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父母恩重經諺解」의 국어학적 연구

Metadata Downloads
Abstract
본고는 「父母恩重經諺解」의 이본인 喜方寺本과 龍珠寺本을 비교 연구하여 후기중세국어에서 근대국어로 넘어가는 시기에서 보이는 변화 양상을 살펴보고, 각 이본의 특징을 밝히는 것에 주안점을 두었다.
첫째, 표기는 초성, 중성, 종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초성은 양 異本 모두 현대국어에서 사용하는 자음을 모두 사용하였으며, 각자병서와 합용병서를 쓰고 있다. 'ㅿ'은 喜方寺本에서만 사용되었다. 중성에서는 15세기 국어의 7단모음 체계와 이중모음을 그대로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종성의 표기는 喜方寺本은 8종성법에, 龍珠寺本은 7종성법에 충실하고자 하였다. 겹받침은 龍珠寺本에서만 사용되었다. 양 이본 모두 연철, 분철, 중철 표기가 나타난다.
둘째, 음운을 살펴보았다.
모음은 양 이본 모두 'ㆍ'의 동요와 함께 모음조화 붕괴 현상과 원순모음화 현상이 나타난다. 자음은 양 이본에서 구개음화와 격음화, 경음화 현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음운 현상들은 모두 龍珠寺本에서 두드러짐을 알 수 있다. 喜方寺本에서는 자음탈락 현상으로 'ㄱ'탈락 현상이, 龍珠寺本에서는 어중 모음 간 '-ㄹㄴ-' 표기현상이 나타난다.
셋째, 문법에서는 조사와 어미에 국한하여 논하였다.
조사는 격조사, 접속조사, 보조사로 나누어서 각 이본에서 사용된 조사들을 알아보았다. 어미는 선어말어미, 종결어미, 연결어미, 전성어미로 나누어 마찬가지로 각 이본에서 사용된 어미들을 살펴보았다.
넷째, 어휘는 고유어와 한자어들을 두루 살펴 고유어와 한자어, 고유어와 고유어, 한자어와 한자어의 대응 양상을 고찰해 보았다.
양 이본에서 사용된 어휘들에는 많은 차이가 있었다. 고유어와 한자어의 대응을 보면, 喜方寺本에서 고유어가 더 많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고유어의 사용에서도 많은 차이를 보였는데, 유의어를 사용하거나 어형변화 등이 나타났다. 양 이본에서 사용한 한자어는 모두 현대국어에서 사용하고 있는 어휘들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erpret the aspect of Korean linguistic characteristic change when late medieval Korean turned into modern Korean by comparing two editions of 'Bumo-eunjung-gyeong-eonhae', Huibangsa edition and Yongjusa edition. Also, it focuses on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edition.
The result has been analysed as follow.
1. Writing system: divided into initial consonants, medial vowels, and final consonants
Consonants used in modern Korean were written as initial consonants in each edition, and fortis which consists of the same or different consonants were used as initial consonants. However, 'ㅿ' only appeared in Huibangsa edition. 7 short vowel system and diphthong in the 15th-century Korean appeared to be used as medial vowel as they are reflected in each book. In the representation of final consonants Huibangsa edition followed 8 final spelling rule and Yongjusa edition followed 7 final spelling rule. Closed syllables which end with two consonant cluster appeared only in Yongjusa edition. Both book were written phonetically, morphologically or mixing both styles.
2. Phonology
In vowel sound, 'ㆍ' was used less often, and the breaking of vowel harmony and rounded vowelization were shown in both editions. In consonant sound, palatalization, aspirated consonantalization and fortislization were shown. Such phonological features all appeared prominently in Yongjusa edition. Consonant 'ㄱ' that followed vowel 'ㅣ' or final consonant 'ㄹ' disappeared in Huibangsa edition, and writing '-ㄹㄴ-' between each vowels in two consecutive syllables showed up in Yongjusa edition.
3. Syntax: covers limited to the study of postposition and ending
Postposition in each edition divided into honorific, conjunctive, and auxiliary postposition, and it was examined. Ending in each edition divided into pre-final ending, final ending, conjunctive ending and derivative ending, and it was analyzed.
4. Lexicon: based on correspondence pattern of the native language and Korean Translation of Chinese classics in each edition.
Native language was used more in Huibangsa edition and there was a large difference between the native languages in each edition. All of Korean Translation of Chinese classics in both edition are words used in modern Korean.
Author(s)
강성미
Issued Date
2012
Awarded Date
2012.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5935
Affiliation
제주대학교
Department
교육대학원 국어교육
Advisor
김태곤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목적 및 범위 1
2. 선행연구 검토 3
Ⅱ. 표기의 비교 6
1. 초성 표기 6
2. 중성 표기 9
3. 종성 표기 10
4. 연철분철 표기 12
Ⅲ. 음운의 비교 16
1. ㆍ의 동요 16
2. 모음조화 붕괴 18
3. 원순모음화 21
4. ㅿ의 소실 24
5. 구개음화 26
6. 경음화 29
7. 격음화 33
8. ㄱ 탈락 35
9. 어중 모음간 -ㄹㄴ-표기 36
Ⅳ. 문법의 비교 38
1. 조사 38
2. 어미 45
Ⅴ. 어휘의 비교 50
1. 고유어와 한자어의 대응 50
2. 고유어와 고유어의 대응 67
3. 한자어와 한자어의 대응 81
Ⅵ. 결론 85
88
91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강성미. (2012). 「父母恩重經諺解」의 국어학적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Korean Language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