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창의력 향상을 위한 통합적 미술교육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Integrated Art Education to Improve Creativity;Subjects: low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bstract
지금까지 우리의 교육은 대부분 획일화된 과정을 벗어나지 못하고 암기식 학습으로 인해 창의력이 고갈되는 절름발이식 교육을 해왔다는 평가가 있다. 개성 없는 일체화 교육으로 미래를 이끌어 갈 인재 양성을 이끌어 내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교육 환경을 개선함으로써 학습자의 개성을 살려 창의성과 자주성을 기르도록 해야 할 것이다. 학습자에서 있어서 흥미 없는 수업은 고통일 것이며 연계되지 못해 분리된 수업은 학습자가 합리적인 사고를 할 수 없는 수업이 된다. 학습자에게 진정한 학습의 의미는 학습자가 흥미를 가지고 수업에 임하여 이를 바탕으로 자연스럽게 다른 지식과의 통합을 이룰 수 있을 때 있는 것이며, 통합이 잘 이루어진다면, 학습자의 창의성도 더불어 신장될 것이다.
오늘날 교육의 중요한 과제는 미래사회에 적응하여 살아갈 수 있는 창의적인 인간을 양성하는 것이며, 아울러 개인의 타고난 잠재 능력을 충분히 발휘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각 개인들의 특성을 이해하면서 서로 조화를 이루어 살아갈 수 있는 능력과 태도를 길러주는 것이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주목을 받고 있는 것 중의 하나가 프로젝트 접근법을 적용한 통합 교육이다.
통합교육은 교육과정이 구성에서 교과간의 엄격한 울타리를 고려하지 않고 각 교과의 지식이나 경험을 필요한 대로 가져다가 학생의 흥미, 문제, 제재 중심으로 재구성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수업 시수의 부족, 많은 학생 수, 수업 시간 등의 제약으로 다양한 수업을 진행하기 어려운 공교육의 문제점으로 인해 소집단으로 구성된 저학년을 대상으로 수업지도안을 작성하여 실제 수업을 적용하였다. 프로젝트접근법(Project Approach)을 적용한 통합미술교육은 의미 있는 주제를 중심으로 수행됨으로써 토론하고 사고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과 기회를 주어 학생의 흥미를 유발하고 동기를 부여함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저학년 통합교과를 효율적으로 지도하기 위하여 프로젝트 접근법의 적용이 유용한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그리하여 초등학교의 저학년 교사들에게 방법적 사례를 통하여 통합교과의 효율적인 지도를 통한 수업 개선방안을 찾고, 좀 더 다양한 경험을 통하여 미술활동에 흥미를 가지고 표현 되어질 수 있도록 교사의 지도방법에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방법은 기술적 연구로써 서귀포시 남원 청소년 문화센터와 안덕 청소년 문화센터 2개 시설 38명을 대상으로 하여 2011년 11월부터 2012년 5월까지 수행하였다.
프로젝트를 적용한 수업은 매 시간 실시하였으며, 프로젝트 학습활동 과정에서 참여관찰, 면담. 교사일지, 소감문 등을 통하여 초등학교 저학년의 통합교과 학습과정에서 아동들의 지식 획득과정과 통합교과 학습에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이번 연구를 통해 앞으로 미술수업에 대한 학생 미 학부모의 인식이 바뀌고, 체계적인 교사 양성을 통해 미술교육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강조하고, 미술교육의 끝없는 다양성과 중요성을 인식시켜 나아가 더욱 다양한 수업이 이루어 질 수 있기를 바란다.
그동안 많은 학자들과 연구자들에 의해 프로젝트 접근법과 통합교육에 대해 연구되어 왔지만 실질적으로 수업적용에 잘 쓰이지 않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각 이론의 장점과 연계성을 찾아 확장하여 미술수업의 더욱 폭 넓은 다양성을 찾았다는 것과 수업이 효율적이고 수준 높은 프로그램을 제시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수업이 이루어짐에 의의를 두고 있다.
더 많은 연구와 교사의 교육이 이루어진다면 더욱 효과적인 수업이 이루어질 것이며 프로젝트 접근법은 초등학교 저학년 통합교과를 지도하는데 유용한 방법이라 할 수 있으며 프로젝트 학습은 저학년 아동들의 특성을 고려한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이라 할 수 있다.
The current educational system has been described as limping along, unable to move away from standardized curricula of memorization-based learning, absent of creativity. Consequently, molding young students in colorless conformity will be a hindrance to fostering leaders in the future. Therefore, the current educational environment needs greater efforts to cultivate each learner's personality and individuality. Uninteresting classes will distress learners, leading to a failure to connect with the lesson, and thereby, deter learners from thinking rationally. The exemplification of true learning comes when learners engage in classes with interest, integrating different fields of knowledge. Such integration will heighten a learner's creativity as well.
Today's educational system faces important challenges of nurturing creative individuals, as well as maximizing their innate potential, so that they may better adapt to future society. In an effort to cultivate understanding of individuality as well as maintain harmony, people have begun to pay greater attention to integrated education via the project approach.
Integrated education surpasses the entrenched barriers of strict, standardized curricula, allowing students to focus on a problem without restriction to only the knowledge or experiences of a single respective disciplin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f integrated education via the project approach is efficient in lower elementary school grades. The introduction of integrated education may provide lower grad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th new methodological approaches for which to generate greater interest and artistic expression via varied experiences, improved curriculum and more efficient teaching
Due to the constraints of public education such as lack of class time, a large number of students, school hours, etc., this study created lesson plans for which to apply to a small group of students in the lower grades. Lesson plans applying integrated education via the project approach were designed, emphasizing increased interest and motivation, to allow students to focus on meaningful topics with enough time and opportunities to discuss and think more deeply,.
This technical study comprised 38 students from Seogwipo Namwon Youth Culture Center and Anduk Youth Culture Center, and was conducted from November 2011 to May 2012.
The project approach was applied in each class throughout the day. Through participatory observation, interviews, teachers' daily logs and comments, we collected and analyzed relevant data on integrated education and knowledge acquisition through integrated education curriculum in lower elementary school grades.
This study demonstrated a change in perspective on art classes in students and parent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art education through systematic teacher training, and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art education, as well as the variety it offers, in order to achieve more diverse classes.
Although many studies have demonstrated the benefits of the project approach and integrated education, they have not been properly applied at the practical level. This study stressed the significance of efficient and engaging classes that come alive, demonstrating through the extensive diversity offered by art curricula the strong points and connections of educational theories for which to apply in practice.
If more research that can be applied in everyday classes can be developed, students may be able to experience more effective lessons. As shown in this study, integrated education through the project approach can be a useful method for which to teach lower grade elementary students. In addition, this teaching method was fully considerate of individuality.
Author(s)
홍정민
Issued Date
2012
Awarded Date
2012.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5944
Alternative Author(s)
Hong, Jung-Min
Affiliation
제주대학교
Department
교육대학원 미술교육
Advisor
강민석
Table Of Contents
국문초록 ⅰ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Ⅱ. 이론적 배경 3
1. 통합교육의 이해 3
2. 통합적 미술 교육에서의 창의성 개념 11
3. 초등교육 미술의 특성 15

Ⅲ. 미술과 다른 활동과의 통합 21
1. 프로젝트접근법의 이해 21
2. 프로젝트접근법을 기초로 한 통합교육의 유형별 분류 31

Ⅳ. 통합적 미술교육 교수-학습 과정안 제시 및 기대효과 42
1. 통합교육을 활용한 미술교육 지도방안 42
2. 창의력 향상을 위한 통합교육 교수-학습 과정안 45
3. 통합적 미술교육을 통한 지도 내용 및 활동결과 51
4. 그 밖에 자연재료로 미술 활동한 사례 53
5. 수업결과 분석 및 기대효과 54

Ⅴ. 결론 57

참고문헌 59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홍정민. (2012). 창의력 향상을 위한 통합적 미술교육에 관한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Fine Arts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