혈청지질과 식품군 및 영양소 섭취량에서 차이가 있었지만 영양위험요인지표는 혈청지질에서 차이가 없었고 영양위험요인지표가 높을수록 식품군 및 영양소 섭취량이 저조하였다. 2년 후 추적조사에서 영양위험요인이 지속될 경우 혈청지질에 변화가 나타남에 따라 노인들의 체중조절 교육 및 영양위험요인을 가진 노인을 선별하여 영양중재를 통해 노인들의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복지정책이 마련되어야 하겠다.
This study conducted the first study on 225 elderly people over age 65 in Jeju area in 2005, and then conducted the second follow-up study in 2007. The final analysis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27 persons(58 males and 69 females). This study examined general items, blood profiles, anthropometry, dietary survey, and blood analy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derly's nutritional risk index, anthropometry, blood profiles, and nutrient intake status.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1. The subjects' mean age was age 71.8±5.2 for males and age 75.0±6.6 for females in 2005, and then was age 73.8±5.2 for males and age 77.2±6.6 for females in 2007.

2. The subjects' mean heights and weights were 154.6±9.0㎝ and 56.6±9.5㎏ respectively in 2005, and then were 154.6±9.5㎝ and 55.9±9.4㎏ respectively in 2007. In the classification of body mass index, the normal groups below the body mass index of 23 were the highest as 46.5% and 48% respectively in 2005 and 2007. In the classification of waist to hip circumference ratio, abdominal obesity group increased significantly in 2007 in comparison with 2005. Systolic blood pressure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decreased significantly in 2007 in comparison with 2005.

3, According to the results of blood analysis, there was no great difference in fasting blood glucose according to gender and age, whereas there was the change in serum lipid. The elderly females of great age were higher in total 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than the elderly males. Also, in the follow-up study after 2 years, there was no great change in fasting blood glucose, whereas total cholesterol, LDL-cholesterol, and triglyceride tended to increase and HDL-cholesterol tended to decrease. Especially, there was the significant change in LDL-cholesterol and HDL-cholesterol (p<0.001).

4. Among the total 16 nutritional risk indices, taking medicine(66.9% and 66.1% respectively) and the difficulty in food intake owing to tooth problems(62.2% and 48.8% respectively) were the highest in the subjects of the elderly in 2005 and 2007. There occurr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tooth problem and economic income between 2005 and 2007. Nutritional risk index scores were 3.8±1.9 points and 3.6±2.2 points respectively in 2005 and 2007. The elderly in good nutrition group(below 4 indices) were 53.5% and 54.3% respectively in 2005 and 2007, and the elderly in intermediate nutrition-risk group(over 4 indices and below 6 indices) were 29.1% and 27.6% respectively in 2005 and 2007, and the elderly in high nutrition-risk group(over 6 indices) were 17.3% and 18.1% respectively in 2005 and 2007.

5. The subjects' total daily food consumption were 1250.2g and 1262.8g respectively in 2005 and 2007. And their energy intake amounts were 1774.5kcal and 1878.4kcal respectively in 2005 and 2007. Among the nutrients which were taken below estimated average requirement, the intakes of calcium(55.1% and 68.5% respectively), vitamin A(82.7% and 80.3% respectively), vitamin B2(52.8% and 30.7% respectively), and folic acid(77.2% and 74.8% respectively) were low in 2005 and 2007. The ratio of three major nutrients to the total calories were 71.1% : 14.6% : 14.3% in 2005 and 70.1% : 14.5% : 15.4% in 2007.

6. The elderly below the body mass index of 23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HDL-cholesterol than the elderly over the body mass index of 23 in 2005, whereas the elderly below the body mass index of 23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HDL-cholesterol and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riglyceride than other groups in 2007. There was no great change in fasting blood glucose in 2007 according to the class intervals of body mass index in 2005, whereas, as body mass index became high, total cholesterol, LDL-cholesterol, and triglyceride tended to increase, and HDL-cholesterol tended to decrease. Specially, the elderly over the body mass index of 23 in 2005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serum and triglyceride than the elderly below the body mass index of 23 in 2005(p<0.01). The elderly below the body mass index of 23 were lower in food and nutrient intake amounts than the elderly over the body mass index of 23 in 2005 and 2007. In particular, the lower body mass indices were according to the class intervals of body mass index in 2005, the lower food and nutrient intake amounts were in 2007.

7.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subjects' nutritional risk index, diastolic blood pressure, systolic blood pressure, waist to hip circumference ratio, body mass index, fasting blood glucose, and serum lipid, there occurr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lderly of high nutrition-risk group(over 6 indices) and the elderly of good nutrition group(below 4 indices) according to nutritional risk index in 2005 and 2007. In contrast, in fasting blood glucose and serum lipid in 2007 according to nutritional risk index in 2005, as nutritional risk index became high, HDL-cholesterol was significantly low and triglyceride was significantly high. The elderly of high nutrition-risk group(over 6 indices) were lower in food and nutrient intake amounts than the elderly of good nutrition group(below 4 indices). Particularly, in the food and nutrient intake amounts according to nutritional risk index in 2005, the higher nutritional risk index was, the lower food and nutrient intake amounts were.

Like the above, the elderly's health and nutrition status influenced body mass index and nutritional risk index. There was the difference in body mass index according to serum lipid and food and nutrition intake amounts from the time to study. In contrast, there was no difference in nutritional risk index according to serum lipid, and the higher nutritional risk index was, the lower food and nutrition intake amounts were. In the follow-up study after 2 years, if nutritional risk factors continued, there occurred the change in serum lipid. And so, through the weight control education for the elderly and the nutrition intervention for the elderly with nutritional risk factors, the welfare policies, which enable the elderly to lead their healthy life, should be prepared.
Author(s)
이우선
Issued Date
2011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5413
Alternative Author(s)
Lee, Woo Seon
Affiliation
제주대학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영양교육
Advisor
고양숙
Table Of Contents
논문개요 ⅶ

Ⅰ. 서 론 1
Ⅱ. 문헌고찰 3
1. 고령화 사회 및 건강수명 3
2. 전향성 연구 3
3. 노인의 영양위험요인 4
Ⅲ. 연구내용 및 방법 6
1. 조사대상 및 기간 6
2. 조사내용 및 방법 6
1) 일반사항 및 생활습관 조사 6
2) 신체계측 및 혈압 6
3) 혈액검사 7
4) 식생활 조사 7
5) 영양소섭취 조사 8
3. 자료처리 및 분석 8
Ⅳ. 연구결과 9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9
1) 조사대상자의 성별ㆍ연령별 분포 9
2) 조사대상자의 사회경제적 특성 10
2. 조사대상자의 생활습관 및 건강상태 11
3. 조사대상자의 신체적 특성 14
4. 조사대상자의 공복혈당 및 혈청지질 16
5. 조사대상자의 식습관 및 영양위험요인지표 19
1) 조사대상자의 식습관 19
2) 조사대상자의 영양위험요인지표 22
6. 조사대상자의 식품군 및 영양소 섭취 상태 24
1) 식품군 섭취량 24
2) 영양소 섭취량 24
7. 조사대상자의 신체계측 및 혈액지표와 영양상태의 종단적
비교 33
1) 신체질량지수와 신체계측지수 및 영양위험요인지표 비교 33
2) 신체질량지수와 공복혈당 및 혈청지질 비교 34
3) 신체질량지수와 식품군섭취량 비교 36
4) 신체질량지수와 영양소섭취량 비교 40
5) 영양위험요인지표와 신체계측지수 및 영양위험요인지표
비교 44
6) 영양위험요인지표와 공복혈당 및 혈청지질 비교 45
7) 영양위험요인지표와 식품군섭취량 비교 46
8) 영양위험요인지표와 영양소섭취량 비교 50
Ⅴ. 고 찰 54
Ⅵ. 요약 및 결론 66
Ⅶ. 참고문헌 69
부 록 76
Abstract 84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이우선. (2011). 제주지역 노년층의 영양위험요인지표와 건강상태에 대한 종단적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Nurtition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