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제주시 초등학교 교사의 다문화교육 인식과 태도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Recognition and Attitude toward Multicultural Educa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Jeju-City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제주시의 다문화 중심학교를 대상으로 하여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 태도, 다문화 관련 학습지도 및 생활지도 실태를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바람직한 다문화교육의 방향을 모색해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교사의 다문화교육 경험 유무가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 및 태도에 영향을 주는가?
둘째, 초등교사의 다문화교육 인식은 초등교사의 다문화 관련 학습지도 및 생활지도에 영향을 주는가?
셋째, 초등 다문화 중심학교 간 비교를 통해 다문화교육을 주로 담당하는 초등 다문화 중심학교 간의 인식·태도·다문화 관련 학습지도 및 생활지도에 차이가 있는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대상을 제주시 지역의 다문화 중심학교 6개 초등학교에 재직 중인 교사를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통해 전수 조사를 실시한 후 통계처리를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교육에 관심이 없다는 교사도 있지만 더 많은 교사가 관심을 표명한 것은, 현실적으로 교사들이 다문화교육의 필요성을 느끼며 인지하고 있는 것에 비해 교사 연수 기회는 아주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교사의 대부분은 다문화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은 하고 있지만 다문화교육에 대한 지식이나 이해, 교육 자료 부족으로 인해 실제 교육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다문화 관점에서 교육이 잘 이루어지지 않음을 나타낸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에 따르면, 다문화관련 연수 경험은 다문화교육에 대한 목표 인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다문화 지도 경험이나 연수 경험이 교사의 다문화 인식에 차별화를 가져오지 못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 현 교사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개선이 필요함을 시사해 준다.
둘째, 다문화교육 관련 수강 경험 및 다문화교육 관련 교육 기회의 경험이 있을 때, 국제적 사건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학생들에게 알리려는 태도와 소수 문화에 대해 이해하려는 문화 이해 태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사 교육 및 교사 연수 등 교육 기회를 확대한다면, 다문화교육에 대한 교사의 태도를 개선하고 바람직한 방향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되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셋째, 다문화교육 개념에 대한 인식 수준이 다문화 관련 학습지도 및 생활지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 관련 학습지도 및 생활지도에서 다문화교육에 대한 개념 및 다문화가정에 대한 개념이 정립되었을 경우 모든 영역과 교육과정 전 과정에서 통합적으로 지도하는 교수·학습 방법을 적용하여 수업을 하는 것으로 나타나, 교사 교육 및 교사 연수를 강화하여 다문화교육에 대한 오(吳)개념을 없애고 정(正)개념을 정립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심화시켜 나가는 방향의 전환이 필요함을 시사해 준다.
넷째, 다문화교육에 대한 목표 인식은 다문화 관련 학습지도 및 생활지도에 대해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다문화관련 목표 인식이 높을수록 다문화교육의 효과 면에서 더욱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것으로 판단된다.
다섯째, 다문화 중심학교 간 비교 분석 결과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 정도는 다문화교육 정책연구학교와 다문화교육 거점학교는 비슷한 값을 나타내었고, 다문화 이해교육 학교는 평균값이 낮았지만 다문화 관련 학습지도 및 생활지도 정도는 다문화교육 정책연구학교가 다문화교육 거점학교나 다문화 이해교육 학교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는 학교교육과정 운영상 정책연구학교인 경우가 행정적 지원이 가장 많고, 다양한 실적 결과물을 산출해야 하는 과업 수행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여지는 데, 앞으로 이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여섯째, 다문화 중심학교에 근무하는 초등교사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경험 빈도는 전반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다문화교육을 중점적으로 운영하는 중심학교라 할지라도 다문화교육 경험이 있는 교사가 그다지 많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교사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의 개선 및 향상을 위해서는, 다문화적 지식과 경험을 제공해 줄 수 있는 적절한 교육 프로그램이 운영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일곱째, 다문화교육 정책연구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의 연수 경험이 다문화교육 거점학교나 다문화 이해교육 학교보다 부족하다는 것을 본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연수 운영을 학교 자율에만 맡겨 운영함으로 인해 다문화교육에 대한 개념 인식이 제대로 안된 상태에서 양적, 물적, 형식적 연수 운영을 함으로써 내실있고 효과적인 연수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여덟째, 다문화 중심학교에 근무하는 교사의 절반 정도가 강의 수강 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다문화교육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 제공 및 이해가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다문화교육을 주로 담당하는 중심학교라 할지라도 체계적인 교사 연수나 기반 지식을 갖추고 있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좀 더 체계적인 교사 연수 시스템 구축과 다문화교육 관련 강의 개설을 확대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at understanding the recognition, the attitude and the educational guidance toward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oncerning multicultural core-schools in Jeju-city, and at groping a reasonable direc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most teachers think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is needed, but they feel constraint in field because of their lack of knowledge, understanding and teaching materials of multicultural education. To solve this problem, improvement of training course for teachers is much needed.
Secondly, the experience of attending lectures about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 experience of educational opportunities concerning multiculturalism play an key role in recognition and attitude toward multicultural education.
Thirdly, learning-guide and daily-life guide for students are varied to the difference of understanding level about the concept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urthly, the effectiveness of multicultural education rises in proportion to the level of goal-recognition toward multicultural education.
Fifthly,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Study Schools and Foothold-Fchools have no meaningful difference, they have almost same level of understanding about multicultural education. However, Schools for Multicutural Understanding show lower level of average point. In the field of learning-guide and daily-life guide,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Study Schools get higher point than that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othold-Schools and Schools for Multicutural Understanding.
Sixthly, the experience frequency is very low in the teachers who work at Multicultural Center-Schools.
Seventhly, experience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training course for teachers is lower than that of the teachers who work in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Study Schools and Schools for Multicutural Understanding.
Lastly, it is urgent to make more systematic education training courses, and to scale up opening the courses on multicultural education.
Author(s)
현길자
Issued Date
2012
Awarded Date
2012.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5947
Alternative Author(s)
Hyun, Gil-ja
Affiliation
제주대학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사회교육
Advisor
염미경
Table Of Contents
국문초록ⅰ
목 차 ⅳ
표 목 차 ⅴ
그림목차 ⅵ


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5
1. 다문화교육의 개념과 내용 5
2. 다문화교육에서의 교사 역할 9
3. 교사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 및 태도 12


Ⅲ. 연구 설계 17
1. 연구 대상 및 절차 17
2. 측정 변수 및 분석 방법 19
3. 조사 대상자의 특성 23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25
1. 초등교사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 25
2. 초등교사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태도 29
3. 초등교사의 다문화 관련 학습지도 및 생활지도 33
4. 초등 다문화 중심학교 간 비교 37
5. 소결 및 논의 42


Ⅴ. 결론 및 제언 45


참고문헌 49


ABSTRACT 52


설문지 54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현길자. (2012). 제주시 초등학교 교사의 다문화교육 인식과 태도에 관한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Elementary Education > Elementary Social Studies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