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제주지역 영양플러스 사업에 참여한 영유아들의 영양개선 효과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Nutritional Improvement effects of infants and children participating in the Nutrition Plus program in Jeju
Abstract
본 연구는 제주지역에서 시행되고 있는 영양플러스 사업에 참여한 영유아들의 프로그램 참여 전․후의 신체계측치 및 생화학적 변화, 영양섭취상태, 보호자의 영양 관련 지식 및 식태도 변화를 비교분석함으로써 사업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제주도 서귀포시 보건소 관할 지역 내에 거주하면서 소득기준 최저생계비 200%미만인 가구 중 영양위험기준(성장부진, 빈혈, 영양섭취부족 등)에 해당하는 영아(12개월 미만), 유아(1세~만 6세) 총 453명을 대상으로 2008년 10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사업에 참여하는 동안 보충식품과 영양교육에 따른 영양개선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사업 참여 전․후에 신체계측치 및 생화학적 검사, 영양섭취 상태 조사를 실시하였고 영유아 보호자를 대상으로 영양지식 및 식태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는 영아 43.9%, 유아 56.1%이며, 수유형태는 완전모유수유가55.8%, 가구의 소득 수준은 최저생계대비 100~120%가구가 53.4%로 가장 많았다. 조사대상자의 보호자는 어머니가 97.6%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둘째, 신체계측지표의 변화는 연령대비 신장 백분위수가 10th미만인 영양위험 보유자 비율은 영아의 경우 사업 전 19.6%에서 사업 후 7.4%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1). 연령대비 체중 백분위수가 10th미만인 경우는 영아는 사업 전 21.0%에서 사업 후 6.3%로(p<.001), 유아는 16.9%에서 9.8%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5).
셋째, 혈중 헤모글로빈 농도는 사업 전,후 영아와 유아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01) 빈혈유병률도 영아와 유아 모두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1).
넷째, 1일 권장섭취량 대비 섭취비율은 유아는 사업 전․후에 에너지를 제외한 모든 영양소의 섭취비율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에너지별 섭취 부족자 비율 변화에서는 모든 영양소의 섭취 부족자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다섯째, 보호자의 영양지식 조사에서 전체 평균점수가 사업 전 7.79점에서 사업 후 8.26점으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p<.001) 보호자의 식태도 조사에서는 보호자 전체 평균점수가 사업 전 49.56점에서 사업 후 51.34점으로 모두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1).
여섯째, 참여기간에 따른 헤모글로빈 농도는 영아와 유아의 네 그룹 모두 사업 전․후 증가하였으며 유아의 네 그룹은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참여기간에 따른 보호자의 영양지식 및 식태도 조사에서는 영아 보호자의 경우 두 그룹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유아 보호자의 경우 네 그룹 모두 증가하였으며, 식태도 조사에서는 영아 보호자의 경우 6개월 미만, 유아의 경우는 네 그룹 모두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영양플러스 사업의 영양교육 및 상담과 보충식품 제공으로 인해 대상자들의 빈혈유병률과 식생활로 인한 영양위험요인 보유자 비율이 감소하였고 영양지식 및 식태도가 향상되어 대상자들의 영양상태를 개선하는데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했음으로 향후 더 많은 영유아들의 영양개선 효과를 위해 사업이 확대되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a) analyze the physical measurement changes, biochemical changes, nutritional consumption changes of nutrition in infants and child who participated in the nutrition plus program and their parent`s knowledge and food attitude (b) to provide basic data as to how business effects could be enhanced in jeju. The subject s included 199(43.9%) infants and 254(56.1%) children who was low-income family and at nutritional risk. The subjects participated in Nutrition Plus program from October 2008 to December 2010.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analysis, χ2-test, t-test, ANOVA using the SPSS Win 18.0 programs.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43.9% infants and 56.1% toddlers, and 55.8% were breast fed, 22.1% were combined breast and bottle fed, and 22.1% were bottle fed. 53.4% of the families had income levels of 100~120% of minimum wage, 97.6% of the guardians were mothers, and 44.8% of guardians also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nutritional plus business.
Second, relating to the physical measurement index chang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fants who ranked less than 10th in the 100th percentile of age vs height and therefore held nutritional risk, however the change in toddlers was significant, decreasing from 19.6% to 7.4%,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respectively (p<.01). Infants who ranked less than 10th in the 100th percentile of age verses weight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21.0% to 6.3% (p<.001), and infants from 16.9% to 9.8%(p<.05).
Third, the hemoglobin levels in the blood significantly increased in both infants and toddlers (p<.001), and the risk of anemia significantly decreased in both infants and toddlers (p<.001).
Fourth, relating to the daily recommended consumption amount vs actual consumption ratio, the consumption of all nutritional elements except energy significantly increased in infants, and relating to the change in energy vs deficiency in consumption ratio, the deficiency in all nutritional elements significantly decreased.
Fifth, the average grade in guardian's nutritional knowledge test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7.79 to 8.26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respectively(p<.001), and in the guardian's food attitude test, the total average grade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49.56 to 51.34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respectively(p<.001).
Sixth, relating to nutritional development effects during the participation period,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height and weight of the four groups of toddlers and infants. Furthermore, the hemoglobin levels increased in the four groups of toddlers and infants and the four groups of toddlers all showed significant increases.
Seventh, in the guardian's nutritional knowledge and food attitude test, the two groups of toddlers all significantly increased, and the four groups of infants increased. In the food attitude test, infants who were less than 6 months old s howed significant increases and in the case of toddlers, all four groups significantly increased.
In conclusion, through the nutritional education, discussion, and provision of supplementary foods by the nutritional plus business, the ratio of applicants who held nutritional deficiency risk as well as the ratio of applicants with anemia decreased, and nutritional knowledge and food attitude improved, thereby improving and having a positive effect on the applicant's nutritional status. The business should therefore expand to improve the nutritional status of more infants and toddlers in the future. In nutritional education, more sympathetic and practical information relating to supplementary baby food for infants should be provided, and training should be provided which can enable more quality nutritional consumption, rather than quantity nutritional consumption.
Becaus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anges in the participation period, in order to see nutritional improvement effects for each participation period, a further research will be required in the future on whether the nutritional improvement effects are maintained.
Author(s)
한지혜
Issued Date
2011
Awarded Date
2012.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5736
Alternative Author(s)
Han, Ji-Hye
Affiliation
제주대학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영양교육
Advisor
채인숙
Table Of Contents
표목차 ⅲ
그림목차 ⅳ
국문요약 ⅵ

Ⅰ. 서 론 1

Ⅱ. 이론적 배경 3

Ⅲ. 연구내용 및 방법 17
1. 조사대상 및 기간 17
2. 조사내용 및 방법 18
3. 통계분석방법 24

Ⅳ. 연구결과 및 고찰 25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5
2. 영양플러스 사업 효과 평가 27
1) 영유아의 신체계측치 변화 27
2) 영유아의 생화학적 변화 30
3) 영유아의 영양섭취 실태 32
(1) 1일 영양소 섭취량 32
(2) 권장섭취량 대비 섭취비율 32
(3) 영양소 섭취 부족자 비율 변화 34
4) 보호자의 영양지식 및 식태도 35
(1) 영아 보호자의 영양지식 및 식태도 35
(2) 유아 보호자의 영양지식 및 식태도 39
3. 사업 참여기간에 따른 영양개선 효과 분석 43
1) 참여기간에 따른 신체계측 및 생화학적 변화 43
2) 참여기간에 따른 영양섭취 상태조사 48
(1) 참여기간에 따른 1일 영양소 섭취량 조사 48
(2) 참여기간에 따른 권장섭취량 대비 섭취비율 50
3) 참여기간에 따른 보호자의 영양지식 및 식태도 조사 52

Ⅴ. 결론 및 제언 62

Ⅵ. 참고문헌 68

부록 72
Abstract 79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한지혜. (2011). 제주지역 영양플러스 사업에 참여한 영유아들의 영양개선 효과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Nurtition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