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시 과밀초등학교 특별교실의 규모 및 배치에 관한 연구
- Alternative Title
- Research on the scale and arrangement of special classes for the overcrowded schools in jeju city
- Abstract
- Education is about sharing knowledge and using techniques and skills that can increase a person' ability.
The goal is to educate and develop people as a whole.
In order to achieve this educational purpose efficiently, our society has many educational courses.
The educational facility which can be used in a variety of educational methods should be made flexibly.
It should provide an environment in which ever student can grow.
Being creative, using a variety of methods should help to develop character in people.
In order to achieve this, the schools' facilities should be future-oriented.
It is necessary to research systemically about its changes and feed back according to the social demand, the educational purpose, and the changes of educational courses.
This research is intended to present basic material which will be needed from now on for the facility of the special classes in JeJu city.
Elementary schools should consider having a reasonable scale and arrangement pattern.
The facility for special classes has to find a way to operate flexibly according to the changes of the class number.
- Author(s)
- 이은경
- Issued Date
- 2011
- Awarded Date
- 2012. 2
- Type
- Dissertation
- URI
-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5738
- Alternative Author(s)
- Lee, Eun-gyung
- Affiliation
- 제주대학교
- Department
- 산업대학원 건설환경공학과
- Advisor
- 박정근
- Table Of Contents
- Summary ⅵ
Ⅰ.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3. 연구의 과정 3
Ⅱ. 이론적 고찰
1. 교육과정의 정의 및 특징 4
1) 교육과정의 정의 4
2) 교육과정의 변화 5
3) 교육과정의 특징 10
2. 제7차 교육과정의 개념 및 특징 17
1) 제7차 교육과정의 개념 17
2) 제7차 교육과정의 특징 18
3. 학교 시설 및 특별교실 시설 기준 23
1) 학교시설의 공간 계획 기본 요건 23
2) 특별교실 시설기준 29
Ⅲ. 과밀초등학교 사례조사 및 분석
1. 제주특별자치도 초등학교 일반 현황 40
2. 과밀초등학교 선정 기준 46
3. 대상학교의 사례조사 및 분석 48
1) 한라초등학교 현황 48
2) 동광초등학교 현황 50
3) 노형초등학교 현황 52
4) 인화초등학교 현황 54
5) 도남초등학교 현황 56
6) 신광초등학교 현황 58
7) 외도초등학교 현황 60
8) 남광초등학교 현황 62
9) 백록초등학교 현황 64
10) 신제주초등학교 현황 66
Ⅳ. 과밀초등학교 특별교실 비교 분석
1. 과밀초등학교 특별교실 규모 분석 68
1) 대상학교의 일반적 규모에 따른 비교 분석 68
2) 대상학교의 특별교실 규모에 따른 분석 71
2. 과밀초등학교 특별교실 배치 분석 75
1) 대상학교의 특별교실 배치 유형 75
2) 대상학교의 특별교실 배치 현황 77
3) 대상학교의 특별교실 배치 유형 분석 87
Ⅴ. 결 론 91
□ 참고문헌 94
- Degree
- Master
- Publisher
- 제주대학교 산업대학원
- Citation
- 이은경. (2011). 제주시 과밀초등학교 특별교실의 규모 및 배치에 관한 연구
-
Appears in Collections:
- Graduate School of Industry > Environmental Engineering
- Authorize & License
-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