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제주신화 자청비 콘텐츠를 응용한 패션 디자인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extile design using contents of Jeju myth, Jacheongbi
Abstract
작가이자 영화감독인 폴오스터(Paul Auster)는 스토리를 만들고 전달하는 것이야말로 우리가 세상을 이해하고 우리의 삶에 의미를 만들어 낼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지적했듯이 지역문화는 바로 스토리이며 이와 연계된 스토리는 지역민의 정체성을 확립하는데 기여할 뿐만 아니라 지역과 문화, 국가의식을 고양시키고 통합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므로, 제주를 알리기 위해서는 먼저 제주문화가 깃든 스토리를 만들어야 한다는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예를 들어, 대부분의 제주에서 구비전승(口碑傳承)되는 이야기는 제주 인에게 강력한 반향을 일으킨다고 본다. 그 이유는 바람 많고 돌 많은 화산섬의 척박했던 제주인의 삶과 1만 8천 제주 신들의 내력이 지역적 특성인 독특한 생활방식과 사고방식으로 제주 인들의 삶에 녹녹히 묻어나와 역사적 산물로 남아있기 때문이라 사려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주문화 콘텐츠 사업의 일환으로 자청비 신화원형 및 스토리텔링에 등장한 동식물을 콘텐츠화 하고 이를 응용한 텍스타일 디자인(색상, 문양) 개발 및 패션디자인 제시를 통해 지역문화 콘텐츠 개발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제주신화는 염원(念願)을 기원하는 종교적 성격을 띠고 있으며, 그 염원은 보다 다양한 성격의 당신(堂神)화를 창출해 냈으며, 그 신앙의 주(主)는 여성이었다. 이는 많은 마을 동제(洞祭)의 당신(堂神)의 남녀 비율을 살펴보면, 여성이 남성에 비해 배 이상인 것에서 유추해 볼 수 있다. 많은 여신들 중에서 특히 자청비는 자주적이고 주체적인 인생을 산 제주여성들의 고단했던 삶을 대변해주는 주인공으로서, 고난과 역경을 이겨내고 스스로의 힘으로 농경 신으로 좌정되는 과정을 기술하고 있어서 의미 있는 연구대상이 되고 있다. 즉, 자청비는 제주의 대표적인 농경 신으로 세경(世經)할망이라 불리고 있으며, 또한 세경신이라는 신의 내력을 풀어내는 서사무가(敍事巫歌)의 무속제의(巫俗祭儀)에서는 세경본풀이에 등장하는 여신의 주인공이기도 하다.
신화 자청비는 상징적이며 평화적인 테마를 중심으로 한 남녀 간의 애정을 담고 있다. 다시 말해서, 자청비는 하늘에서 글공부 내려온 문 도령을 연못가 빨래터에서 만나 3년간 글공부가 마칠 때까지 자신이 여자임을 숨기고 남장행세로 생활한다. 3년간의 글공부를 마친 문 도령을 자신의 집으로 데리고 와서 3년간의 회포를 푸는 당찬 여인이다. 자청비의 연인 문 도령은 자청비와 헤어지게 되는 2번의 과정에서 다른 여자와 사랑을 즐기는 우유부단한 성격의 소유자지만 자청비는 그때마다 자신의 존재를 알리고 사랑의 권리를 평화적으로 추구한다. 자청비가 하인인 정수남의 흑심을 지혜와 재치로 슬기롭게 넘겨 하늘나라 문 도령의 아내가 되기 위해 시부모의 시험에 합격하여 문 도령과의 사랑의 결실을 맺게 된다. 그 후 하늘에서의 변란을 평정하고 그 대가로 하늘에서 오곡종자를 받아 지상인 제주로 도래하여 문 도령은 상세경, 자청비는 중세경, 하인 정수남이는 하세경인 마(馬,) 소(牛)를 담당하는 목축신이 된다는 과정의 스토리이다.
이와 같은 스토리를 근거로 제주신화의 개념 및 특성을 정립하고 자청비를 고전적 영웅농경신과 현대적 사랑과 평화의 신이란 유형으로 도출한 후 신화 속에 등장한 동식물을 발췌하여 콘텐츠화 하고, 이를 중심으로 텍스타일 디자인을 개발한다. 색상개발을 위해서는 억새와 북나무 등의 자생식물을 채취하여 천연 염색방법을 이용하였으며 또한 자청비 이미지의 효과적인 표현을 위해 복합염색방법도 이용하였다. 그 외의 뿌리기기법과 홀치기기법, 침염, 날염방법과 매염에서는 선·후매염과 중매염 등으로 다양한 테크닉을 활용하였다. 문양은 자청비에 등장한 동물(소, 말, 공작새, 부엉이 등)의 상징적 의미를 근거로 콘텐츠화 한 후 이를 활용하여 개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자청비의 고전적 영웅농경신과 사랑과 평화의 신이라는 주제를 표현한 의상 및 패션소품(스카프, 가방)을 제시하였다.

제주신화 자청비의 등장인물의 성격과 특징을 신화적인 상징과 은유의 도그마로 활용하였고 또한 등장하는 식물과 동물을 모티브로 하여 패션 디자인에 활용하였다.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패션 디자인에 있어서 다양한 표현기법을 시도해 봄으로써 실험적이고 창의적인 패션 디자인을 위한 표현기법을 제시해 줄 수 있었다.
앞으로도 제주 신화 자청비의 원형 및 스토리텔링의 콘텐츠를 활용함으로써 패션 디자인뿐만 아니라 제주의 관광자원과의 접목을 통해 문화 콘텐츠 사업에 좋은 아이템으로 정착할 수 있으리라고 사려 된다.
Paul Auster, a writer and movie director said that to create a story and deliver it is an only way for us to understand this world and to shape a meaning in our life. Regional culture is the very story and story connected to it not only contributes to establishment of identity for local residents but also enhance and integrate regional, cultural, and national consciousness. Therefore, to make Jeju widely known, the necessity is suggested to create a story where Jeju culture inhabits.
Most of stories orally transmitted have strong charm in Jeju people. It is thought that this is the reason why life of Jeju people and career of 18,000 gods in Jeju are extant as historical products, which are melted down in the life of Jeju people in unique life style and thinking way - Jeju people's life was tough in the volcano island with much wind and many stones.
Accordingly, the purpose and meaning of this study is, as one of Jeju culture contents projects, to contribute to development of regional culture by making contents for animal and plant appeared in Jacheongbi myth and developing textile design based on the created contents.
The concept of Jeju myth has a religious character which prays for wish. Such a wish created myth of shrine's god(堂神) with various characters. The subject of the religion is woman. When seeing the portion of man and woman in shrine's god of rite of village, woman is two times of man.
Among many goddesses, especially, Jacheongbi is a heroine who represents the tough life of Jeju women - they had to live independently and subjectively. The myth depicts a process where Jacheongbi overcomes hardship and adversity, and becomes an agricultural god. In this context, this study would be meaningful.
Jacheongbi myth, the Jeju's representative goddess of agriculture is called Segyeong(世經) grand mother. Jacheongbi is a heroine of which is narrative shamanistic verse depicting career of gods.
Jacheongbi myth describes love between man and woman focusing on symbolic and peaceful motif. Jacheongbi meets Moon Doryeong or unmarried yeoung man who came this world from Heaven to study reading and writing at a wash place near pond. She dresses up like a man to disguise herself as a man until Moon Doryeong finishes study for 3 years. She takes him to her house, when he finishes study. There she spend some time sharing inmost thoughts with him. But she experiences of parting with Mun Doryeong two times. He is an irresolute man so that he enjoys love with other women. She overcomes such a situation by letting him realize her existence and peacefully recovering right of love. Jacheongbi declines bad intentions of Jeong Su-nam, a servant with wisdom and wit, and passes the examination given by parents-in-law to be a wife of Mun Doryeong. She put down the rebels occurred in Heaven and as a reward, she receives the seeds of five grains. At last, she returns to Jeju island and becomes Jung Segyeong(中世經); Mun Doryeong, Sang Segyeong(上世經); Jeong Su-nam, Ha Segyeong(下世經) that is in charge of horse and cattle. This is the end of story.
By collecting the seeds of five grains mentioned in the story, which are assumed buckwheat, potato, millet, barley, and bean, and naturally dyeing with them, color of Jeju myth will be created. And textile design will be developed by making patterns including symbolic meanings that horse and cattle have - horse and cattle are necessary to cultivate barren soil of Jeju. That is, in the aspects of the arts and practical use, natural dyes from Jeju native plants are collected and various dyeing methods and expression skills are used to develop textile design as a classic heroine 'the agricultural god' and mordern god of 'love and peace' from Jacheongbi and a concept and thecharacter of a Jeju myth are established. through characterizing Jeju's native animal and plant.
For dyeing methods, natural dyeing with native plants like sumac and silver grass is used for practical use - discoloration is prevented. Besides, there are various dyeing methods such as Scattering, Tie dyeing, Dip dyeing, Printing, and Mordanting. In Mordanting, there are pre-mordanting, post-mordanting, and Same time mordanting. Thus, various technique are utilized to develop textile design so that Jacheongbi contents can be effectively suggested.
The characters and characteristics of figures appeared in Jeju myth, Jacheongbi were used as dogma of mythological symbolism and metaphor, and textile design was developed with motif of plant and animal shown in the myth. This study could suggest free and creative textile design skills by trying various methods.
It is thought that forwards this study can not only contribute to textile design using contents of Jeju myth, Jacheongbi storytelling but also provide cultural contents project with good items through grafting onto Jeju's tourism resources.
Author(s)
오정순
Issued Date
2011
Awarded Date
2012.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5841
Alternative Author(s)
Oh, Jeong-soon
Affiliation
제주대학교
Department
대학원 의류학과
Advisor
정애란
Table Of Contents
국문초록
표 목차
그림 목차
Ⅰ. 서 론 1
1. 연구 목적 및 의의 1
2. 연구 내용 및 방법 4
Ⅱ. 이론적 배경 7
1. 신화의 개념 및 특성 7
2. 제주도 신화의 개념 10
3. 콘텐츠의 개념 23
Ⅲ. 제주신화 자청비 콘텐츠를 응용한 패션 디자인 25
1. 신화 자청비의 콘텐츠화 25
2. 제주신화 자청비 콘텐츠를 응용한 패션 디자인 개발 32
Ⅳ.패션 디자인을 활용한 작품 제작 41
1. 디자인 의도 41
2. 작품 해석 42
Ⅳ. 결론 55
참고문헌 58
ABSTRACT 62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오정순. (2011). 제주신화 자청비 콘텐츠를 응용한 패션 디자인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Fashion and Textiles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