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佛經의 文學的 解讀 (1)

Metadata Downloads
Abstract
불경은 동방문학의 한 원류라 할 수 있다. 을 이해하는 것이 전반적인 서양문학의 이해를 위한 조건이 되는 것과 같이 불경을 이해하는 것은 동양문학의 전반적인 이해에 중요한 전제가 된다. 불경에는 폭넓고 풍부한 동방문화와 문학의 원형이 내포되어 있기 때문이다.
문학은 인류가 살아온 경험을 재현한 것임으로 인류의 생존경험은 문학의 기본내용이 된다. 불교는 절박하고 현실적인 인생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탄생된 것이다. 그러므로 불경의 중심내용 역시 기타의 문학작품과 마찬가지로 인생의 기본문제에 대한 관심과 해결이다. 우리가 오래 전부터 늘 들어서 익숙한 이야기들 중에는 불경에서 유래된 것이 많고, 그중에는 한 편의 완전한 문학작품이라고 할 수 있는 것들도 있다. 이렇듯 우리 곁에 가까이 있지만 불교의 경전으로만 이해되고 있는 불경을 문학적 관점에서 이해하려는 시도는 충분히 가치 있는 일이다.
불경을 문학적 방면으로 이해한다는 것은 경전으로서의 독경보다 좀 더 이성적인 입장에서의 관찰이고, 철학이나 역사학 등의 연구와 비교해 본다면 일종의 감상, 음미와 같은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것은 또한 개인적인 취미나 애호와도 관련이 있다. 우선 불교문학이라는 것에 의의를 부여해야 하고 불교사상에 대해 최소한 거부심리가 없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 책은 불경의 내용을 해설한 종교분야의 전문서적이 아니고 문학적 입장에서 불경을 분석하고 그 속에서 문학성을 찾아본 일반 교양부분의 서적이다.
불경은 불교신자가 읽는 것이라거나, 너무 어렵다거나 하는 편견 때문에 가까이할 엄두를 내지 못하던 사람들도 쉽고 흥미 있게 읽을 수 있는 책이다. 이 책은 상, 하 두 부분으로 이루어진 한 권의 책이다. 상편은 각각의 불경에 대한 문학의의를 연구한 부분이고 하편은 전반적인 불경을 문학적 분류의 측면에서 관찰한 것이다. 역자가 번역한 부분은 상편 9장 중 제1 장부터 5장까지이다.
◆ 간단히 설명하면 :
1장: 불경의 문학적 접근에서의 서론부분
2장: 불경 중 가장 문학성이 풍부한 에 나타난 비유, 허구, 고사성, 등에 대한 문학적 고찰.
3장 : 재가거사인 유마힐이라는 인물을 통해 구현된 대승불교와 소승불교 사이의 재가와 출가문제에 관한 견해와 이 경을 통해 실현된 불경의 희극문학성 연구.
4장 : 구도모티브를 통한 "구도문학"의 정립 및 그 문학성.
5장: 에 등장하는 아미타불과 서방극락세계 및 이를 통해 구현된 인류의 낙원콤플렉스 등의 이해.
◆ 번역문의 용어는 가급적 원서에 충실한 것을 택했으나 한국어에 확고한 다른 정의가 있는 용어는 적합한 다른 언어로 바꾸어 처리했다.
◆ 원주는 미주로 < 二 > < 三 >.....으로 표시했고,
역주는 각주로 ( 1 ) ( 2 ) ( 3 )......으로 표시했다.

불경에 대한 일종의'경외감'을 상쇄시키는'문학성'이라는 단어로 인해서 이 책을 번역하게 되었다. 번역자가 작품을 통하여 자신의 생각을 전달하고자 하는 의도가 있다면 자신의 관점에 부합하고, 본인이 좋아하는 작품을 선택하는 방법이 있을 것이다. 그런 면에서 이 번역작업이 힘들기만 한 것은 아니었다. 논문번역이니만큼 정확하고 잘된 번역이기를 바라는 마음이 가장 크고, 시작이 아니고 마지막 단계인 졸업논문임에도 불구하고 넘치는 것은 오직 의욕뿐이어서 모든 걸 다 챙겨주시느라 고생하신 지도교수님께 진심으로 감사드린다.
Author(s)
윤영숙
Issued Date
2011
Awarded Date
2011.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5615
Department
통역대학원 한중과
Advisor
김중섭
Table Of Contents
역 자 서 문

제1 장 불경의 문학성에 대한 접근 1

제2 장 의 문학성 이해 18

제3 장 의 문학의의 35

제4 장 의 문학의의 58

제5 장 의 문학성 관상 75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통역대학원
Citation
윤영숙. (2011). 佛經의 文學的 解讀 (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Interpretation & Translation > Korean-Chines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