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학교 교육시설물의 학습환경 개선을 위한 색채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Color Study on the Improvement of Learning Environment of School Facilities;Focus on Elementary School of Jeju Area
Abstract
우리가 생활하는 동안 항상 마주하게 되는 색채는 의식적으로든 무의식적으로든 사람의 성격과 태도에 많은 영향을 주게 된다. 따라서 학생들이 오랜 시간 생활하는 학교의 환경 색채는 아동의 건강과 정서․사회성 발달․학습 성과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아직도 학교의 환경 색채는 아무런 전문가적 도움 없이 그저 무난한 색으로만 채워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 이유는 색채가 교육시설의 환경을 구성하는 데 얼마나 큰 비중을 차지하는지에 대한 이해가 아직 부족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기능적인 색채란 무엇인지 알아보고 색채가 학생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초점을 맞추어 교육시설의 색채 계획을 제안함으로써 학교의 교육환경에서 계획된 색채 사용의 중요성을 인식시키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론적 배경에서는 색채 환경이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은 생리적․심리적 측면으로 나타나며, 초등학생의 색채 인지 방식은 발달 단계별로 다른 모습을 보인다는 점을 고찰하였다. 초등학교에서 색채 환경의 중요성을 탐구하는 과정에서는, 공간의 기능에 따라 달리 적용되어야 하는 환경색채의 기준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도내 3개 초등학교를 선정하여 현재의 색채 현황을 조사하고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현재 색채에 대한 만족도와 향후 색채 계획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연구의 마지막 단계로는, 앞서 살펴본 이론적 배경과 현황 조사, 그리고 설문 조사의 결과를 종합․분석하여 초등학교 교육시설의 색채 적용 방향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도출된 초등학교 환경 색채 계획의 방향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건물 외부의 색채는 가급적 건축 마감재의 본래 질감을 그대로 살릴수록 시각적으로 안정감이 있으며, 페인트가 주된 재료인 경우에는 도시의 주변 환경과 조화되는 방안을 강구하여야 한다.
둘째, 교실 내부의 색채는 집중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한색 계열의 색상을 교실의 전면에 배색하고, 교실의 측면에는 자연광에 의한 눈부심을 줄여주기 위해 가급적 흰색에 가까운 밝은 색상을 배색하는 것이 보다 나은 학습 환경을 제공하는 방안이다.
셋째, 교실 이외의 실내 공간의 색채는 상대적으로 선택의 폭이 넓으며 복도나 계단실 등의 경우, 보다 밝고 경쾌한 느낌의 색으로 배색할 수 있다.
넷째, 학생들이 선호하는 색채는 원색의 파랑․노랑․빨강 순이었으며, 학생들은 색의 기미가 약한 파스텔톤의 색상보다 색의 기미가 강한 원색을 더 선호하였다. 그러나 이 결과를 곧바로 환경색채에 적용하는 것은 무리가 따른다. 다만, 극히 제한된 범위에서 강조색이나 싸인물 등에 활용할 때, 현재보다 더욱 다채로운 색의 선택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번 조사를 통해 인식할 수 있었다. 또한, 딱딱하게 느껴지는 학교의 건축 환경을 보다 재미있게 느끼고 애착을 가지고 바라볼 수 있는 길을 색채에서 모색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학교의 환경색채는 교육의 목적에 따라 학생들에게 좋은 영향을 주기 위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으며, 색채의 기능적 측면을 교육적으로 적절히 이용하기 위해서는 건축 기본계획의 단계에서부터 체계적으로 색채계획을 전개할 필요성이 있다.
앞으로 학교 환경의 색채를 계획하는 데 있어서 본 연구가 모색한 색채 계획의 방향이 현장 실무에 활용이 되고, 보다 체계적인 연구를 통하여 깊이 있고 다양한 연구가 추가로 진행되어, 더욱 다채롭고 풍부한 양질의 교육환경으로 진화될 것이다.
Colors that people encounter anywhere in our living environment always affect their personalities and attitudes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Thus, the environmental color of school gives a very large impact on health, emotion, social development and learning to students who stay a long time in school. Due to the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ce of color that is comprised in educational facilities, and school, still, is filled with just a modest color without any professional help.
The aim of this study is to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color choices in school facilities by suggesting the functional color planing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and color environment.
Theoretical background is based on the fact that color has physiological ․psychological effects on children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show different responses according to their developmental stages. For this study, the standard of color-matching system is examined in detail depending on the function of space. Also, to analyze a desirable way of color planning, researching the color status of 3 elementary schools in Jeju area and surveying students to find the level of the satisfaction with the current colors and preference for the future color plan is committed. For the last step of the study, color planing for elementary school is proposed by analyz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 & survey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direction of environmental color plan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e can get visual stability from when colors outside of the building show the natural texture of finish itself. In case that the building is mainly painted, harmony with the environmental surroundings of city shall be considered.
Second, inside of classroom, cool colors are suitable on the front wall behind teachers in order to increase concentration of students. For the side wall or the windows, using bright colors close to white reduces glare and provides better learning environment.
Third, the outside of the classroom offers a wide selection of colors than the inside of the classroom. For example, a corridor or staircase can be more bright and various colors compared to the inside of classroom.
Fourth, students favorite colors were the order of blue, yellow, and red. They prefer primary colors rather than soft pastel colors with low saturation. However, this result is not always the right answer. There will be a matter when the prime colors are used directly to the wall of the building inside or outside. Yet, various high saturated colors are used extremely restricted areas such as point wall and sign panel. These researches also show the possibility of finding a way to make people feel more familiar and comfortable with the school environment used to have rigid atmosphere.
The environmental colors of school can be utilized as a tool for giving a good impact on students depending on the intention of education. In order to utilize functional advantage of colors properly in education, there is a need to develope the systematic color plan from the beginning stage of building desgin.
It is expected that this case study is utilized positively in the field of school color planning. And there will be an advance in learning environment with more colorful and higher-quality through more sustained systematic studies.
Author(s)
김형신
Issued Date
2012
Awarded Date
2012.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5939
Alternative Author(s)
Kim,Hyoung-Sin
Affiliation
제주대학교
Department
교육대학원 미술교육
Advisor
강동언
Table Of Contents
국문초록 ⅰ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2. 연구의 범위와 방법 2

Ⅱ. 이론적 배경 4
1. 색채 환경과 아동과의 관계 4
2. 초등학생의 색채 인지 방식의 특징 17

Ⅲ. 초등학교의 색채 환경 21
1. 학교 환경 색채의 중요성 21
2. 초등학교 실내 공간에 따른 색채 기준 24
3. 초등학교 색채 현황 29

Ⅳ. 초등학교 교육시설물 색채 계획 36
1. 초등학교 색채 환경 만족도 및 선호도 조사 36
2. 초등학교 교육시설물 색채 적용 방안 제시 62

Ⅴ. 결 론 72

참고문헌 74
ABSTRACT 76
부 록 78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김형신. (2012). 학교 교육시설물의 학습환경 개선을 위한 색채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Fine Arts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