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제주 몽골유적의 건축적 의의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Significance of the Mongolian Heritage in Jeju
Abstract
탐라국시대부터 4․3항쟁에 이르기까지 제주의 역사는 그 어느 지역보다 더 복잡하고 깊은 역사를 가지고 있다. 자주적인 국가로서 시작한 탐라국은 고려시대에 제주로 편입되었으며, 삼별초의 항쟁을 거쳐 몽골로부터 100여년의 지배를 직접 받기도 하였다. 이 당시 섬이라는 지역적 특성으로 인해 몽골의 영향에 직접적인 영향권 안에 있었으며, 여러 가지 측면에서 몽골의 문화가 제주에 전해졌다. 몽골과 고려에 의해 운영된 국영목장에서 말이 길러졌으며, 몽골인과 제주인의 혼인은 새로운 양식의 관습을 만들어내기도 하였다.
이러한 직접적인 영향에도 불구하고 몽골의 지배하에 있었던 고려시대의 제주에 남아있는 몽골유적은 많지 않다. 법화사나 원당사지 오층석탑 정도가 손에 꼽을 정도이다. 그러나 제주에 남아있는 몽골유적이 비록 소수이지만 그 안에 담겨있는 몽골유적의 가치는 그 의미가 크다. 특히 몽골이라는 외래문화의 직접적인 영향을 100여 년간 받았다는 점에서 그 영향은 쉽게 간과하기 어렵다. 이러한 영향권에는 건축도 포함되어 있다. 몽골에 의해 중창되었을 것으로 여겨지는 법화사의 경우도 몽골과의 관계를 벗어나 설명하기 어렵다. 원당사지 오층석탑도 석탑의 형식이나 재료적인 측면에서 몽골과 제주의 토착성을 함께 생각할 필요가 있다. 몽골과 관련된 삼별초의 항쟁과 그 유적 또한 제주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는 점에서 다시 한번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점에서 남아있는 몽골유적을 토대로 그 안에 담겨진 건축적 의미와 가치를 새겨보는 것은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현재 제주에 남아있는 몽골유적을 살펴보고, 그 실례를 중심으로 몽골유적이 가진 건축적 의미와 가치를 밝혀보았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몽골유적은 1. 제주마 방목지, 제주목마장 발상지, 2. 환해장성, 3. 제주항파두리 항몽유적지, 항파두리성 내외 유적, 4. 법화사, 5 원당사지 오층석탑, 6. 열녀정씨지비, 유수암리 산새미오름방묘이다.
위 연구대상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역사적, 문화적 접근을 통해 몽골과 제주의 관계를 분석한 후, 연구대상에 담겨진 건축적 의미와 가치를 살펴본 결과 몽골과 제주는 역사적, 문화적으로 긴밀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여러 가지 측면에서 몽골의 문화가 영향을 주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측면에서 몽골과 제주의 관계에 대한 역사적, 문화적 고찰은 유의미함을 알 수 있다.
From Tamnaguk to the 4․3 resistance, Jeju's history has more complicated and deeper than any other region. In the Goryeo period, Tamnaguk started as a independent state was incorporated in Jeju, and had been under control of Mongloia for more than a century after the Sambyeolcho's fighting. At that time, it was influenced directly by Mongolia for its island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Mongolian culture was introduced to Jeju on various sides. Horses had kept in a state farm of Mongolia and Goryeo, and a marriage between a Mongolian and a Jeju native created a fresh tradition.
Though this direct influence, there remain few Mongolian ruins in the Goryeo period under control of Mongolia. It is counted that few examples such as the Beopwhasa, and the five-level stone pagoda of the Wonkaksa. Despite a small number of Mongolian ruins, their values are deeply significant. The influence cannot be overlooked because of direct effect of a Mongolian foreign culture for more than a century. These influenced areas include a architecture. Beopwhasa considered to be recreated by Mongolia cannot be explained without a relation with Mongolia. In the five-level stone pagoda of the Wonkaksa, indigenousness of both Mongolia and Jeju is quite considerable for aspects of form and material. The Sambyeolcho's fighting and its ruins also are needed to be reconsidered because of their large influence with Jeju. It is important to consider inherent architectural meanings and values based on remaining Mongolian ruins.
In this paper, present remaining Mongolian ruins in Jeju are examined under this subject, and their architectural meanings and values about examples are discovered mainly. Mongolian ruins examined in this research include 1) the grazing land of a Jeju horse and the birthplace of the Jeju horse farm(Susampyeong) 2) the great wall of Hwanhae, 3) Dongjewon and Songdamcheon, 4) remains of the last battle against Mongolia of Hangpaduri and ruins of inside and outside of Hangpaduri castle, 5) Beopwhasa, 6) the five-level stone pagoda of the Wonkaksa, 7) the memorial stone of Mrs. Jeong, a woman of virtue, the square graveyard of Samsaemiorm of Yousuam-ri, and Bonhyangdang of Go-nae.
We analyzed relations between Mongolia and Jeju from historical and cultural approaches based on above research objects, examined architectural meanings and values, and found that Jeju had close historical and cultural relations with Mongolia and it was influenced by Mongolian culture in various aspects. From these aspects, it is significant that a historical and cultural consideration of relation between Mongolia and Jeju.
Author(s)
바드만양보어융만다하
Issued Date
2011
Awarded Date
2012.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5754
Alternative Author(s)
Badmaanyambuu Oyunmandakh
Affiliation
제주대학교
Department
대학원 건축공학과
Advisor
김형준
Table Of Contents
1. 서 론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1.2 연구의 대상과 방법 2
2. 제주와 몽골의 역사적 관계
2.1 탐라와 몽골과의 관계 3
2.2 몽골시대의 제주 5
2.3 삼별초와 항몽세력 12
2.4 몽골시대 이후의 제주 18
3. 제주의 몽골유적
3.1 제주마 방목지와 제주목마장 발상지 25
3.2 환해장성 29
3.3 제주항파두리 항몽유적지, 항파두리성내의 유적 33
3.4 법화사 37
3.5 원당사지 오층석탑 43
3.6 열녀정씨지비, 유수암리 산새미오름방묘 47
4. 제주 몽골유적의 건축적 가치와 의의
4.1 법화사의 건축적 가치와 의의 51
4.2 원당사지와 원당사지 오층석탑의 가치와 의의 52
4.3 제주항파두리 항몽유적지의 가치와 의의 53
V. 결 론 54
참고문헌 56
Abstract 58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바드만양보어융만다하. (2011). 제주 몽골유적의 건축적 의의에 관한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Architectural Engineering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