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職場女性의 職場-家庭葛藤이 職務滿足에 미치는 影向에 관한 硏究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Employment site for Professional Working Women -A Research on the Effects of Work Satisfaction from Family Conflicts
Abstract
급변하는 경제적 여건의 변화와 산업구조의 변경에 따른 여성의 사회적인 진출증가, 맞벌이부부의 증가에 따라, 일과 삶 모두 소홀히 할 수 없는 상황에서 여성 직장인들이 더 많은 책임과 동시에 더 많은 갈등을 경험하게 되고 이런 환경이 결국 기업이나 조직의 생산성을 떨어지게 할 수 있고, 우수한 인재를 관리하는 데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이에 직장여성들이 느끼는 직장-가정갈등수준과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분석과 가족친화적인 조직문화가 직장가정갈등과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는 조절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가정 하에, 본 연구에서는 직장여성들을 대상으로 직장-가정갈등수준과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가족 친화적 조직문화가 직장-가정갈등수준과 직무만족도 사이에서 조절효과가 발생하는 지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본연구의 연구대상은 제주시청 산하 14개과, 12개 읍․면․동에 근무하는 무기 계약직 이상의 상근여성 302명에 대한 개별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배포하여 회수하는 방법으로 실시하였고, 조사결과 자료 분석은 빈도분석, 연구모형에 대한 기술통계분석, 차이분석, 독립변인간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에 대한 분석결과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변인에 따라 직장-가정갈등과 직무만족, 가족 친화적 조직문화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의 은 부분적으로 채택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장-가정갈등수준과 가족 친화적 조직문화는 직장여성의 직무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의 또한 부분적으로 채택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직장-가정갈등수준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가족 친화적 조직문화가 조절효과를 발생시킬 것이다."는 직장가정갈등(WFC,FWC)과 조절변수인 조직문화 상호 작용투입 분석을 한 결과 상호작용 항이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가족친화조직문화는 직장생활갈등이 가정에 미치는 갈등(WFC), 가정생활이 직장에 미치는 갈등(FWC) 수준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를 조절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런 결과와 더불어 조직문화 중 가족친화제도 이용에 대한 불이익 우려가 높게 나타나고 있음으로, 가족친화적인 제도를 스스럼없이 사용 할 수 있도록 가족 친화적 조직문화로 정책적인 개선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Along with the rapidly changing economical conditions and industrial structure, the advancement of the female workforce into society as well as the increase in both spouses working, it has come to a situation where women in general cannot ignore both their work and their personal life. They have come to take on more responsibilities while at the same time leading to more conflicts. This kind of environment may ultimately lead to the productivity of any corporation or organization and it might also have a negative effect on managing the superior work personnel. Therefore, under the hypothesis that there will be a controlling effect depending on how family friendly the corporate culture is and the elements of how professional working women feel about their worksite and family conflict level were analyzed. In this paper, with the working professional women as targets, the matter of how much controlling effect was produced between worksite-family conflict level and work satisfaction depending on how much family oriented culture the worksite had as well a the effect of how much the worksite-family conflict level and work satisfaction rubbed off on each other. The samples for this particular study was picked from 14 departments under City Hall, and 302 surveys were give out and collected to test the individual awareness to contracted women workers working in 12 different village offices. The analysis of the data from the investigation included frequency analysis,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regarding the research model, analysis of the difference, analysis of the independent individual relationships, returning analysis, and multiple returning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shown as the following. After analyzing the sample people, first, it appeared that of "depending on the general unique variants the worksite-family conflict and work satisfaction, there will be a noteworthy difference on the family friendly corporate culture" was partially chosen. Second, it also appeared that of "worksite-family conflict level and family friendly corporate culture will have a noteworthy effect on work satisfaction rate of professional women" was also partially shown.
However, where "the worksite-family conflict level will affect work satisfaction and will lead to a controlling effect by the family friendly corporate culture" did not have an interactive relationship after applying the WFC,FWC and the corporate culture interaction application implementation analysis which is the controlling variant. In short, the family friendly corporate culture did not have controlling power over worklife conflict affecting family conflict (WFC), family life affecting worklife conflict level(FWC) and work satisfaction.
However, along with these results, there is a huge concern regarding the disadvantages of using the family friendly system amongst the corporate culture, and the need for a policy reform where people can use the family friendly system on a voluntary basis has definitely been identified.
Author(s)
김미숙
Issued Date
2011
Awarded Date
2012.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5903
Alternative Author(s)
Kim, Mi Suk
Affiliation
제주대학교
Department
행정대학원 행정학과
Advisor
남진열
Table Of Contents
제 1 장 서 론 1
제 1 절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제 2 절 연구의 내용 5
제 2 장 이론적 배경 7
제 1 절 직장-가정갈등 7
1. 직장-가정갈등의 개념 7
2. 직장가정 갈등의 선행연구 8
제 2 절 직무만족도 12
1. 직무만족도의 개념 12
2. 직무만족도의 선행연구 13
3. 직무만족의 제 영향요인 17
제 3 절 가족 친화적 조직문화 20
1. 가족친화적조직문화의 개념 20
2. 가족친화 조직문화에 관한 선행연구 22
3. 국내외 가족친화정책 사례유형 25
제 3 장 연구방법 45
제 1 절 연구방법 45
1. 연구모형 45
2. 연구가설의 설정 45
제 2 절 측정도구 46
1. 설문지구성 46
2. 척도의 신뢰도 46
3. 연구대상 49
제 4 장 분석결과 50
제 1 절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50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50
2. 직장-가정갈등, 가족친화적 조직문화, 직무만족도요인 기술통계분석 52
제 2 절 직장가정갈등, 직무만족도, 조직문화 차이분석 54
1.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장가정갈등, 직무만족도, 조직문화 차이 54
2. 독립 변인 간 상관관계분석 56
제 3 절 직장가정갈등과 조직문화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58
1. 직장-가정갈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58
2. 가족친화적 조직문화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59
3. 직장가정갈등과 조직문화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60
제 4 절 WFC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족 친화적 조직문화의 조절효과 61
1. WFC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조직문화의 조절효과 61
2. FWC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조직문화의 조절효과 62
제 5 장 결 론 64
제 1 절 연구결과 요약 및 가설검증 64
1. 연구결과 요약 64
2. 가설검증 결과 65
제 2 절 정책적 제언 및 연구의 한계점 66
1. 정책적 제언 66
2. 연구의 한계점 67
69
ABSTRACT 75
77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행정대학원
Citation
김미숙. (2011). 職場女性의 職場-家庭葛藤이 職務滿足에 미치는 影向에 관한 硏究
Appears in Collections:
Public Administration > Local Self-Government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