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국어 교과서 '도입 학습' 분석

Metadata Downloads
Abstract
본 연구는, 1~4학년의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도입 학습의 전체를 두 부분으로 나누어 분석해 봄으로써 국어과 교과서 도입학습의 개선에 대한 시사점을 얻기 위해 진행하였다.
교실 현장에서 핵심적인 교수․학습 자료로 활용되고 있는 교과서를 추상적인 수준이 아니라 수업 현장에 직접 투입하고 있는 면에 초점을 맞추어 검토하고 이를 현장 교사와 함께 공유하여 교과서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것은 수업의 질과 직결되는 일이라고 판단하였다. 이에 단원의 첫 시작이라 할 수 있는 도입학습의 목적이 무엇이고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도입학습이 어떤 유형으로 제시되고 있는 가를 꼼꼼히 검토해 보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구체적인 논의 과정을 살펴보면, Ⅱ장에서는 도입 학습의 분석을 위한 교과서의 특성에 대한 고찰로 1절에서는 교과서의 개념과 기능을 살펴보았다. 2절에서는 2007 개정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과 특징을 알아보았고, 3절에서는 개정 교과서의 단원 구성 원리를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도입 학습의 의의와 특징에 대한 고찰로 1절과 2절에서는 도입 학습의 의의와 특징에 대해 살펴 보았으며, 3절에서는 삽화와 유형 분석 시 필요한 유형 분류 기준을 마련하기 위해 Keller의 학습 동기 이론에 대해 살펴보았다.
Ⅳ장에서는 2007 개정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 『듣기․말하기』, 『읽기』, 『쓰기』, 『듣․말․쓰』의 단원 도입 학습을 구성 요소별로 분석하였다. 1절에서는 1~4학년 교과서 총20권 159개의 도입 학습 분석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2절에서는 삽화와 발문부분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고 3절에서는 단원의 길라잡이부분을 분석하였는데 삽화와 발문 유형 분석에서 큰 문제점은 발견할 수 없었다. 1학년의 경우에 동기유발 유형이 월등히 많았고, 학년이 올라갈수록 동기유발 유형이 가장 많긴 하지만 배경지식활성화 유형도 꽤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그에 비해 학습목표주지 유형은 모든 학년에서 낮은 빈도를 보였다. 1~4학년 수준에서는 도입학습 전개 시 학습목표를 인지하고 학습목표를 해결하는 조금은 딱딱한 전개의 학습활동에 대한 안내보다 단원에서 학습할 내용에 대해 학습 동기를 유발하고 배경지식을 활성화하는 삽화와 발문이 더 적절하다고 판단하였다. 단원의 길라잡이 구성 형태는 대부분 각 학년 수준에 맞게 적절한 내용이 제공되고 있었으나 교과서 간에 일관성과 학년 간의 연계성 측면에 조금 더 신경을 써야 할 필요가 있었다. 4절에서는 2,3절에서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도입학습의 개선 방안을 살펴보았다.
Ⅴ장에서는 이상의 논의를 정리하고 국어과 교과서 도입 학습의 시사점과 더 좋은 도입 학습을 위한 개선 방향을 제언하였다. 첫째, 교과서나 교사용 지도서 상에 '도입 학습' 이라는 용어의 도입이 필요하다. 둘째, 지금보다 더 효율적으로 학습자가 동기유발을 하고 배경지식을 활성화하며 학습목표를 인식하기 위해 끊임없는 연구를 통한 삽화와 발문의 제작이 필요하다. 셋째, '단원의 길라잡이' 라는 용어의 도입과 여기에 제공될 내용에 대한 지침이 필요하다. 넷째, 단원의 길라잡이의 학년 간, 교과서 간에 일관성과 연계성 측면에 대한 면밀한 후속 검토가 필요하다.
단원 학습의 첫 시작이라 할 수 있는 도입 학습에 대한 연구자들의 끊임없는 관심과 연구를 통하여 도입 학습이 학습자와 교사에게 단원 학습에 대한 동기유발, 배경지식활성화, 학습목표 인식과 더불어 학습의 방향과 성격 등 단원의 '시작'에서 학습해야 할 내용을 정확히 제공해 줄 수 있도록 교과서 도입 학습에 대한 질적 개선은 계속해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executed to examine what has to be done to improve introduction leaning in Korean language text book by performing analysis dividing the total introduction learning in the first grade to the fourth grade text books into two parts.
We judged that reviewing the text books which are utilized as core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in classroom sites not at an abstract level but putting the focus on the aspect that these are directly inputted to learning sites, and sharing the findings with site teachers to enhance their understanding about textbooks are directly related to the quality of lesson. Accordingly, we judged that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a study of meticulously reviewing what is the objective of introduction learning which can be said to be the start of a unit and in what type introduction leaning is presented to achieve such an objective.
When we look into the detailed process of discussion, in Chapter II which is the study on theoretical background for analysis of introduction learning, we reviewed concept and function of a textbook in Clause 1. We studied learning motivation theory of Keller in clause 2 in order to provide a type classification standard required for analysis of illustration and type of introduction learning. In clause 3, we briefly investigated the part of revised educational course of 2007 related to this study and reviewed composition principle and system as well as components of units of a textbook.
In Chapter III, we analyzed 'introduction learning' of hear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units of revised elementary Korean language textbooks of 2007. In clause 1, we explained the method to analyze 159 introduction learnings of total 20 volumes of the first to fourth grade textbooks. In clause 2, introduction learning was analyzed dividing it into two parts, episode with epilogue and guide for the unit, and we could not find any big problem in the overall look of the type of episode and epilogue. In case of the first grade, there were far more cases of motivation type and, though there were more cases of motivation type as the grade went up, background knowledge invigoration type also comprised somewhat high weight. By comparison, learning goal reminding type showed low frequency in all the grades. At the first and the fourth grade level, we judged that episodes and epilogues which induce learning motive for the content to learn in the unit and invigorate background knowledge are more adequate than guide for learning activities a little formally unfolded which helps the students to recognize and resolve learning goals when unfolding introduction learning. Though adequate contents were being provided for unit guides in most of cases in accordance with the level of each grade, there was a necessity to pay some more attention to consistency between textbooks and connectivity between grades. In Clause 3, we looked into the method to improve introduction learning on the basis of the result of analysis carried out in Clause 2.
In Chapter IV, we put together what we have discussed up to now and proposed suggestions for introduction learning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and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for better introduction learning. First, it is necessary to start using the term 'introduction learning' in the textbooks or in the guides for teachers. Second, it is required to produce episodes and epilogues through continuous study in order to efficiently induce motivation of learners and to help them to invigorate background knowledge and recognize learning goals. Third, we need introduction of the term 'guide for unit' and guidelines for the content to be provided for the same. Fourth, a follow-up study is required to be carried out on the aspect of consistency and connectivity between grades and textbooks of guide for unit.
Qualitative improvement of introduction learning of textbook should be continuously carried out by researchers through incessant interest in and study on introduction learning which can be said to be the start of learning in a unit so that the content to learn in the 'beginning' of a unit such as direction and nature of learning can be accurately provided to learners and teachers in addition to inducement of motivation, invigoration of background knowledge and recognition of learning goals.
Author(s)
최지영
Issued Date
2011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5425
Affiliation
제주대학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초등국어교육
Advisor
이주섭
Table Of Contents
국문초록 ⅳ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내용과 방법 2
3. 연구의 제한점 4

Ⅱ.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국어 교과서의 특성 5
1. 교과서의 개념과 기능 5
2. 2007 개정 국어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과 특징 6
3. 2007 개정 국어 교과서 단원 구성 원리 9

Ⅲ. 2007 개정 국어 교과서 도입 학습의 의의와 특징 11
1. 도입 학습의 의의 11
2. 도입 학습의 특징 13
3. 학습 동기 이론 15

Ⅳ. 2007 개정 국어 교과서 도입 학습의 구성 요소별 분석 18
1. 분석 대상과 방법 18
2. 삽화와 발문부분 분석 19
3. 단원의 길라잡이부분 분석 37
4. 교과서 도입 학습의 개선 방안 60

Ⅴ. 결론 및 제언 62

참고문헌 65
ABSTRACT 68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최지영. (2011).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국어 교과서 '도입 학습' 분석
Appears in Collections:
Elementary Education > Elementary Korean Language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