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천경자의 작품세계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Cheon, Kyung-Ja's art works
Abstract
불안과 혼돈 속에서 방황하는 인간은 예술을 통해 상실된 본래의 자아를 회복하기 위해 노력한다. 즉 자아정체성을 확립하고 각자의 개성을 발견하며 스스로가 주체가 되어 진정한 '나'를 찾는 창조적인 삶을 살기 위해 고뇌한다. 그러므로 예술가는 외부 세계와의 갈등 속에서 자신만의 가치관을 통해 대상에 대한 객관적 외형과 본질을 파악하고 표현하며 인간의 내적욕구와 그 이상의 무언가를 채워주는 예술세계를 펼쳐 나간다.
이러한 관점에서 천경자(千鏡子) 역시 성장과정과 가정사에 비추어 볼 때 유난히 심했던 환란과 역경, 거기에서 비롯된 고독과 슬픔, 소외들을 한층 더 높은 예술로 승화시킨 작가이다. 천경자는 예술가로서 형식적 전통주의의 통속적인 관습을 탈피하고 독특한 소재와 자유로운 기법으로 채색화의 새로운 회화양식을 창출하며 근대와 현대 한국 화단에서 시대를 뛰어넘는 독창적인 회화정신을 보여준 작가이다.
천경자는 1941년 일본에서의 미술 활동을 시작으로 자신의 삶의 일상사와 내면세계를 승화시켰다. 해방 이후 채색화를 왜색풍이라 경시하던 당시 미술계의 흐름 속에서 자유롭고 신선한 구상과 대담하고 화려한 색채감각의 표현으로 자신만의 개성적인 작품세계를 확립하였다.
또한 천경자의 작품은 상상력에 의한 주제의 함축성, 효과적인 상징성과 여성 특유의 섬세한 감각 및 화제 선정으로 문학성과 현대적 조형성, 그리고 이국적 감성이 조화된 그만의 독특한 화풍을 보여주었다.
현재까지 그에 관한 연구는 많은 평론과 작가론 및 작품론 등 넓은 범위에서 다각적으로 연구가 이루어져 왔고 많은 성과가 축적되었다. 그는 수묵 위주의 시대 조류에도 불구하고 채색을 도입, 전개한 고독과 슬픔의 여류작가로 평가되고 있다.
문명의 발전이 가져다 준 물질적 풍요로움 속에서도 인간 소외와 심리적인 갈등 및 정신적인 갈증이 문제점으로 드러나는 것이 현대 사회의 아이러니이다. 현대 예술 역시 그러한 측면에 초점을 맞춰 작가론 및 작품론을 전개해 나가는 것이 전반적인 흐름이기에 천경자의 작품과 예술세계를 이와 같은 시각으로 바라보았을 때 고독과 슬픔, 특히 소외가 일관되게 드러났으며 이러한 소외, 고독을 극복하기 위한 환상적, 초현실주의의 경향도 나타났다. 그러나 결국 그의 말년은 성취할 수 없는 행복, 꿈, 소망 등으로 허망한 삶에 대한 심정을 작품에 담고 있다.
천경자의 작품을 창작 시기별로 분류하면서 주제와 소재의 특징을 파악할 수 있었다. 주제 면에서 자신의 내면적 정서인 슬픔, 고통을 자전적인 이미지로 상징화시켜 나타낸 작품과 소재 면에서 여성 특유의 섬세한 감각과 색채로 꽃, 여인, 뱀, 여배우, 외국 풍물 등을 선택하여 그만의 독자적인 화법을 구축한 점이 돋보인다. 이러한 천경자만의 특유한 구현방식 속에서 그는 민화와 전통 보자기, 한복 등에서 볼 수 있는 우리 고유의 전통 색채를 되살릴 수 있었고 60, 70년대 급격한 현대화, 서구화에 편승하여 새로운 회화양식을 시도하였고 색채에 대한 보다 다양한 실험을 통해 이를 한층 더 높은 회화세계로 승화시켜 채색화로 한국 화단의 거목으로 우뚝 설 수 있었다.
천경자는 자신의 삶에 대한 고통과 고뇌들을 작품전반에 걸쳐 상징적으로 표현하였고 한국 화단의 채색화 경시에도 불구하고 화려한 색채의 선정과 설채기법의 선택으로 문학성이 깃든 '자전적'이라는 독자적인 화풍을 이루었다는 점에서 그 예술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또한 그는 화가임에도 꾸준한 수필 저술 활동으로 문학적 소양을 드러냈으며 한국 화단에 신선한 충격과 함께 현대 채색화의 새로운 가능성과 지평을 열어주었다.
The man wandering in chaos and anxiety tries to recover original ego through the arts. In other words, the man is in anguish to live creative life and find real ego by forming self-identity, find out his personality and being himself. Therefore, the artists understand the objective appearance and essence and then express them throughout own view of value, while in conflict with the outside world. They let their art satisfy inner desire and fill something more than that.
In this sense, Cheon Kyung-Ja, who had a deprived childhood and lived in solitude, also the artist who elevated the adversity into an art. As an artist, Cheon Kyung-Ja created a new painting style that broke from the formal convention and used unique material and free technique. She is an artist who shows the creative painting-spirit to the world of modern Korea art.
Starting painting work in Japan in 1941, she had elevated daily life and the inner world into art. She established her own individual style of art, which is to express freely, freshly and colorfully in spite of the belief that colored pictures was japanese-oriented.
In addition, Cheon Kyung-Ja's works show us her own style that is in harmony with implication by her imagination, symbolic meanings, delicate sense and it is unique to woman, literary value from choosing topic, modern formativeness and exotic sensitivity.
The multilateral study about critique of artist and art work has been conducted so far. The results of study have been accumulated a lot. In spite of the India(n) ink trend at that time, she adopted coloring picture. Accordingly, she is rated as lonely lady artist.
It is irony that people in modern time feel the loneliness and have mental conflicts, while they enjoy the material wealth that the progress of civilization brought. It is a modern trend that develops the theory about the artist and art as focusing on this view. When I looked at Cheon Kyung-Ja's art works from this view, I could learn that solitude, grief, and especially the sense of alienation were revealed in her works. Fantastic surrealism turned up in order to overcome these solitude and grief. However, She was still lonely in her later years, because she could not accomplish her happiness, dream and hope.
The subject and feature could be apprehended by classifying her works according to the time. In term of subject, her arts stand for her own feeling, sorrow and pain. In term of material such as flower, lady, snake, actress, and foreign custom, the subtle and colorful sensitivity that is unique to women and is well revealed in her work. She could revive a traditional color that could be seen in Korea traditional clothes(called as Han-bok), cloth and folk painting. She tried new painting style as the sudden modernization and westernization rose at 60's and 70's. Through the various experiment in coloring, she made it in higher level. And then, she became indeed a great woman of Korea art.
Throughout the arts, Cheon Kyung-Ja express her agony and anguish by symbolizing. Despite the trend taking coloring lightly at that time, her pictures are recognized as the works of great artistic value by choosing the loud color and expressing her own feeling in her unique style. In addition, she is a artist but she have written essays constantly. It shows us her literary attainments. She opened a new prospect in the field of coloring in Korea art with fresh jolt.
Author(s)
이미성
Issued Date
2011
Awarded Date
2011.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5551
Alternative Author(s)
Lee, Mi-Seong
Affiliation
제주대학교
Department
대학원 미술학과
Advisor
곽정명
Table Of Contents
국문초록 ⅰ

Ⅰ. 서 론 1
1. 연구 목적 및 의의 1
2. 연구 내용 및 방법 2

Ⅱ. 천경자의 작품세계 4
1. 시대적 배경 및 천경자의 생애 4
1) 시대적 배경 4
2) 천경자의 생애 8
2. 작품의 시기별 분류 14
1) 제1기 - 독자적 화법의 모색기(1941-1953) 15
2) 제2기 - 초현실주의의 도입기(1954-1968) 20
3) 제3기 - 주제와 형식의 확장기(1969-1980) 27
4) 제4기 - 장식적 색상의 작업기(1981-현재) 33

Ⅲ. 천경자 작품의 특징과 현대한국화에 미친 영향 38
1. 주제적인 특징 38
2. 소재적인 특징 41
3. 현대한국화에 미친 영향 48

Ⅳ. 결 론 51

작가연보 53
참고문헌 58
61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이미성. (2011). 천경자의 작품세계에 관한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Fine Arts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