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탄력밴드를 이용한 견관절 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Effect of Thera-Band on the Shoulder Exercise in the function of Upper Extremities of Stroke Patients
Abstract
본 연구는 뇌졸중환자의 견관절 탄력밴드 운동이 뇌졸중 환자들의 상지기능 에 미치는 영향 과 자가 치료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2011년 3월부터 4월까지 제주도 N재활병원에 입원한 성인 뇌졸중환자로 성인 편마비 환자를 22명을 대상으로 11명 실험군(일반재활치료와 탄력밴드운동)과 11명 대조군(일반재활치료군)으로 무선배정 하여 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를 이용하였고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일반적 재활치료를 받고, 11명의 실험군은 4주간, 주5회로 한 시간 씩 탄력밴드를 이용한 견관절 운동을 실시하고 ,검사는 실험전과 4주 운동 후 평가하였다
자료분석은 Windows용 SPSS 1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험조건과 측정시기별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실험 전후 비교는 대응표본 t-검정을 사용하였고, 실험군과 대조군간이 사전 동질성 검사를 위한 두 집단 간 비교는 독립표본 t-검정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탄력밴드를 이용한 견관절 실험군에서 집단간, 집단내 운동전․후의 상지기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2. 탄력밴드를 이용한 견관절 실험군에서 집단간, 집단내 운동전․후의 근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탄력밴드를 이용한 견관절 실험군에서 집단간, 집단내 운동전․후의 장악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4. 탄력밴드를 이용한 견관절 실험군에서 집단내 운동전․후의 견관절 굴곡, 신전, 외전, 내회전, 주관절 굴곡, 신전, 엄지손가락 중수지절 굴곡, 손가락 중수지절 신전과 집단간 주관절 회내의 관절가동범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5. 탄력밴드를 이용한 견관절 실험군에서 집단간, 집단내 운동전․후의 근 긴장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6. 탄력밴드를 이용한 견관절 실험군 에서 집단간, 집단내 운동전․후의 통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탄력밴드를 이용한 견관절 운동이 뇌졸중환자의 상지기능을 향상 시켰고 근력을 높이며 관절가동범위를 증진시키는 효과를 가져왔는데, 탄력밴드운동을 자가 운동프로그램으로 활용하여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을 개선시킬 수 있다고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using thera-bands in upper extremity training of stroke patients, and to evaluate the efficiency of self home-bound exercise.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consisted of 22 inpatients of N Rehabilitation Hospital in Jeju and they were divided into 2 groups. The A group's rehabilitation was treated with a regular exercise program session with 1 time per 1 day session of thera-band exercise on the shoulder girdle during 4 weeks. While the control group(B) was treated with only the regular rehabilitation program session.
The groups were each evaluated before and 4 weeks after the rehabilitation program session..
Data analysis was treated with Microsoft Statistical Program SPSS 12.0. The variable M±SD, Paired t-test, and Indepenedent t-test for the consistency and the homogeneity between 2 group.
1. Shoulder function, after the 4 week session of Thera-band treatment showed improvement in the A group when compared with the B group. Also the function was also improved within the A group when the session was finished.
2. The muscle power improvement not only within the A group but also between the 2 group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an that of rehabilitation exercise treatment.
3. The grip strength not only within the A group but also between the 2 groups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an that of rehabilitation exercise treatment.
4. The ROM of shoulder, elbow, wrist, 1st interphalangeal, and other finger interphalangeal joint showed not only within the A group but also between the 2 group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an that of rehabilitation exercise treatment.
5. The Spasticity (measured, using the Modified Ashworth Scale - MAS) did not show not only within the A group but also between the 2 group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an that of rehabilitation exercise treatment.
6. Pain (measured by the visual analogue scale) within the A group and between the 2 groups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an that of rehabilitation exercise treatment.
When considering the above results, upper extremity training of stroke patients using the thera-band improved the function and muscle power also the range of motion of the upper extremity is improved. It can be concluded that self- homebound exercise of the shoulder using the Thera-band has a potential in improving the function of the upper extremities of stroke patients.
Author(s)
김동훈
Issued Date
2011
Awarded Date
2012.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5856
Alternative Author(s)
Kim, Dong Hoon
Affiliation
제주대학교
Department
대학원 체육학과
Advisor
류재청
Table Of Contents
Ⅰ.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 목적 2
3. 연구 가설 3
4. 연구의 제한점 3
Ⅱ. 이론적 배경 4
1. 뇌졸중 4
2.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5
3. 탄력밴드운동 6
Ⅲ. 연구 방법 8
1. 연구대상 8
2. 연구절차 9
3. 측정방법 9
4. 운동프로그램 11
5. 통계처리 16
Ⅳ. 연구결과 17
1. 상지기능 17
2. 장악력 19
3. 맨손 근력검사 20
4. 관절가동범위 21
1) 견관절 관절가동범위 21
2) 주관절 관절가동범위 25
3) 손목관절 관절가동범위 28
4) 엄지손가락 관절가동범위 30
5) 손가락 관절가동범위 33
5. 근 긴장도 37
6. 통증 38
Ⅴ. 논 의 39
Ⅵ. 결 론 42
Ⅶ. 참고문헌 43
VIII. Abstract 50
IX. 부 록 52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김동훈. (2011). 탄력밴드를 이용한 견관절 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Kinesiolog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