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제주지역 중학생의 채소에 대한 인지도 및 식태도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Research on food attitude and recognition of vegetables by middle school students
Abstract
본 연구는 식습관에 따른 채소에 대한 식태도와 인지도, 섭취빈도, 기호도 등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중학생들의 채소 섭취 향상과 균형잡힌 영양섭취를 위한 효과적인 영양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영양지도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전체 760명 중 남학생은 51.1%, 여학생은 48.9%이었으며, 1학년은 32.5%, 2학년은 33.9%, 3학년은 33.6% 이다. 거주지역은 동지역(제주시)가 48.3%, 읍면지역(제주시, 서귀포시) 51.7%이다.
조사대상자의 식습관은 전체 72.4%가 하루에 3회 식사를 섭취하고, 식사시간은 대부분 규칙적이지만 하루 중 결식하는 끼니는 아침이 많았다. 또한 편식하는 식품의 종류는 전체적으로 '채소류가 가장 높았고, 선호하는 반찬 재료는 '육류', '햄이나 어묵', '달걀' 순으로 나타났다(p<0.05).
가정에서의 채소 반찬 섭취 횟수는 '매일 먹는다'가 가장 높았고, 학교에서의 채소 섭취량은 전체' '배식량을 다 먹는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채소선호도에서는 '보통이다'가 가장 높았으며, 성별로는 '매우 좋아한다'에서 여학생이 채소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p<0.05).
채소에 대한 식태도에서는 각 항목당 식태도에 대한 경향이 평균이상의 점수를 보였다. 채소별 인지도, 섭취빈도, 기호도를 조사한 결과 채소에 대한 인지도에서는 감자, 콩나물, 오이, 배추, 양파 순으로 인지도가 높았고, 섭취빈도는 배추, 버섯, 감자, 콩나물, 오이가 빈도가 높았다. 기호도는 감자, 오이, 콩나물, 상추, 배추 순으로 나타났으며, 채소에 대한 인지도, 섭취빈도, 기호도, 채소에 대한 태도는 채소 섭취에 있어서 상호 유의적인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보다는 식행동이 채소의 인지도, 채소의 섭취빈도, 채소의 기호도, 채소에 대한 식태도가 채소의 섭취에 영향을 주었다.

결론적으로 채소섭취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올바른 식습관이 형성될 수 있도록 식습관 및 영양지도를 실천할 수는 구체적인 자료 제시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학교급식에서 다양한 채소를 경험하게 하고, 기호도를 높일 수 있도록 여러 가지 조리방법 개발 및 맛에 대한 개선방안을 향상시키고, 채소 섭취 요인을 바탕으로 한 영양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table manners, recognition, consumption frequency, interest in vegetables, this research has attempted to provide basic data on effective nutrition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and nutrition guidance to enhance vegetable consumption and balanced nutritional consumption by middle school student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were the following: 51.1% were male, 48.9% were female, 32.5%, 33.9%, 33.6% in first, second, and third year of middle school respectively. 48.3% were residents in Dongji area (Jeju city) and 51.7% were residents in Eupmyun area (Jeju and Seogui-po city).
The eating habits of the subjects including the following: 72.4% of total subjects ate three meals a day, and although the meal times were mostly regular, breakfast tended to be the meal students skipped. Furthermore, vegetables ranked high in the type of food that the students tended to be picky, and the preferred side dish consisted of 'meat', 'ham or fish cakes', 'eggs' in that order (p<0.05).
"Eats daily" was the highest under frequency of vegetable consumption in families, and 'eats all allocated amount' was the highest under vegetable consumption in schools. In the preference of vegetables, 'average' ranked the highest, and a significant different showed in gender, with female students showing the highest preference for vegetables under 'likes very much'. (p<0.05).
Under food attitude on vegetables, food attitude towards each subject scored above average.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recognition, consumption frequency, and preference for vegetables, the recognition for vegetables was highest starting with potatoes, bean sprouts, cucumber, cabbage, onions in that order. The consumption frequency was highest starting with cabbage, mushrooms, potatoes, bean sprouts, cucumber in that order. The preference was highest starting with potatoes, cucumber, bean sprouts, lettuce, cabbage in that order. Recognition on vegetables, consumption frequency, preference, and attitude towards vegetables proved to have a relativel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on vegetable consumption.
Rather tha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 attitude towards food such as the recognition, frequency of consumption, preference and food attitude of vegetables proved to have effects on vegetable consumption.

Conclusively, in order to enhance vegetable consumption, more specific data which can establish good eating habits and execute nutritional guidance should be produced. Furthermore, school meals should enable students to experience various vegetables and raise their preference by developing various cooking methods and methods to improve taste. Nutritional educational programs and continuous training should be developed using vegetable consumption as a basis.
Author(s)
이현정
Issued Date
2011
Awarded Date
2012.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5735
Alternative Author(s)
Lee, Hyeon-Jeong
Affiliation
제주대학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영양교육
Advisor
채인숙
Table Of Contents
표목차 ⅲ
국문요약 ⅳ

Ⅰ. 서 론 1
Ⅱ. 연구내용 및 방법 4
1. 조사대상 및 기간 4
2. 조사내용 및 방법 4
3. 자료처리 및 분석 6
Ⅲ. 연구결과 및 고찰 7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7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7
2) 조사대상자 가족관련 일반적 특성 9
2. 조사대상자의 식습관 11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식행동 11
2) 조사대상자의 채소관련 식행동 14
3. 채소에 대한 인식도 20
1) 채소에 대한 식태도 20
2) 채소류에 대한 영양지식 22
4. 채소류 관련 인지도 및 섭취빈도와 기호도 26
1) 채소별 인지도 26
2) 채소류의 섭취빈도 28
3) 채소류의 기호도 30
4) 채소의 인지도, 섭취빈도, 기호도, 채소에 대한 식태도 상관관계 32
5) 좋아하는 채소와 싫어하는 채소, 그리고 그것에 대한 이유 33
6) 채소류의 조리법 기호도 36
5. 채소섭취 실태 조사 37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채소섭취 실태 37
2) 조사대상자의 식행동에 따른 채소섭취 실태 39

Ⅵ. 요약 및 결론 41

Ⅴ. 참고문헌 45

부록 48
Abstract 55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이현정. (2011). 제주지역 중학생의 채소에 대한 인지도 및 식태도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Nurtition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