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과학중점학교에서의 비교과 체험활동 인식 조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Recognition of Non-subject Hands-on Activities in Science Core Schools
Abstract
21세기 지식정보화 사회에서 필요한 우수 이공계 인력을 양성하고 이공계 기피 현상을 타파하기 위한 일환으로 과학중점학교를 지정․운영하게 되었다. 과학중점학교는 일반계 고등학교에서 과학․수학교육의 강화와 다양한 비교과 체험활동을 통해 과학적 소양을 지닌 창의적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한다. 비교과 체험활동은 수업시간표상에 제시된 교과 이외의 모든 활동을 의미하며, 활발한 교내․외 활동을 통해 과학적 탐구력과 창의적 사고력을 신장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연구는 2차년도 운영 중인 과학중점학교에서의 비교과 체험활동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 조사를 통하여 문제점을 진단하고 효과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개선사항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문헌조사 및 선행연구의 고찰을 통해 설문지를 작성하여 제주도 내 과학중점학교 한 곳을 지정, 1학년 309명의 학생과 2학년 과학중점과정 78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비교과 체험활동의 인식과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첫째, 비교과 체험활동의 목적과 의미는 이해하고 있었지만 자율적인 체험활동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학생들을 대상으로 비교과 체험활동의 전반적인 사항에 대해 교육은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개별적 체험활동을 할 수 있는 장소의 안내와 홍보가 부족하여 학생들이 자기주도적인 활동을 하지 못하고 있었다. 또한 제주도라는 지리적인 특성상 프로그램 참여에 제약이 따르고 있다. 이에 따라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통해 체험활동을 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시급하며 체험활동 안내책자 배부 등 효과적으로 홍보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비교과 체험활동의 종류가 다양하지 못하고 흥미 위주의 형식적인 프로그램으로 진행되고 있었다. 체계적인 운영 시스템이 마련되지 않아 체험활동 전․후로 교육활동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고 단순히 일회적인 체험으로만 끝나는 경우가 많았다. 학생들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차별화된 비교과 체험활동의 운영이 필요하다. 전체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이 과학적 소양을 쌓을 수 있도록 하고 다양한 선택 프로그램을 제시하여 개개인의 관심분야에 따른 비교과 체험활동으로 진로 탐색의 기회를 부여하고 과학적 탐구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프로그램의 내용과 이수 시간에 대해 불만이 많았다. 너무 과학․수학에만 치중된 비교과 체험활동을 하고 있어 다수의 인문계열 진학 학생들에게는 불필요한 활동이라고 여겨지고 있었다. 인문학적 요소를 포함하고 있는 체험활동을 통하여 인문계열 진학 희망자의 인문학적 소질을 계발하고, 자연계열 진학 희망자에게도 인문학적 소양을 겸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 1학년 과정 동안 비교과 체험활동 60시간 이상 이수도 부담스럽게 생각하고 있었다. 적절한 시간 배분을 통하여 공통과정뿐만 아니라 과학중점과정에서도 비교과 체험활동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넷째, 과학중점과정에서의 비교과 체험활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2학년이 되면서부터 교과학습에 대한 부담감과 시간 부족을 이유로 들어 자율적인 비교과 체험활동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방과 후 시간이나 주말, 방학 기간 등을 활용하여 개별 또는 소그룹으로 과제 연구나 장기 프로젝트 수행을 통해 심도 있는 탐구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다섯째, 대다수의 학생들이 포트폴리오의 작성과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비교과 체험활동의 결과 기록물로 포트폴리오를 작성하도록 하고 있으나 구체적인 작성 방법이나 활용법 등에 대한 사전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작성하고 싶어도 못하는 학생들이 많았다. 주기적인 교육과 점검을 통해 포트폴리오의 작성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여 입학사정관제 등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차별화된 프로그램의 운영과 지속적인 문제점 개선으로 내실 있는 비교과 체험활동이 이루어지려면 무엇보다도 교사들의 이해와 적극적인 노력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As part of ways to cultivate superior manpower of natural sciences and engineering needed in knowledge information society of this 21st century and eliminate the phenomenon of avoiding natural sciences and engineering, science core schools have been designated and operated. Science core schools are intended to strengthen science and math education in general high schools and cultivate creative men of ability equipped with scientific skills through various non-subject hands-on activities. Non-subject hands-on activities mean all the activities except for subjects suggested in the time schedule. Through active activities in the inside and outside of school, students will foster their scientific exploration and creative thinking.
This study aims to provide improvements so as to diagnose problems and operate it effectively through research on recognition of and satisfaction with non-subject hands-on activities in science core schools being operated in the 2nd year. The questionnaire was made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consideration of advanced research.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to 309 first graders and 78 second graders in a science core school designat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examining recognition on and satisfaction with non-subject hands-on activities, this paper g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y understood the purpose and meaning of non-subject hands-on activities, but they hardly conducted hands-on activities autonomously. Although students learn the outline of non-subject hands-on activities, there is lack of guidance and publicity about the places where they can do individual hands-on activities; thus, students can hardly perform self-directed activities. Also, the problem has another limitation for the geographical features of Jeju Island. Thereupon, it is urgent to develop various programs for hands-on activities through connection with the local community, and it is also needed to build methods to publicize it effectively using guidelines or such.
Second, non-subject hands-on activities are not varied, and they provide formal problems just for fun. There is no systematic operational system, so there is almost no educational activity before or after the hands-on activities. And they mostly end simply as one-off experience. It is needed to operate non-subject hands-on activities in differentiated ways to enhance students' satisfaction. The entire problem should help students to accumulate their scientific skills. And with various optional programs, each student should be provided with an opportunity to explore their career with non-subject hands-on activities according to their felid of interest and to cultivate their scientific inquiry skills.
Third, students make complaints about program contents and hours to take. The non-subject hands-on activities are too focused on science and math, so most of the students intending to choose humanities think they are unnecessary. With hands-on activities including the elements of humanities, students hoping to major humanities should accumulate their knowledge of humanities, and also, students wanting to major natural sciences should be equipped with knowledge of humanities, too. Also, they think it is burdensome for them to take over 60 hours of non-subject hands-on activities in the freshman year. With proper time arrangement, not just the common course but also the science core curriculum, too, should maintain non-subject hands-on activities sustainably.
Fourth, the science core curriculum does not provide non-subject hands-on activities properly. And from the 2nd year, those activities are not autonomously conducted due to the burdensome subject learning or lack of time. Therefore, it is needed to induce in-depth exploratory activities through individual or small-group assignments or long-term projects using after-school classes, weekend, or vacation.
Fifth, most students have difficulty in preparing and managing their portfolio. Students are made to make a portfolio based on the result records of non-subject hands-on activities; however, the concrete methods of preparation and usage are not provided properly in advance, so many of them cannot do so even if they want. With proper education and examination, students should make a portfolio with no difficulty so that they can prepare for the admissions officer system later.
To conduct non-subject hands-on activities more fruitfully based on differentiated programs and constant problem solving, teachers' positive endeavoring is needed above all.
Author(s)
김지희
Issued Date
2011
Awarded Date
2012.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5743
Alternative Author(s)
Kim, Ji-Hee
Affiliation
제주대학교
Department
교육대학원 화학교육
Advisor
김덕수
Table Of Contents
국 문 초 록 i
표 목 차 ⅵ
그 림 목 차 vi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2. 연구 문제 2
3. 연구의 제한점 2
Ⅱ 이론적 배경 4
1. 과학중점학교 4
1) 과학중점학교의 정의 4
2) 과학중점학교의 운영 취지 4
3) 과학중점학교의 운영 목표 5
4) 과학중점학교의 주요 내용 5
(1) 과학중점학교의 운영 지침 5
(2) 교육과정 운영과 편성 10
(3) 교원확충 17
(4) 시설 및 환경 17
(5) 재정 및 지원 18
(6) 진학 지도 18
5) 과학중점학교의 운영 현황 19
2. 비교과 체험활동 21
1) 비교과 체험활동의 정의 21
2) 비교과 체험활동의 주요 내용 21
(1) 운영 지침 21
(2) 비교과 체험활동의 대상 22
(3) 비교과 체험활동의 구성 및 운영 22
(4) 비교과 체험활동의 종류 22
3) 비교과 체험활동의 영역 및 범주 23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27
1. 연구의 대상 27
2. 연구의 방법 28
3. 연구의 절차 30
4. 자료의 수집 및 분석 31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32
1. 비교과 체험활동에 대한 인식 32
1) 비교과 체험활동에 대한 이해도 32
2) 비교과 체험활동의 운영 실태 34
(1) 공통과정에서의 운영 실태 34
(2) 과학중점과정에서의 운영 실태 39
(3) 운영상의 문제점 43
3) 비교과 체험활동에 대한 만족도 및 태도 47
2. 포트폴리오에 대한 인식 64
1) 포트폴리오에 대한 이해도 65
2) 포트폴리오의 운영 및 관리 실태 68
(1) 포토폴리오의 실태 조사 68
(2) 포트폴리오의 개선점 70
3) 포트폴리오에 대한 태도 72
Ⅴ 결론 및 제언 73
1. 연구의 요약 73
2. 결론 74
3. 제언 76
참고 문헌 79
Abstract 82
부록 85
설문지 Ⅰ(1학년용)
설문지 Ⅱ(2학년-과학중점과정용)
개별소그룹별 체험활동이 가능한 장소
타 교과와 융합된 과학 비교과 체험활동 예시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김지희. (2011). 과학중점학교에서의 비교과 체험활동 인식 조사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Chemical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