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중학교 미술교육에 있어서 한국화 인지도에 관한 조사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Perception of Korean Paintings in Middle School Art Education
Abstract
우리의 전통회화는 예로부터 독창적으로 계승·발전하여 온 문화유산이다. 조상들이 남긴 문화유산을 중학교 미술교육과정에서 편성, 운영함으로써 자라나는 청소년들에게 우리 민족의 뿌리를 알고 민족의 일원으로서 자아정체감을 찾게 하는 과정이라는 데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더불어 우리의 문화를 주체적으로 선택, 수용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해 줌으로써 국제적 인간형으로 성장하는 밑거름이 되기도 한다. 그러나 최근 인터넷의 급속한 보급은 세계의 다양한 예술문화의 특성을 사라지게 하고 있다. 우리 전통회화도 세계화의 흐름 속에 고유의 특성이 점차 사라지고 있어, 우리 전통 미술을 지키기 위한 노력이 더욱더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우리의 현실은 입시위주의 교육, 과밀학급, 한국화 전공교사 부족 등 여러 가지 문제점들로 전통 미술 교육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반면, 서양 미술 교육은 손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와 재료 사용의 용이함으로 현재 미술교육의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학습형태는 학생들에게 전통 미술에 대해 접할 기회를 부족하게 하였고 그 결과 전통회화를 낯설어하거나 어려운 것으로 인식하게 되었으며 그로 인해 한국화에 대한 관심과 흥미가 점차 사라지고 있다.
이런 시점에서 한국고유의 정체성을 되찾고, 학생들에게 한국화에 대해 친숙함을 느낄 수 있고,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한국화 지도 개선 방안이 요구되고 있기에 이를 모색해 보고자 제주도내에서 근무하는 미술교사와 중학교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한국화 교육의 실태 및 문제점을 조사하였다.
설문지를 통한 조사 결과 교사들의 느끼는 한국화 교육의 실태 및 문제점으로는 첫째, 수업에 필요한 교구 및 설비 부족과 학생들의 수업준비 상태 미비(45%) 때문에 한국화 실기 수업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기 수업 시 한 교사가 지도해야 할 학생 수가 너무 많아(45%) 실기 지도의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현재 교과서 내용상 기초적인 표현기법이나 구체적인 제작과정에 관한 내용의 부족으로 수업시간에 교과서는 대부분 활용하지 않는 것(45%)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이 생각하는 한국화 교육의 실태 및 문제점으로는 첫째, 평소 자주 접할 기회가 적어 다른 영역에 비해 한국화에 대한 관심과 흥미도는 매우 낮고(5.3%), 둘째, 한국화 제작과정을 구체적으로 배운 적이 거의 없어(67%), 학생들의 한국화 전반에 대한 인지도는 매우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여 한국화 교육을 활성화하고 학생들로 하여금 관심과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방안은, 한국화 지도에 필요한 준비물 및 용구 등 제반 시설확충을 의무적으로 하도록 제도를 마련하여야 하고, 교과서의 내용 중 기초적인 표현기법이나 제작과정을 보다 폭넓게 수록하여 교사 및 학생들이 교과서를 충분히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전통재료와 함께 현대적인 다양한 재료 활용으로 학생들이 흥미를 가지고 수업에 임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며, 또한 한 교사가 지도해야 할 학생 수를 조정하여 충분한 실기 지도 수업이 진행되도록 여건을 함께 마련하여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서 학생들에게 전통 문화와 미술에 대한 우수성을 다시 한 번 깨닫게 하고 다양한 재료 활용과 기법을 통한 수업으로 한국화의 정신성과 그 배경사상을 이해하여 우리 전통미술에 대한 인식을 보다 심도있게 함으로써 민족의 정체성을 찾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본다.
또한, 전통 미술을 생활 속에서 자주 접하고 공감하도록 교육하면 우리 민족만이 간직한 고유한 문화가 더욱 계승·발전 되고, 그 가치를 알고 전통 문화를 아끼고 사랑하는 마음과 태도를 가질 것으로 기대한다.
Our traditional paintings are cultural legacy inherited and developed ingeniously from the old days. Inclusion and operation of the cultural legacy (left by our ancestors) in the fine arts curriculum of middle school will be worthwhile to try, as they will help the growing youths perceive the roots of our nation and people, and find self-identity as a part of the people. They can also provide a foothold upon which students can initiate to select and accommodate our culture, thus functioning as basis for students to grow up into internationalized manhood. Recently, however, rapid spread of internet makes the diverse characteristics in culture and art of the world fade away. Traditional paintings of Korea are also losing their unique features in the midst of globalization trend, which raises the need for reinforced efforts in order to preserve our traditional art.
But the reality we are situated is full of problems, such as (college) entrance exam-oriented education, overcrowded classes, and shortage of teachers specialized in Korean paintings, and accordingly the traditional art education has not been implemented properly. On the contrary, western art education has become the mainstream of today's fine arts instruction thanks to abundant education materials available and the ease in using them. Such lopsided educational trend has gradually deprived students of the opportunity to gain access to our traditional art, and as the result, students have come to perceive traditional paintings as something strange and difficult, leading to consequential loss of interests in Korean paintings.
At this juncture, it is required to improve instruction methods on Korean paintings (which can help students realize the unique identity of Korea) in the way to make students foster familiarity with Korean paintings and approach them more easily. With the aim to seek such improvement methods, this study attempted to research the present situations and problems in Korean painting education, setting as objects the art teachers and 2nd graders of middle schools located in Jeju province.
As a result of the research conducted through questionnaire survey, the following findings were identified as the situations and problems (in Korean painting education) felt by teachers. First, it was revealed that practical skill classes on Korean painting have not been operating properly due to shortage of teaching materials and facilities (which are required for classroom lessons) as well as students' lack of preparedness (45%) for class. Second, difficulty was ascertained in practical skill instruction as the number of students to be taken care by one teacher at class is too large (45%). Third, it was disclosed that most classes do not utilize textbooks due to their insufficiency in basic expression skills and lacking contents on specific production process.
The situations and problems felt by students appeared as follows. First, students have not been given adequate opportunity to gain access on Korean paintings, resulting in very low degree of curiosity and interest in Korean paintings (5.3%) compared with other sectors. Second, students feel they have not been given in-depth education on production process of Korean painting (67%), resulting in very low awareness of overall Korean paintings.
As a means to address such problems and thus to facilitate Korean painting education, while motivating students' concern and interest, it is required to institutionalize compulsory extension of supporting facilities, such as preparatory materials and kits (which are essential to Korean painting instruction). It is also necessary to include basic expression skills and production process more extensively in textbook so that teachers and students may utilize textbook actively. It would be also desirable to adopt diverse ultramodern materials along with traditional materials, so that students may attend classes with heightened curiosity. It is further required to arrange desirable environment by adjusting the number of students to be taken care by one teacher, so that adequate instruction on practical skills may proceed well.
I hope this study will function as an occasion to make students realize the excellence of our traditional culture and fine arts, while helping them to perceive the spirituality of Korean paintings and the background philosophy through classroom lessons using diverse materials and techniques, and also enabling them to appreciate our traditional art more deeply, thereby contributing to students' awareness of the roots of our people as well as their finding the identity as Korean.
Furthermore, if we educate students in the way to widen their exposure to Korean art and facilitate their feeling sympathy with traditional art, the unique culture treasured by our people will be succeeded to future generations and developed further, and students will hopefully foster the mind and attitude of caring and enjoying our cultural works while appreciating their real value.
Author(s)
오연순
Issued Date
2011
Awarded Date
2011. 7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5446
Alternative Author(s)
Oh, Yeon-sun
Affiliation
제주대학교
Department
교육대학원 미술교육
Advisor
강동언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Ⅰ.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2. 연구의 내용과 범위 2

Ⅱ. 미술교육의 이론적 배경 4
1. 미술교육의 개념 및 목적 4
2. 미술과 교육과정의 변천 6
3. 제7차 교육과정과 한국화 교육의 필요성 10

Ⅲ. 한국화 교육의 인지도에 관한 실태조사 및 분석 13
1. 미술교사에 대한 한국화 교육의 실태조사 13
2. 한국화 학습에 대한 인지도 실태조사 23
3. 설문지 조사 결과에 대한 분석 57

Ⅳ. 한국화 교육의 문제점 및 인지도 향상을 위한 개선 방안 61
1. 한국화 교육의 문제점 61
2. 한국화의 인지도 향상을 위한 개선 방안 62

Ⅴ. 결론 64


참고문헌 66
ABSTRACT 68
부록(설문지) 70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오연순. (2011). 중학교 미술교육에 있어서 한국화 인지도에 관한 조사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Fine Arts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