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운동강도별 유산소 운동이 비만 중년여성의 대사증후군 위험인자 및 인슐린저항성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Effects of Aerobic Exercise Intensity on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and Insulin Resistance in Obese Middle-aged Woman
Abstract
본 연구는 12주간 운동강도별 유산소 운동이 비만 중년여성의 대사증후군 위험인자(비만지표, 혈압, 혈중지질 성분, 공복 혈당) 및 인슐린저항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운동처방의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J 보건소에서 체지방률이 35% 이상인 비만 중년여성 27명을 선정하여 통제 그룹(n=9), 저강도 운동그룹(n=9), 중강도 운동그룹(n=9)으로 무선배정 하였다. 12주간 운동프로그램은 예비심박수%로 운동강도를 결정하고 저강도 운동그룹은 HRR 40%, 중강도 운동그룹은 HRR 60%에서 주 3회, 40분간 걷기를 실시하였으며 통제 그룹은 평소대로 일상생활에 임하도록 하였다. 측정시기는 12주간 운동강도별 유산소 운동 실시 전 그리고 12주경과 후 총 2회 측정하였다. 모든 자료는 SPSS ver. 12.0을 이용하여 각 측정항목에 대한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그룹 내 측정변인간의 전ㆍ후 변화를 검증하기 위해 대응표본 t 검정을 사용하였다. 또한, 그룹 간 변화와 변화량을 분석하기 위해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유의성이 인정될 경우 Tukey의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가설의 검증을 위한 유의수준은 5%로 설정하였다.
12주간의 운동강도별 유산소 운동을 실시한 결과 저강도 운동그룹은 비만지표(체중, 체질량지수, 체지방률, 허리둘레), 혈압,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공복 혈당, HOMA-IR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인슐린에서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통계적으로는 그룹 내에서 체중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그룹 간 변화량에서는 체지방률이 통제 그룹보다 유의하게 감소 하였다. 중강도 운동그룹은 비만지표(체중, 체질량지수, 체지방률, 허리둘레), 혈압,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공복 혈당, 인슐린, HOMA-IR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에서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통계적으로는 그룹 내에서 체중, 체질량지수, 체지방률, 허리둘레,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공복 혈당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그룹 간 변화량에서는 체중, 체질량지수, 체지방률, 허리둘레가 통제 그룹보다 유의하게 감소를 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12주간의 운동 강도별 유산소 운동은 대사증후군 위험인자 및 인슐린저항성 개선에 있어 저강도 운동그룹과 중강도 운동그룹 모두 전반적으로 개선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통계적으로는 중강도 운동그룹에서 더 높은 개선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비만 중년여성의 대사증후군 위험인자 및 인슐린저항성 개선에 있어 중강도 유산소 운동이 저강도 유산소 운동에 비해 더욱 효과적인 운동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신체활동을 기피하고 중강도 이상에서의 운동을 수행하는데 있어 무리가 있다고 느끼는 비만 중년여성들에게는 처음부터 무리한 중강도 이상에서의 운동을 처방하지 말아야 한다. 이는 비만 중년여성들에게 저강도 유산소 운동 만으로도 비만지표의 개선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여성들에게는 먼저 저강도 유산소 운동을 처방한 후 체력이 향상되어 지면 점진적으로 강도를 높여 중강도(HRR 60%) 이상에서의 유산소 운동을 처방하는 것이 대사증후군 위험인자 및 인슐린저항성 개선에 효과적이고 운동 참여율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erobic exercise intensity of for 12 weeks on the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obesity markers, blood pressure, blood lipids and fasting glucose) and insulin resistance and to be utilized as the basic data of exercise prescription. This study selected 27 obese middle-aged women with more than 35% of percent body fat at J public health center and thereby randomly assigned into control group(n=9), low intensity exercise group(n=9) and moderate intensity exercise group(n=9). The exercise intensity of the exercise program for 12 weeks was decided by the percentage of heart rate reserve(HRR), and walking for 40 minutes three times a week was conducted at 40% of HRR by the low intensity exercise group and at 60% of HRR by the moderate intensity exercise group. The measurement was conducted twice before the execution of aerobic exercise of each intensity for 12 weeks and after the 12th week. For all data, the average and the standard deviation of each measurement item were calculated by using SPSS ver. 12.0, and the paired t-test was used in order to verify the before and after of measured variables in the group. In addition, the one-way ANOVA was conducted in order to analyze the changes between groups and the change, and post-verification of Tukey was conducted when the significance is acknowledged. The significance level for the verification of the hypothesis was set at the p<.05.
As a result of the execution of aerobic exercise of each intensity for 12 weeks, the low intensity exercise group showed a decrease in obesity markers(body weight, body mass index, percent body fat, waist circumstance), blood pressure,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fasting glucose and HOMA-IR and showed an increase in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and insulin. Statistically, body weight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group, and percent body fat significantly decreased more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change between groups. The moderate intensity exercise group showed a decrease in obesity markers(body weight, body mass index, percent body fat, waist circumstance), blood pressure,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fasting glucose, insulin and HOMA-IR and showed an increase in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Statistically, body weight, body mass index, percent body fat, waist circumstance,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and fasting glucos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group, and body weight, body mass index, percent body fat and waist circumstance significantly decreased more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change between groups.
Synthetically, aerobic exercise of each intensity for 12 weeks showed a tendency of general improvement of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and insulin resistance in both the low intensity exercise group and the moderate intensity exercise group, and statistically, the moderate intensity exercise group showed a higher improvement. That is, it can be said that moderate intensity aerobic exercise is more effective than low intensity aerobic exercise in improving the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and insulin resistance of obese middle-aged women. However, one should not prescribe exercise of more than moderate intensity from the beginning to obese middle-aged women who evade physical activities and feel that it is excessive to do exercise of more than moderate intensity. The reason for this is that even only the low intensity aerobic exercise has the effects of improvement of obesity markers for obese middle-aged women. It is thought that it will be effective in the improvement of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and be able to increase the exercise adherence to first prescribe the low intensity aerobic exercise for these women and then gradually increase the intensity when their physical strength is enhanced and thereby to prescribe the aerobic exercise of more than moderate intensity(HRR 60%).
Author(s)
고평석
Issued Date
2011
Awarded Date
2011.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5452
Alternative Author(s)
Ko, Pyeong Seok
Affiliation
제주대학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체육교육
Advisor
이창준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4
3. 연구의 가설 4
4. 연구의 범위 5
5. 연구의 제한점 5
6. 용어의 정의 6
1) 대사증후군 6
2) 인슐린저항성 6

Ⅱ. 이론적 배경 7
1. 대사증후군 7
1) 대사증후군의 정의와 역사 7
2) 대사증후군의 진단 기준 9
3) 대사증후군의 위험 요인 11
(1) 복부비만과 운동 11
(2) 혈압과 운동 12
(3) 혈중지질과 운동 14
(4) 혈당과 운동 17
2. 인슐린저항성 19
1) 인슐린저항성과 지표 19
2) 인슐린저항성과 운동 21
3. 운동강도의 역할 22
4. 중년여성과 건강 23

Ⅲ. 연구 방법 25
1. 연구대상 25
2. 실험설계 26
3. 측정항목 27
4. 측정 방법 및 도구 27
1) 대사증후군 위험인자 27
2) 인슐린저항성 28
5. 운동 프로그램 29
6. 자료처리 30

Ⅳ. 연구 결과 31

1. 대사증후군 위험인자의 변화 31
1) 비만지표의 변화 31
(1) 체중의 변화 31
(2) 체질량지수의 변화 32
(3) 체지방률의 변화 33
(4) 허리둘레의 변화 35
2) 혈압의 변화 36
(1) 수축기 혈압의 변화 36
(2) 확장기 혈압의 변화 37
3) 혈중지질의 변화 39
(1) 총콜레스테롤의 변화 39
(2) 중성지방의 변화 40
(3)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의 변화 41
(4)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의 변화 43
4) 공복 혈당의 변화 44
2. 인슐린저항성의 변화 45
1) 인슐린의 변화 45
2) HOMA-IR의 변화 47

Ⅴ. 논의 48
1. 대사증후군 위험인자에 미치는 영향 48
1) 비만지표에 미치는 영향 48
2) 혈압에 미치는 영향 50
3)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51
(1) 총콜레스테롤에 미치는 영향 51
(2) 중성지방에 미치는 영향 53
(3)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에 미치는 영향 53
(4)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에 미치는 영향 55
4) 공복 혈당에 미치는 영향 56
2. 인슐린저항성에 미치는 영향 57

Ⅳ. 결론 59

참고문헌 61

ABSTRACT 78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고평석. (2011). 운동강도별 유산소 운동이 비만 중년여성의 대사증후군 위험인자 및 인슐린저항성에 미치는 영향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Physical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