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全國과 地域放送의 선거캠페인 報道 比較 分析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Comparative Analysis on Election Campaign Reports in National and Local Broadcasting
Abstract
본 연구는 2010년 6월 2일 실시된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보여준 전국방송과 지역방송의 선거캠페인 보도 특성과 관행 분석을 통해 공통점과 차이점을 규명하는데 주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국 지상파 방송 3사와 제주 지역 지상파 방송 3사를 대상으로 선거캠페인 보도주제와 보도방식, 정보원 활용, 시민저널리즘(civic journalism) 실현 정도를 내용분석 방법을 통해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전국방송은 6.2지방선거 관련 기사를 방송사별로 한 달 동안 하루 평균 3.2건 꼴 밖에 보도하지 않았고 보도 순서도 평균 10.77번에 편집해 지방선거에 대한 보도 비중이 낮았음을 알 수 있다. 반면 지역방송은 하루 평균 4.9건의 선거 관련 보도를 다루었고, 보도 순서도 시청자 주목도가 비교적 높은 평균 4번째에 편집해 전국방송사보다 적극적으로 선거 보도에 임했음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방송의 6.2 동시지방선거 보도가 여전히 광역자치단체장선거 중심으로 전개됐음을 알 수 있다. 지방선거는 전국적으로 8개 선거가 동시에 이뤄지는데도, 방송사들은 광역자치단체장 중심의 선거보도를 통해 다른 선거에 출마한 후보들에 대한 정보를 유권자에게 전달하고 후보들이 자신들의 정책이나 공약을 알릴 수 있는 기회를 차단해 버려 제도적으로 정착되고 있는 미디어선거 취지를 무색하게 하고 있어 개선방안 마련이 시급하다.
셋째, 6.2 동시지방선거에서도 방송사들의 선거보도는 여전히 캠페인․이미지 보도가 이슈보도보다 훨씬 많았다. 특히 지역방송사들이 보도자료에 따른 선거사무와 선거절차 등을 받아쓰기 수준에서 기사화하는 것은 선거 보도 본질에 벗어나는 것으로 시급히 개선해야할 관행으로 지적됐다.
넷째, 방송사들의 보도방향은 여타 선거에 비해 개선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중립적 보도 비율이 크게 증가한 반면 부정적 보도 비율은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보여주고 있다. 이는 선거와 관련한 불법행위나 정당 간 또는 후보자 간 흑색선전과 소모성 정치공방이 그만큼 줄었다는 반증이 될 수도 있는데, 방송사들이 후보 등록 이후 보여준 정책 중심의 보도태도에도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부정적 보도 형태는 지역방송보다 전국방송이 더 많았다.
다섯째, 전국방송이나 지역방송 모두 선거보도에 활용한 정보원은 일반적인 보도 때보다 많았다. 이는 공정성과 객관성, 균형성을 요구하는 선거보도에 충실하려는 방송사들의 노력으로 비쳐진다. 그러나 지역방송인 경우 51.1% 기사가 1개의 정보원만을 활용하고 있어 삼각확인 균형보도 원칙에 어긋날 뿐 아니라 보도의 일방성과 편향성이 고착될 우려가 많아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된다.
또, 정보원 선호도 역시 정당과 후보자 중심이어서 일반시민과 시민단체, 전문가 등 유권자 중심의 정보원 활용도를 높여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마지막으로, 전국방송이나 지역방송 모두 시민저널리즘 실현 정도는 과거보다 개선된 것으로 보이지만 아직도 개선 여지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슈보도 보다 캠페인․이미지 보도의 과다, 선거판세 분석을 위한 여론조사, 긍정적 보다는 부정적인 보도 방향, 엘리트 정보원 선호도 등의 보도관행을 과감히 타파하지 않는 한 유권자 중심의 보도를 실현할 수 없다.
This study is to examine prime commonality and difference coming from national and local broadcasting, regarding the nature and stereotype of their election campaign. This political festival as a local election to choose either a mayor or governor across the country was performed on June, 2 in Year 2010. Thus, it is also focused to explore some significant factors such as diverse press release subject and method, informer facilitation, and achievement degree for civic journalism, coupled with the national big three grounded-wave broadcasting systems(e.g. MBC, KBS, SBS) as well as these Jeju local ones(e.g. Jeju MBC, KBS Jeju, JIBS). The analytic method for the study was on the basis of contents comparative analysis.
The significant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followed as :
1) Relating to June-2 Local Election, the national broadcasting systems like MBC, KBS, SBS had treated its daily average 3.2 coverage cases for only one month, while local broadcasting systems did air average 4.7 ones per day. Further, the ranked-order for the election news coverage was put into average fourth position in terms of listener attention and interest degree.
2) The broadcasting targeted-interest and practice for nationwide June-2 Local Election reports was exclusively paid attention to the metropolitan and provincial top policy decision makers such as mayors and governors. These outcomes were likely to negatively affect the fundamental meanings and function of media election system nearly rooted in Korean election culture and politics arena. In fact, the media election has worked to make delivery a variety of information for all eligible voters and candidates󰡑policies and election pledges. However, these goals were not almost achieved because the broadcasting attention for election reports was centered around the metropolitan local government, not local council(e.g. city, county, and district, Si, Gun, Gu).
3) The three big broadcasting systems tended to show a much more campaign activity and image exposure for overall candidates than policy and socioeconomic controversial issues strongly demanded to resolve as possible. Especially, Jeju󰡑s local broadcasting system should make efforts to sustain some essential goals of election journalism rather than simple press release depending on its routine handouts news.
4) Despite of those shortages exposed in June-2 Local Election, the news release direction was somewhat improved comparative to the other election cases, thus possibly maintaining more neutrality and positiveness than negativeness in the election press release by the broadcasting system. This position was likely to be a much more remarkable in local broadcasting system than central ones in Seoul. For example, the cases coupled with illegal behavior and propaganda in the election sharply diminished among candidates/political parties. This is because the attitude for the election news presentation switched into the policy-centered tendency.
5) Both national and local broadcasting systems for the election made full use of much more news collectors or informers than normal and general press release. It is a fairness, neutrality, objectivity, harmony and balance that such an effort is likely to make practice in the election journalism. However, the 51.5% of total news items in Jeju local broadcasting system stemmed from only one informer, which would imply not only he violation of triangle confirmation-neutrality in the election, but also cast the prejudice and top-down release of its news presentation. On the other hand, an informer would implicitly be favorable to a political party and candidate, but she/he will have to pay attention to the voter-centered activities(e.g. general people, non-governmental organization, and professional groups)
6) The ideal typed-goals which the civic journalism has ultimately reached out were somewhat done relatively in comparison with that of the past. It is a general voter centered-broadcasting strategy that facilitates policy issues, public survey for objective/unbiased election process assessment, positive news coverage, and moreover employs ordinary people for the election information gatherings.
Author(s)
강병효
Issued Date
2011
Awarded Date
2011.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5566
Alternative Author(s)
Kang, Byung-Hyo
Affiliation
제주대학교
Department
대학원 언론홍보학과
Advisor
고영철
Table Of Contents
제1장 서 론 1
제1절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
제2절 선행연구에 대한 고찰 4
1. 선거캠페인 관련 보도주제 4
2. 선거캠페인 관련 보도방식 7
3. 선거캠페인 보도와 정보원 10
4. 선거캠페인 보도와 시민저널리즘 13
제3절 연구문제 16

제2장 이론적 배경 19
제1절 선거캠페인 보도에서 방송의 역할 19
1. 보도의 객관성 19
2. 보도의 공정성 21
3. 유용한 보도의 원칙 23
제2절 전국과 지역방송의 선거캠페인 보도에 관한 논의 25

제3장 연구방법 30
제1절 연구방법 개관 30
제2절 분석대상 30
제3절 분석유목 및 조작적 정의 31
1. 선거보도에 대한 기술적 자료를 얻기 위한 유목 31
2. 선거캠페인 보도 내용 관련 유목 32
3. 선거 관련 뉴스의 방식과 관련된 유목 35
4. 정보원과 관련된 유목 36
5. 시민저널리즘 보도와 관련된 유목 36
6. 신뢰도의 검토방법 37
제4절 자료의 분석방법 38

제4장 연구결과 및 논의 39
제1절 선거캠페인 보도 관련 일반적 특성 39
1. 선거보도 건수 39
2. 선거유형 보도 특성 40
제2절 연구문제 검증 분석 결과 42
1. 선거캠페인 보도주제에 관한 연구 결과 42
1) 캠페인․이미지 보도 43
2) 이슈보도 46
3) 지역방송 선거보도 이슈 53
2. 선거캠페인 보도방식에 관한 연구 결과 54
1) 선거캠페인 보도 유형 54
2) 선거캠페인 보도 전달 방식 55
3) 선거캠페인 보도 순서 57
4) 선거캠페인 보도방향 특성 58
(1) 전국방송과 지역방송의 보도방향 차이 58
(2) 선거기간 중 보도방향 변화 61
3. 선거캠페인 정보원 활용에 관한 연구 결과 63
1) 선거캠페인 보도 정보원 수 63
2) 보도주제별 정보원 수 65
3) 선거캠페인 보도 정보원 유형 69
4. 선거의제에 관한 연구 결과 75
1) 후보자 중심 보도 75
2) 유권자 중심 보도 78
3) 선거보도와 시민저널리즘 이슈 82

제5장 연구결과 요약 및 결론 85
제1절 요약 및 결론 85
제2절 한계 및 제언 93


95

ABSTRACT 100

부 록 103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강병효. (2011). 全國과 地域放送의 선거캠페인 報道 比較 分析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Journalism and Public Relations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