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제주 전통 모피·피혁류 복식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Jeju Traditional Style of Fur or Leather Clothes
Abstract
제주도는 지형적 여건, 척박한 풍토, 정치적 수탈 등으로 문화교류가 단절되고 경제적으로도 빈곤한 사회‧문화적 환경의 지배를 받았었다. 따라서 제주도민의 의생활은 본토에 비해 크게 발달하지 못해 원시적인 양식이 오랫동안 지속되었고. 특히 제주도 중산간지역을 삶의 터전으로 살았던 테우리(목자), 화전민, 사냥꾼 등은 추운 환경에 생존하기 위해 동물의 털과 가죽을 이용하여 복식을 착용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도의 이러한 전통 모피‧피혁류 복식을 중심으로 그 기원 및 발달요인과 착용사례 및 용례를 분석하고, 제작관리 및 방법을 규명하는 데 있다. 또한 실증유물을 통해 봉제특성, 장식특성, 소재특성 등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제주지역과 중국 동북‧내몽골과의 상관성을 고찰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고찰, 실증고찰, 면담방법을 병행하였다. 문헌고찰을 위해서 유학자들이 유배생활 기간 동안 제주에 관해 기록한 문집과 민담을 중심으로, 실증고찰로는 제주도내 박물관에 소장된 유물을 중심으로 고찰하였고 민속학적 조사방법으로는 제주도 중산간지역 70세 이상의 주민과의 면담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주도가 갖는 지형학적 특성, 자연환경, 사회‧문화 환경은 다른 지역과 완전히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어 중산간지역의 거주민들은 직물농사를 지어 의복소재를 마련하기가 어려웠기 때문에 목축을 하고 있는 소와 말 또는 주변에 서식하는 야생동물 즉 노루, 오소리 가죽을 이용하여 복식을 제작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고려 말 목축업이 발달하여 대대적으로 말을 키웠으나 말가죽은 잘 찢어지는 단점이 있어 말가죽 소재의 의복은 착용하지 않고 대신에 사냥을 통해 얻은 노루, 오소리의 털과 가죽을 주로 이용하여 방한용으로 복식을 만들어 착용하였던 것이다.

둘째, 문헌고찰, 실증고찰, 면담을 통해 살펴본 결과 복식의 종류에는 두식, 의복, 족의, 주머니로 구분 할 수 있었다. 두식에는 가죽감티와 털벌립 종류가 있으며 이들은 주로 노루, 소, 개, 오소리 등의 털과 가죽으로 만들었다. 가죽감티 중 오소리감티가 가장 고급품으로 여겨졌으며 다른 가죽에 비해 털이 촘촘하고 가볍고 따뜻하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볼 수 있다. 털벌립은 검은 소의 털로 된 것이 고급품으로 제주에서는 황소보다 흑우가 유명하였기 때문에 흑우의 털이 귀했음으로 여겨진다.

의복에는 가죽 옷과 가죽발레가 있으며 가죽 옷은 개 또는 소가죽으로 된 옷이 있다. 유물조사 결과 가죽옷은 무두질한 가죽을 소재로 하지 않고 개나 소의 털을 가공하지 않고 사용했다. 개가죽 옷의 경우 여러 문헌에 자주 등장하고 있는데 이는 개를 집집마다 키웠기 때문에 그 가죽을 쉽게 구할 수 있고 얇고 부드러우며 질기고 털이 따뜻하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가죽발레는 선행 연구에서는 개가죽으로 제작되었다고 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는 대부분 털을 모두 제거한 노루가죽으로 만들어 착용한 것으로 밝혀졌다. 가죽발레는 덧바지형태의 것으로 방한 및 방수 효과가 매우 우수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족의는 가죽버선과 가죽신이 있으며 주로 소가죽, 노루가죽으로 제작되었다. 가죽버선은 발목부터 발바닥까지 소가죽이나 노루가죽을, 발목 윗부분은 광목이나 무명을 사용하였는데 이는 신발을 신고 벗는 데 편이성을 고려하여 제작된 것이다. 가죽신은 노루가죽, 소가죽으로 만들며 가죽을 얇게 자르거나 꼬아서 제작하거나 신깍에 칼집을 넣어 제작한 것으로 신발을 착용했을 때 발이 편하도록 기능적인 면을 고려하였다.

셋째, 바느질법을 살펴본 결과 코걸이, 감침질, 홈질, 온박음질, 휘갑치기 등의 봉제방법이 사용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중 코걸이기법은 제주에서만 사용된 특이한 기법으로 우산살을 지탱하는 철사나 대나무 끝을 뾰족하게 만든 도구를 이용해 가죽에 구멍을 낸 뒤 가죽실을 신발 끈 꿰듯이 한쪽에서 반대편 쪽으로 연결해 가는 방법이다. 특히 소가죽으로 만든 복식에 사용되며 가죽이 두껍기 때문에 쉽게 헤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가죽을 겹쳤을 때 두꺼워지고 피부에 닿았을 때 아플 수 있기 때문에 가죽실을 사용해서 튼튼하고 견고하게 하기 위해서 사용된 제주만의 특색있는 바느질기법이다.

넷째, 제주 전통 모피‧피혁류 복식에 사용된 바느질 기법에는 패치워크, 상침, 코걸이, 패치, 꼬임, 절개, 찍기 등의 장식기법이 사용되었다. 개가죽 옷에서 가죽을 조각내어 연결한 패치워크장식과 가죽버선에서 가죽과 면 연결 부분에 사용된 상침장식, 가죽버선의 바닥부분과 직사각형 부시주머니에 사용된 코걸이기법, 버선 뒤축에 나뭇잎 모양의 가죽을 오려 잘 헤어지는 부분을 튼튼하게 보강하면서 장식했던 패치장식이 있었다.

다섯째, 복식에 사용된 소재는 제주지역에 많이 서식하는 노루, 소, 개, 오소리, 말, 송아지 등 목축이나 사냥에 의해 얻을 수 있는 동물들이다. 이러한 동물의 털이나 가죽을 가공하지 않은 자연스러운 상태로 복식에 사용되었으며, 모피‧피혁류 재료의 장‧단점을 고려하여 각 용도에 맞게 털이나 가죽을 달리하였음을 알 수 있다.

여섯째, 제주지역과 중국 동북‧내몽골지역의 전통 모피‧피혁류는 상관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 조사해 본 결과 두 지역의 복식에 있어서 형태, 소재, 장식기법에서 유의미한 유사성을 찾을 수 있었다.
복식의 형태를 살펴보면 동물의 털이나 가죽으로 만든 긴 포 형태이며, 제주의 가죽발레와 기능적인 면이 유사한 '투고(套褲)'라는 덧바지가 입혀지고 있었다. 이는 중국 동북‧내몽골지역에서도 바지위에 덧 착용했던 것으로 바지를 보호하거나 눈 또는 비에 젖지 않게 하기 위해 입던 덧바지의 용도와 유사하다. 가죽신은 장화의 형태로 발목 윗부분까지 가죽으로 만들고 윗부분은 신고 벗기 편리하게 천을 덧대었다. 주머니류에서도 부시주머니로 둥근 형태 등 유사하였다. 복식에 사용된 소재는 중국 동북‧내몽골지역의 경우 양, 소, 고라니, 사슴가죽을 복식에 사용하였으며, 제주지역의 경우 개, 소, 오소리, 노루 등 그 지역에서 비교적 쉽게 구할 수 있는 동물의 가죽을 이용해서 복식을 만들어 입었음을 알 수 있다. 장식기법으로 중국 소수민족 여성의 경우 손재주가 좋기 때문에 복식에 다양한 문양과 화려한 장식기법을 사용한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소품류에서 주름‧셔링‧턱, 프린지, 아플리케, 자수, 선‧파이핑 등의 기법이 사용된 반면 제주도의 경우는 일상사가 주로 물질 및 목축 등의 노동과 추위와 더위에 대처하기 위한 용도로 우선 사용되었기 때문에 장식성 보다는 실용성과 합리성을 중시하였기 때문에 동북‧내몽골지역의 복식에서 만큼 화려한 장식기법은 찾아보기 힘들다.

일곱째, 면담과 문헌고찰, 실증고찰을 통하여 모피‧피혁류 복식이 하나의 복식으로서 완성된 형태와 위상을 갖추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주 전통 모피‧피혁류 복식은 제주의 독특한 자연환경에 그 기반을 두고 있고 일상생활과 매우 밀접하게 연관되어있었다. 선행연구에서 털옷이나 가죽옷을 목자복 또는 노동복으로 분리하고 있었으나 본 연구에서 목자복 외의 중산간지역에서 삶을 터전으로 살고 있는 테우리(목자), 화전민, 오랜 시간 사냥을 하는 사람들이 주로 착용하였음을 알 수 있고, 면담 결과 중산간지역에 장례를 치르러 갈 때 방한 용도로 모피‧피혁류 복식을 착용하였던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모피‧피혁류 복식을 목자복이나 노동복으로 한정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볼 수 있다.
Jeju maintained a primitive style in the culture of clothing, compared to that of the mainland. This was caused by Jeju's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s. It was isolated from cultural exchange and faced with economic difficulties due to its geographical and climate circumstances. Especially, the cowboys, hunters and firefield farmers used to wear clothes made of animals' fur or leather to be adapted to their cold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origin of Jeju's traditional clothes, the reasons for their development, taking some meaningful examples for wearing them. It also tries to find how to make the clothes and manage them. This study presents the distinctiveness of sewing, decoration and materials by using the remains, revealing the corelation between Jeju, the north eastern China and internal Mongo. It finally tries to establish a theoretical system regarding Jeju's traditional fur or leather clothes.
The method of this study contains the study of literature and actual proofs and interviews. The books written by the exiled scholars were used for the study of literature and the remains exhibited in the Jeju provincial museums for the actual proofs. The seniors aged more than 70 along the mid mountains were interviewed as a method of folklore surve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Jeju has unique features in terms of geographical, natural,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 different from those of the mainland. Instead of farming fibrous materials, the inhabitants residing along the mid mountains raised cattle or horses. In addition, they obtained the leather or fur from wild animals such as roe deer or badgers, from which they may have devised their clothes.

Secondly, to study Jeju's style of clothes of fur or leathers, literature and actual proofs study and interviews were implemented. Its clothes were categorized into hats, wears, socks and pouches. The hats were made of fur or leathers of deer, cows, dogs and badgers, etc. Especially the leather of badgers has an advantage of fine and light texture plus thermal insulation effects.
The clothes were made of leather, mostly obtained from dogs or cattle. The leather was used without any tanning. Dogs' leather was often mentioned in various books. Because dogs were domestic animals with soft and tough leather, their leather were easily used for clothes. Leather pants called "leather balle" were very useful to protect their body against cold weather. The socks were categorized into leather socks and shoes which were made of cows or deer leather. They were used to protect their feet and ankles. For their lower legs, cotton cloth was used for their convenience when wearing their shoes.
Thirdly, the style of Jeju's traditional fur or leather clothes included various needle work such as stitching by bamboo needles which was one of the unique needle works existing only in Jeju. This needle work was used for clothes of cow leather to protect pain when wearing them.

Fourthly, decorative techniques such as patchwork, decorative saddle stitching, a nose pendant, patch, twist, cutting and stamping were used in Korea traditional fur and leather garments. Decorative saddle stitching were used in the joint of Korean leather socks called "leather beoseon", between leather and cotton and a nose pendant are also used at the bottom of leather beoseon and pockets. Clothes shaped like a leaf is used to reinforce the heels of socks, which is called patch. The ways of cutting or twist leather are used in leather boots and then leather boots are decorated by stamping patterns on them.

Fifthly, The material used in Jeju traditional leather and fur garments came from cattle and wild animal such as roe deer, cows, dogs, badgers, horses, calves etc. This material were used in garments without processing. The materials were appropriately used in Jeju, considering both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material. Instead of using leathers of horses, people used leathers and fur of roe deer and badgers that could be obtained by hunting. The main material of clothes was leathers of cows and dogs because this material was excellent for keeping out the cold, wet and wind.

Sixthly, it is predicted that there were corelations between the fur and leather clothes of Jeju Island, North Eastern China and Inter Mongo. There were similarities between the styles of the two regions. First, the shape of garments was like a long cape made of leather or fur. Mongolian wore overalls called Tugo that had very similar function with Jeju leather Balle for preventing pants from wetting. Second, leather boots were made of leather from the bottom to the ankle and cloth was attached to the upper part to make it easy to wear or remove boots. And the round shape of pocket was also similar.

Seventhly, The current study found out that the fur, leather garments of Jeju had completed form and status, based on their surroundings by interviews, literary consideration and demonstrative study focusing on collections of museums in Jeju. fur, leather garments of Jeju were closely related to Jeju traditional culture and got influenced.
The previous study classified fur and leather garments as work clothes but the study also found out the facts that fur and leather garments were worn by hilly and mountainous areas to protect themselves from cold.
Author(s)
고순희
Issued Date
2011
Awarded Date
2012.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5840
Alternative Author(s)
Ko, Sun hee
Affiliation
제주대학교
Department
대학원 의류학과
Advisor
장현주
Table Of Contents
I. 서 론 1
1. 연구의 목적 및 의의 1
2. 연구방법 4
1) 문헌 고찰 4
2) 실증 고찰 4
3) 면담 5
3. 연구범위 및 제한점 8
II. 제주 전통 모피피혁류 복식의 기원 및 발달요인 10
1. 기원 10
2. 발달요인 11
1) 자연환경 12
2) 사회문화적 환경 13
3. 착용사례와 용례분석 16
III. 제주 전통 모피피혁류 복식의 종류 24
1. 두식 24
1) 가죽감티 24
2) 털벌립 34
2. 의복 40
1) 가죽옷 40
2) 가죽발레 48
3. 족의 55
1) 가죽버선 55
2) 가죽신 67
4. 주머니류 74
1) 부시주머니 74
2) 자루형 주머니 79
Ⅳ. 제주 전통 모피피혁류 복식의 특성 80
1. 봉제특성 80
2. 장식특성 85
3. 소재특성 89
V. 제주지역과 중국 동북내몽골지역 모피피혁류 복식 비교 97
1. 중국 동북 내몽골지역 모피피혁류 복식의 종류 97
1) 두식 98
2) 의복 99
3) 족의 100
4) 소품 101
2. 제주지역의 모피피혁류 복식과 비교 103
1) 형태 103
2) 소재 104
3) 장식기법 106
Ⅵ. 결론 109
참고문헌 115
부록 120
1. 제주 전통 모피피혁류 복식 유물 121
2. 제주 전통 모피피혁류 복식 면담내용 145
ABSTRACT 162
Degree
Docto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고순희. (2011). 제주 전통 모피·피혁류 복식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Fashion and Textiles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