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독서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아동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Effects of Bibliotherapy Group Counseling On Children's Emotions Intelligence
Abstract
본 연구는 독서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아동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가 있는지 밝히고자 하는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문제 : 독서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아동의 정서지능에 어떤 효과가 있을 것인가?

위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대상 선정, 사전검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구성, 독서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적용, 사후검사, 통계 처리 및 자료 분석의 순으로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은 제주시내 소재한 지역아동센터 두 곳을 선정하여 초등학교 3~4학년 아동을 실험집단 10명, 통제집단 10명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아동들의 정서지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검사 도구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문용린(1997)이 제작한 초등학교 3학년 이상용 정서지능 검사를 사용하였다. 이 척도의 하위영역은 정서인식, 정서표현, 감정이입, 정서조절, 정서활용으로 5개의 영역 전체 47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독서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독서치료 이론서와 타 여러 논문에서 실시한 프로그램, 연구자의 경험을 기반으로 본 논문의 주제에 적합하다고 판단된 내용과 활동을 총 11회기로 새롭게 재구성한 것이다.
실험집단 10명에게는 독서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를 가하지 않았으며 실험이 끝난 후 사전검사와 동일한 정서지능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자료 분석은 SPSS for Windows 1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고 통계 분석의 타당도를 보완하기 위해 질의응답, 관찰 내용과 만족도 평가지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독서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정서지능 향상에 효과가 있 음이 입증되었다.
둘째, 독서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사후검사 에 있어서 정서지능과 그 하위영역인 정서인식, 정서표현, 감정이입, 정서조절, 정서활용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검사지 반응 분석결과의 보완을 위한 소감문 및 관찰 내용 분석 결과, 독서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통해 자기 이해와 타인 이해의 증진, 정서 표현, 정서조절을 하면서 관계 형성에 긍정적인 도움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는 독서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통해 아동의 정서지능 향상에 효과적이라는 결과를 검증했다는 면에서 의의가 있다. 특히 기존에 시도하지 않았던 지역아동센터의 아동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으며 최근 해마다 늘어가는 지역아동센터에 적용하는 데 참고 자료로 활용되었으면 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how bibliotherapy group counselling effect the emotions intelligence of children. To achieve this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 is established.

Does the bibliotherpy group counseling improve the emotion intelligence of children?

To answer the question of this research above, the subject of research was selected,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followed by the organization of experience group and control group, application of reading education program, after-the-fact survey, statistical processing and data analysis.
The subjects Jeju City Children's welfare center, located two locations chosen for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grades 3-4 the experimental group 10 people, consisted of a control group was 10.
In this study, to measure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tests that are commonly used as a tool produced by Moon Yong-rin(1997) third grade or later, an autopsy was used emotional intelligence. The scale subdivisions are the cognition of emotion, the expression of emotion , empathy, the control of emotion, and the utilization of emotion.
Used in this study, a bibliotherapy group counselling treatment program and other bibliotherapy literature treatment programs conducted at several papers, based on the experience of the researchers on the topic of this paper is appropriate content and activities are determined by total of 11 session will be reconstructed.
For the analysis of data, Windows SPSS 17.0 program was used to conduct t-Test. To complement the statistical validity of the creation and questions and answers, observations and information on whether and satisfaction were analyzed.

The findings of the study indicated the followings:

First, in comparison to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that treated with the bibliotherapy croup counseling turned out to make significant improvement in emotion intelligence.
Second, in comparison to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that treated with the bibliotherapy croup counseling turned out to make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cognition of emotion, the expression of emotion, empathy, the control of emotion, and the utilization of emotion.
Third, to supplement the results of quantitative analysis, results from qualitative analysis indicated that children have experienced improvement in self-understanding and the expression of emotion, empathy, the control of emotion development of peer relationship through positive interaction and familiar relationship between group members.

Through these results, we corroborated our hypothesis that the bibliotherapy group counseling effectively improved the emotion intelligence. Specially, did not attempt to target local children's centers were children. The study has brought positive results. Recently a growing area to apply for the children's center has been reference.
Author(s)
김희정
Issued Date
2011
Awarded Date
2011.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5513
Alternative Author(s)
Kim, Hee-jung
Affiliation
제주대학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상담심리
Advisor
김성봉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문제 및 가설 5

Ⅱ. 이론적 배경 6
1. 독서치료 6
2. 정서지능 16
3. 독서치료와 정서지능과의 관계 20

Ⅲ. 연구방법 및 절차 25
1. 연구대상 25
2. 연구도구 25
3. 연구설계 32
4. 연구절차 32
5. 자료처리 및 분석 33

Ⅳ. 연구결과 및 해석 35
1. 통계적 결과 분석 35
2. 질적 자료 분석 38

Ⅴ. 논의 및 결론 46

참고문헌 49

Abstract 54

부 록 57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김희정. (2011). 독서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아동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Counseling Psycholog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