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초등학교 3, 4학년 영어 교과서의 개인화 활용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Personalization in Korean 3rd and 4th Grade English Textbooks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2011년부터 사용하고 있는 3․4학년용 검정 교과서 중 제주시내 초등학교에서 채택도가 높은 3종의 교과서를 대상으로 개인화를 단원의 핵심요소로 설정하고 있는지, 개인화는 단원의 어떤 활동에서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단원의 소재와 개인화 활동이 나타나는 경향에 연관성이 있는지를 조사하고 교과서 개발에 주는 시사점을 살펴보았다.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되어 있는 활동의 방법을 바탕으로 3․4학년 검정 영어 교과서 3종에 반영된 개인화 활동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화가 단원의 핵심요소로 설정되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차시별로 개인화 활동이 제공되고 있는지 살펴보았을 때 연구 대상 3종의 3․4학년 교과서 중에는 각 단원 각 차시마다 하나의 개인화 활동을 제공하는 경우는 없었으며, 단원 전체를 통틀어 개인화 활동이 전혀 없는 경우도 25%~75%였다. 개인화 활동이 나타나더라도 대부분이 전체 4차시 혹은 5차시 중 1개의 차시 혹은 2개의 차시에 나타나 개인화 활동이 단원 구성에 있어 미미하게 다루어지고 있었다. 또한 출판사별로 개인화 활동 제공 정도에 차이가 있어 A 출판사의 3․4학년 교과서의 경우 전체 단원의 67%, 75%에서, B 출판사의 3․4학년 교과서의 경우 전체 단원의 40%, 53%에서, C 출판사의 경우 전체 단원의 42%, 25%에서 개인화 활동이 나타나고 있었다. 이러한 양상에 비추어 보아 개인화를 좀 더 핵심적인 단원의 구성요소로 활용하려는 교과서 제작진의 관심이 요구된다.
둘째, 개인화가 단원의 어떤 활동에서 나타나고 있는지 살펴보았을 때 대화․노래․역할놀이․문자관련 활동에는 개인화가 반영되지 않았으며, 게임․만들기․문화 관련 활동․정리활동 및 복습활동에 나타난 개인화의 양상은 출판사별로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대화․노래․역할놀이․문자관련 활동에도 개인화 활동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게임의 방법도 조사하기․소개하기․묻고 답하기 등에 국한시키지 말고 여러 가지 방법으로 활동을 구성할 수 있으므로 좀 더 다양한 방법의 개인화 활동을 통해 학습자들이 자기 자신과 자신의 주변 인물 및 사물에 대해서 말과 글로 표현하는 기회를 줄 수 있도록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셋째, 단원의 소재와 개인화 활동의 연관성을 살펴보았을 때 인사 및 자기소개․좋아하고 싫어하는 것․과거와 관련된 단원에서는 세 교과서 모두 개인화가 적용되었고, 지시 및 경고․날씨․진행형․위치와 관련된 단원에서는 세 교과서 모두 개인화가 적용되지 않았으며, 그 외 대부분의 소재 및 단원에서는 개인화 활동이 반영되기도 하고 반영되지 않기도 하였다. 그러나 초등 영어 교육과정의 모든 소재는 개인화 적용이 가능하므로 좀 더 다양한 소재와 개인화 활동을 연결시키려는 시도를 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개인화는 초등 영어 교육 목표 실현의 중요한 요소이므로 교과서 개발에 있어서 단원 구성의 핵심 요소로 선정하려는 교과서 집필진의 관심이 필요하다.
둘째, 개인화 활동을 대화․챈트 및 노래․역할놀이․문자관련 활동 등의 좀 더 다양한 활동 분야에 적용하고, 개인화 활동에 조사하기․소개하기․묻고 답하기 등의 방법뿐만 아니라 원판놀이․카드게임․정보 공백 활동 등의 여러 가지 활동을 적용하는데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셋째, 인사 및 자기소개․좋아하고 싫어하는 것․과거 등의 일부 소재만이 아니라 다양한 소재에 개인화를 적용하려는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element of personalization is utilized in six 3rd and 4th grade textbooks, most commonly adopted by elementary schools in a city this study was conducted. Three research questions are (1) whether personalization is considered as an essential element in a unit design, (2) what unit activities use personalization, (3) whether there is any relationship between the unit topics and utilization of personaliz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none of the textbooks provided at least one personalization activity in a given class period of a unit, and 25%~75% of the units did not have any personalized activities. Even in the case of units with personalization activities, only 1 or 2 activities were provided in a unit composed of 4 to 5 period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ersonalization is not considered as an essential component a unit design in these textbooks. It is also observed that textbooks by different publishers provide personalization activities to different degrees. 67% of the units have personalization activities in Publisher A's 3rd grade textbook, 75% in Publisher A's 4th grade textbook; 40% in Publisher B's 3rd grade textbook, 53% in Publisher B's 4th grade textbook; 42% in Publisher C's 3rd grade textbook, and 25% in Publisher C's 4th grade textbook. This suggests that textbook writers may more or less conscientiously include personalization in activities of units.
Second, there are not any personalization activities in 'Listen and Repeat', 'Song' and 'Role-play'. Also, there are differences reflecting personalization activities in 'Game', 'Making materials', 'Activities relating with culture' and 'Review'. However, it is possible to apply personalization elements to 'Listen and Repeat', 'Song' and 'Role-play'. Futhermore, not only surveys, introductions and asking and answering activities but various activity types can utilize the element of personalization.
Third, there are personalization activities in the units whose topics include: greetings, introducing oneself, likes or dislikes and past. Personalization activities are not in the units whose topics include: imperatives, weather, present progressive and location. In the other units, whether or not personalization activities are included depends on the publisher. However, personalization can be utilized in all the unit topic areas.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several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First, more attention is called for to the importance of personalization in a unit design.
Second, personalization can be utilized in any unit activities and thus efforts to expand application of personalization to varied activity types are called for. Third, personalization needs not be limited to a few unit topics; therefore, more attention to expanding application of personalization to varied activity types is needed.
Author(s)
임향미
Issued Date
2011
Awarded Date
2011.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5621
Alternative Author(s)
Im, Hyang Mi
Affiliation
제주대학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초등영어교육
Advisor
고경희
Table Of Contents
국문 초록 ⅳ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 문제 2
3. 연구의 범위 2
4. 용어의 정의 3

Ⅱ. 이론적 배경 4
1. 개인화의 필요성 4
2. 활동에 따른 개인화 적용 방법 10
3. 개인화 적용에 적합한 소재 12

Ⅲ. 연구 방법 14
1. 연구 대상 14
2. 교과서 구성 체제 분석 15
3. 연구 문제 분석 방법 19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20
1. 단원별 개인화 반영도 21
2. 활동별 개인화 적용 실태 23
3. 소재와 개인화의 연관성 60

Ⅴ. 결론 및 제언 63
1. 결론 63
2. 제언 64

참고 문헌 65

ABSTRACT 68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임향미. (2011). 초등학교 3, 4학년 영어 교과서의 개인화 활용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Elementary Education >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