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고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지지와 자기효능감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effect of the social support and the self-efficacy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on career maturity
Abstract
본 연구는 고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지지와 자기효능감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고 자기효능감이 사회적지지와 진로성숙에서 매개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사회적지지와(부모, 교사, 친구)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는 상관관계가 있는가?
연구문제 2: 사회적지지는(부모, 교사, 친구)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3: 자기효능감은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4: 사회적지지는(부모, 교사, 친구)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5: 사회적지지와(부모, 교사, 친구) 진로성숙도에서 자기효능감이
매개역할을 하는가?

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주특별자치도에 소재하는 10개 고등학교의 1,2학년 남,여 762명을 대상으로 사회적지지,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검사를 실시하고, 그중 700부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연구의 측정도구는 사회적지지 검사를 위해 Nolten(1994)의 Student Social Support Scale을 번역한 "학생사회지지척도"를 수정하여 사용한 이미라(2000)의 사회적지지 지각척도를 사용하였고, 자기효능감 검사를 위해 차정은(1997)의 것을 김아영(1997)이 수정한 일반적 자기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진로성숙도를 검사하기 위해서 이기학(1997)이 개발한 진로성숙도 척도를 사용하였고 자료분석은 SPSS for Windows 12.0에 의해 상관분석, 단순회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지지(부모, 교사, 친구)와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고 사회적지지(부모, 교사, 친구)가 높을수록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가 높았으며 또한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진로성숙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지지(부모, 교사, 친구)는 진로성숙도 전체와 하위요인인 결정성, 확신성, 준비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사회적지지(부모, 교사, 친구)수준이 높을수록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가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효능감은 진로성숙도의 전체와 하위요인인 결정성, 목적성, 확신성, 준비성, 독립성의 모든 변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자기효능감수준이 높을수록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가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적지지(부모, 교사, 친구)는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사회적지지(부모, 교사, 친구)수준이 높을수록 자기효능감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사회적지지(부모, 교사, 친구)와 진로성숙도에서 자기효능감은 매개효과를 나타내어 사회적지지(부모, 교사, 친구)는 자기효능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것은 다시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사회적지지(부모, 교사, 친구),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는 서로 깊은 관련이 있으며 자기효능감은 사회적지지(부모, 교사, 친구)와 진로성숙도사이에서 매개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부모, 교사, 친구의 사회적지지의 필요성이 강조되며 의미 있는 타인들로부터 받는 외부자원인 사회적지지가 자기능력에 대한 개인의 신념을 나타내는 개인내적자원인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이를 토대로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on career maturity, and whether self-efficacy mediates between social support and career maturity.

Study problem 1: Is there a correlation among social supports (parents, teachers, and friends),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Study problem 2: Does social support (parent, teachers, and friends) influence career maturity?
Study problem 3: Does self-efficacy influence career maturity?
Study problem 4: Does social support (parent, teachers, and friends) influence self-efficacy?
Study problem 5: Does self-efficacy mediate between social support (parents, teachers, and friends) and career maturity?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test for social support,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were conducted, targeting 762 male and female students in grade 1 and 2 of 10 high schools, located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nd 700 copies were used for an analysis.
With respect to the study measurement tool, the social support perception scale of Lee, Mira(2000) in which "Students Social Support Scale" using the translated "Nolten(1994)'s 'the Student Social Support Scale'", was used, and for the test of self-efficacy, 'the general self-efficacy scale' in which Cha, Hungeon(1997)'s self-efficacy sale was revised by Kim, Ayoung(1997), was used. To test career maturity, 'the career maturity scale', developed by Lee, Kihak(1997), was used, and for the analysis of the data, a correlation analysis, a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a multi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by SPSS for Windows 12.0.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 relations among social support (parents, teachers, and friends),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The higher the social support (parents, teachers, and friends), the higher the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were, and the higher the self-efficacy, the higher the career maturity was.
Second, social support (parents, teachers, and friends) had positive effects on entire career maturity and the sub-factors: determinacy, certainty and readiness, and the higher social support (parents, teachers, and friends), the more the career maturity was improved.
Third, self-efficacy had effects on entire career maturity and the sub-factors: the variables of determinacy, finality, readiness, and independency, and the higher the level of self-efficacy, the more the career maturity of high school students was improved.
Fourth, social support (parents, teachers, and friends) had positive effects on self-efficacy, and the higher the level of social support (parents, teachers, and friends), the more the self-efficacy was improved.
Fifth, self-efficacy had the mediated effect in social support (parents, teachers, and friends), and social support (parents, teachers, and friends) had direct effect on self-efficacy, and this, consequently, had indirect effect on the career maturity of high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findings as above, social support (parents, teachers, and friends),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we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and self-efficacy had the mediated effect between social support (parents, teachers, and friends) and career maturity. Thus, it was known that, to establish the career maturity of high school students, the necessity of the social supports from parents, teachers, and friends, should be emphasized and the social support, 'the external resources received from significant others' had the positive effect on the self-efficacy, 'the personal innate resources, indicating the personal belief to their own capability'; based on this, playing a pivotal role in establishing the career maturity of high school students.
Author(s)
김도연
Issued Date
2011
Awarded Date
2011.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5492
Alternative Author(s)
Kim, Do-Yeon
Affiliation
제주대학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상담심리
Advisor
김성봉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문제 및 가설 4

Ⅱ. 이론적 배경 5
1. 사회적지지 5
2. 자기효능감 8
3. 진로성숙도 10
4. 사회적지지와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와의 관계 12

Ⅲ. 연구방법 및 절차 16
1. 연구대상 16
2. 연구도구 17
3. 연구절차 20
4. 자료처리 20

Ⅳ. 연구결과 및 해석 22
1. 변인들의 평균 및 표준편차 22
2. 사회적지지,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의 상관관계 23
3. 사회적지지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25
4. 자기효능감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29
5. 사회적지지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30
6. 사회적지지와 진로성숙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31

Ⅴ. 논의 및 결론 39
참고문헌 43
Abstract 48
부 록 51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김도연. (2011). 고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지지와 자기효능감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Counseling Psycholog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