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한·중 교역구조 변화에 따른 한국의 대응방안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change of Trade Structure between Korea and China and Its Countermeasures
Abstract
The overall business environment in China has also changed greatly recently. China has developed to be the largest exporting country and the trade restriction against China such as anti-dumping duty has increased. The structure of export goods and trade policy has also changed in China. China prohibited some of the process trade which consume large amount of energy and bring the environmental problems. China is reinforcing a selective trade strategy which will enforce stricter control low value-added and also restrict exports in sectors that could lead to trade dispute.
The foreign direct investment and the econom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China has changed. As a member of WTO China has made various strategic changes in its trade, foreign investment, overseas investment and regional cooperation policies. Such developments have influenced the investment in China and brought many changes in the econom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China, especially in terms of trade.
China has tightened control over its exports in response to increasing trade pressures and calls to revaluate the yuuan as a result of the continuous expansion of its trade surplus, as well as address the problem of excess liquidity in the domestic market.
To achieve effective economic relations between two coutries we're got to do the following measures.
First, maintain the economic gaps between two countries to achieve the international division of labor.
Second, enter into the domestic market in China to compete effectively.
Third, find the way to maintain the complementary industrial stracture between two countries.
Fourth, diversify the import partners such as foreign owners company.
Fifth, strengthen the effort to diversify the export market.
Author(s)
조선
Issued Date
2011
Awarded Date
2012.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5766
Alternative Author(s)
Xuan Zhao
Affiliation
제주대학교
Department
대학원 무역학과
Advisor
이용완
Table Of Contents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목적 1
제2절 연구의 방법 및 법위 2
제2장 한·중 교역현황 3
제1절 한국의 대중국 교역현황 3
1. 한국의 교역현황 3
2. 한국의 대중국 교역현황 3
제2절 중국의 대한국 교역현황 6
1. 중국의 교역현황 6
2. 중국의 대한국 교역현황 8
제3장 한·중 교역구조변화의 분석 12
제1절 한·중 교역구조 12
1. 한국의 대중교역 구조 12
2. 중국의 대한교역 구조 15
제2절 한·중 교역구조 현황 17
1. 한·중 교역구조 변화의 주요내용 및 원인 17
2. 한·중 교역관계의 변화 20
3. 시사점 28
제3절 한·중 교역 상품구조 분석 31
1. 한국의 대중국 수출입상품구조 분석 31
2. 중국의 대한국 수출입상품구조 분석 33
제4절 한·중 수출입시장 구조 분석 35
1. 한국 수출입시장 점유율 분석 35
2. 중국 수출입시장 점유율 분석 38
3. 시사점 41
제4장 한·중 교역 분쟁현황 및 사례 43
제1절 한·중 교역 분쟁현황과 원인 43
1. 한·중 교역분쟁현황 43
2. 한·중 교역분쟁원인 44
제2절 한·중 교역 분쟁 사례 분석 46
1. 한·중 농산물 분쟁사례 46
2. 한·중 간 반덤핑사례 51
3. 지적재산권 사례 59
4. 자동차 사례 62
5. 세이프가드 사례 65
제3절 한·중 교역분쟁사례의 시사점 67
1. 중국소비시장의 변화추이 67
2. 고부가가치 수출 전환 노력 67
3. 수출선 다변화 등 포괄적 수출전략의 수립 68
제5장 한·중 교역분쟁의 문제점과 대응방안 69
제1절 한·중 교역분쟁의 문제점 69
1. 한·중 교역 불균형의 문제점 69
2. 한·중 교역장벽 문제점 72
3. 한·중 투자 상의 문제점 78
제2절 한·중 교역분쟁의 대응방안 80
1. 중국의 대응방안 80
2. 한국의 대응방안 82
3. 한·중 공동협력 대응방안 83
제6장 결론 89
참고문헌 91
ABSTRACT 94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조선. (2011). 한·중 교역구조 변화에 따른 한국의 대응방안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International Trad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