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제주도 심방의 멩두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Simbang Shaman's Tools, Mengdu, on Jeju Island;Focused on the Origin, Hereditary Transmission, and Ritual Exorcisms
Abstract
이 논문은 제주도 심방의 멩두에 대하여 기원, 전승, 의례를 중심으로 종합적 실상을 밝힌 것이다. 멩두는 심방의 무업조상이자 핵심무구이다. 멩두가 제주도 심방과 무속을 해명하는 근본 요소 가운데 하나라는 점을 착안하고, 멩두를 중심으로 일관되게 논의하고자 노력을 기울였다. 조상과 무구, 심방의 입무와 성무, 신화적 내력, 역사적 내력 등 멩두가 지니는 여러 측면이 유기적으로 결합하는 양상을 파악하는 것을 중시하였다. 그 결과 멩두에 대한 착안과 증명이 단순한 작업이 아니고 심방을 둘러싼 여러 측면을 하나로 귀결시키는 핵심적인 고리가 된다는 점을 더욱 명확히 알 수 있었다.
이 논문은 제주도 심방의 멩두에 대하여 구성과 기원, 유형과 전승양상, 관련 의례의 전개양상, 멩두의 의의 등의 순서로 살펴보았다. 논문 전개를 위하여 먼저 멩두가 신칼, 산판(천문, 상잔, 산대), 요령으로 구성되었다는 점을 밝히고 각각의 요소가 가지는 의미, 기능, 역할 등의 전체적인 개관을 정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아래와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멩두의 역사적 기원은 최소한 조선 전기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신칼이나 요령이 한국 무속의 무구와 유사한 점이 있다는 사실을 고려하면 멩두는 고대 무구의 자취를 갖춘 것이라고도 할 수 있다. 그만큼 한국 무속과 관련성도 드러내 주었다. 한편 멩두의 신화적 기원은 초공본풀이를 바탕으로 멩두 명칭, 멩두 제작, 멩두 전승으로 나누어 살폈다. 그 결과 신명(神名)과 무구명(巫具名)의 상호 관련성, 현실에서 본메 놓는 법의 유래, 유정승따님아기 내력담의 존재 이유 등이 새롭게 조명되었다고 생각한다.
멩두의 유형은 심방이 멩두를 마련하는 양상에 따라 물린멩두, ᄌᆞ작멩두, 봉근멩두, 제절멩두, 본향멩두라고 하여 다섯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파악하였다. 멩두의 유형 가운데는 전승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진 물린멩두가 가장 이상적이고 보편적이다. 멩두가 매우 다양한 방식으로 존재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멩두를 유형별로 검토하니 심방의 입무양상을 알 수 있는 단서가 마련되었다. 심방의 입무 과정에서 나타나는 신병과 세습이 멩두와 일정한 관련을 보이고 있었다. 심방은 멩두로 인하여 입무하기도 하고, 입무하기 위하여 멩두를 마련하기 때문이다. 심방 대부분 신병을 앓는 것이 보편적인 현상이지만, 아무래도 봉근멩두와 제절멩두 같은 유형에서는 신병과 큰 관련을 보였다. 본향멩두 유형은 특히 심방의 세습 입무에 큰 영향을 끼친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멩두 물림은 멩두의 유형별로 나누어 살폈다. 실제 멩두 물림에는 멩두의 여러 유형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지만 전승양상의 면모를 구체적으로 드러내기 위하여 대표적인 유형을 중심으로 살폈다. 이 가운데 물린멩두의 물림이 가장 이상적인 유형이다. ᄌᆞ작멩두, 봉근멩두, 제절멩두는 결국 이를 얻은 심방에 의하여 물린멩두로 전환되어 멩두 물림의 역사를 이어간다. 본향멩두는 속성상 물린멩두의 물림으로 나타난다. 멩두의 물림은 개방적인 양상을 보였다. 전체적으로 당시 상황에서 적절한 멩두를 물려주고 받는 것이다. 멩두 물림에는 당사자들의 일정한 합의가 따른다. 멩두 물림은 단순히 무구를 전승하는 것이 아니라 분명한 목적을 가진 행위라는 사실을 파악할 수 있었다.
멩두 관리는 심방이 멩두를 잘 모시고 나중에 다시 전승을 대비하는 행위이다. 멩두는 심방이 평소에 당주에 모셔 보관한다. 심방이 당주를 고팡에 마련하는 것은 제주에서 조상신을 모시는 행위와 관련이 있다고 보았다. 멩두 역시 심방의 조상신이기 때문이다. 멩두 관리에는 멩두 합침, 멩두 보수, 멩두 기증 등의 측면도 있다. 멩두는 당주에 그대로 모셔두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상황에 따라 적극적으로 관리하는 대상이라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무업활동을 하기 위해서 파손된 멩두를 보수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이밖에도 복수의 멩두를 원활하게 처리하기 위해 멩두를 합치는 행위도 있을 수 있다는 사실을 분명히 알 수 있었다. 공공기관과 같은 데에 멩두를 기증하는 행위는 달라진 시대상황을 심방집단이 적극적으로 활용한 결과이다.
멩두의 전승이 궁극적으로 심방의 무업활동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 살피는 것도 중요한 일이다. 멩두는 분명한 전승 목적을 가지고 일정한 전승 효과를 나타내는 물질이니 이를 뚜렷이 드러냄으로써 멩두 전승이 엄연한 사회적 행위라는 사실을 파악할 수 있었다. 멩두를 전승하는 목적은 무업조상을 모시고 핵심무구를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심방의 자격을 갖추는 행위이기도 하다. 멩두를 전승하여 얻는 효과로 심방의 경제기반 마련과 멩두 내력에 따른 심방의 권위 확보를 들었다. 이는 심방의 무업활동 기반을 다지는 행위이기도 하다. 이밖에 심방 가계의 멩두 전승양상을 가능한 대로 재구성하고 제시하여 멩두 전승의 실제 양상을 이해하고자 노력하였다.
한편 멩두와 관련한 의례의 전개양상을 살펴 조상, 무구, 심방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노력하였다. 멩두의 의미와 역할이 두드러지는 대표적인 의례로 멩두고사, 당주제, 신굿, 공시풀이를 택하여 그 진행양상을 우선 검토하고 의미를 찾으려고 하였다. 그 결과 멩두의 제작과 멩두고사, 멩두의 좌정과 당주제, 멩두의 신성과 신굿, 멩두의 역사와 공시풀이 등이 서로 각별한 관계에 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여러 의례 가운데 특히 신굿과 공시풀이의 중요성을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신굿은 멩두의 신성을 바탕으로 심방을 공인하는 절차이다. 신의 길을 바르게 하고 심방의 무업활동을 인증하기 때문이다. 신굿의 제차 가운데서도 당주맞이(삼시왕맞이)와 고분질침(시왕고분연질)에서 더욱 두드러진다. 조상의 신체인 멩두를 이용하여 어인타인을 찍음으로써 심방은 입무의 허가를 얻는다. 고분질침에서는 고분멩두를 통하여 굿법의 준엄함과 심방으로서 자세를 끊임없이 자각하게 된다. 또한 공시풀이는 조상의 내력을 기억하고 복원하는 절차이다. 공시풀이는 멩두의 전승과정에서 각인된 실제 개인 심방 조상영혼들의 역사이자 제주도 심방공동체의 역사이기도 하다.
멩두와 관련한 의례에서 심방은 멩두를 통하여 조상과 무구의 신성과 영력을 얻고 무업활동을 학습하며 심방공동체의 내력을 공유한다. 그러고 보면 멩두의 기원과 전승, 의례의 다양한 측면은 심방에게 멩두가 어떻게 조상과 무구로서 역할을 하는지 다각도로 밝혀주는 통로가 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멩두의 의의로 심방의 탄생과 심방공동체의 형성, 제주도 무속의 역사성 확인과 다원적 전승양상 증명이라는 두 가지를 들 수 있다. 멩두는 심방의 무업활동 전반을 관통하는 요소이니 한 사람을 심방으로 거듭나게 한다. 심방들은 누구나 멩두를 공유하기 때문에 심방공동체를 형성할 수 있었다. 한편 심방의 명칭을 중심으로 살핀 결과 심방의 역사성도 깊고 한국 무속과 관련성이 존재하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심방의 무업활동에 있어서 멩두 전승의 의미를 속성, 물림, 체계의 차원에서 찾아보았다. 그 결과 멩두 속성의 전승은 지식전승, 멩두 물림의 전승은 기반전승, 체계의 전승은 신앙전승이라고 파악할 수 있었다. 멩두의 다원적 전승은 멩두의 역사성과 사회성을 반영하는 결과라고 이해할 수 있다.
The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shaman rituals focused on the origin, succession, and ritual exorcisms. Mengdu is the key tools, or called Josang, which normally means ancestors, but it also means the tools for shaman exorcism, because the tools are normally bequeathed to an hereditary successor.
Understanding that Mengdu tools are the basic essentials to explain Simbang Jeju native shamans and shamanism, the study strived to keep the focus on Mengdu throughout the discussion. Mengdu reflects various aspects of shamanism to include, Josang and the bequeathed shaman tools, Ipmu, entering into shaman profession as a beginner and Seongmu, becoming the established shaman, the mythic origin, and historic origin. Hence, the study paid attention to understanding of the phenomena that the various aspects of Mengdu combine organically. It is not a simple task to focus on Mengdu to explain shamanism and shamans and trying to examine their roles and relationships. However, the result clearly revealed that Mengdu is the key to put all aspects into one conclusion.
The study also reviewed Mengdu of Simbang Jeju native shamans in the aspects to include, the composition and the origin, the types of Mengdu and succession, related procedure of ritual performance, the significance of Mengdu, in a sequential order. First, the introductory part of the study identified the components of Mengdu, which consists of Sin-kal (the paper-ribboned knives), Sanpan (A set of tools for Jeju's shamanic divination) composed of Cheonmun brass coins, like old Korean yeopjeon coins, Sangjan cups, and a Sandae dish, and a rainbow-ribboned bell called 'Yoryeong.' The overview of the meanings, functions, and roles of each tool were also summarized.
The study concluded with the results from the review and research in the process of the introductory study. The historic origin of Mengdu can be at least the early days of the Joseon Dynasty. The Jeju shaman Sin-kal knives and Yoryeong bells have a similar shape to the ordinary Korean traditional ones, which leads to a safe assumption that Jeju Mengdu inherited the trace of the ancient shaman tools. The relationship with Korean shamanism was clear.
To review the mythic origin, the study reviewed each of the names, production, and succession of Mengdu based on Chogongbonpuri mythic shaman exorcism. The revealed results shed new ligh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ames of deities and the names of shaman ritual tools, the origin of the rule to put the Bonme marks, the background reason of the story about the baby daughter of Jeongseung (senior minister) of the Yu clan, which is pronounced as Yujeongseung-ttanim-agyi.
The type of Mengdu is divided into five types based on how Simbang shamans prepare the tools. The five groups consist of Mulin-mengdu, Jojak-mengdu, Bonggeun-mengdu, Jejeol-mengdu, and Bonhyang-mengdu. The study revealed that there were various types of Mengdu tools existed. The review by type of Mengdu provided a clue to understand the procedure of a beginner Simbang. There was a certain consisten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 of Mengdu and the type of initiation disease, or called spiritual possession, and hereditary succession from the shaman mother to a beginner shaman. Bonggeun-mengdu and Jejeol-mengdu showed a greater relationship with Mengdu, while Bonghyang-mengdo takes a significant role in the succession practice.
The process of passing Mengdu down to the beginner shaman was reviewed by type of Mengdu. Munlin-mengdu fit most ideally to the process of Ipmun passing the tool to the new shaman. Jojak-mengdu, Bonggeun-mengdu, and Jejeol-mengdu also become a Mulin-mengdu as the simbang who received them from the shaman mother passes them to her heir, continuing the history of the shaman practice. Bonhyang-mengdu appears as Mulin-mengdu in essence. The Mengdu passing process was fairly open. The shaman mother and the heir relationship is decided with a mutual agreement between the parties.
Mengdu was kept with respect by the simbang shaman who received the tools because they have to be passed down to the next successor. They are kept in Dangju, a designated place to keep all spiritual objects, which was usually a shed or called Gopang in the Jeju dialect. It is related to the custom of Jeju's ancestor worship. The maintenance of Mengdu includes combining the tools together, repairing, and donating the tools, which proves that Mengdu tools are the objects to be stored and kept for a shaman rite. Instead, they were the objects for proactive management depending on situation.
The study looked into another important aspect of Mengdu, revie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engdu and the shaman practices of simbang shamans. The purpose of passing down Mengdu to new comers is to worship the shaman ancestors, or called Mueop-josang, and to secure key shaman tools, which are also the qualifications to become a simbang. Receiving Mengdu was beneficial in two aspects, an economic base and heightened status as simbang. Therefore, Mengdu management was part of simbangs' job to strengthen their base as shaman profession.
The study also reviewed the process of shaman rites involving Mengdu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with Josang, the shaman mythic ancestors, Mugu, the shaman tools, and simbang, the shamans. The results reveal that there are special relationships between production of Mengdu and Mengdu-gosa ritual, the ceremonial sitting of Mengdu and Dangjuje rite, the divinity of Mengdu and the sin-gut shaman exorcism, and the history of Mengdu and Gongsipuri rite in which simbangs narrate the history of Mengdu, their shaman ancestors, and their duties. The Sin-gut and Gongsipuri are particularly important. A Sin-gut is a process of official acknowledgement of the simbang who provides the rite based on the divinity of Mengdu. Gongsipuri is a process of remembering and recovering the shaman ancestral history. Therefore, Gongsipuri is actually the history of the spirits of each simbang's ancestors that are identified and assigned in the process of Mengdu succession. It is also the history of the simbang community of Jeju.
Finally, the study summarized the significance of Mengdu in two aspects. The first one is the birth of simbang as a shaman and the formation of the simbang community. The other one is confirmation of the historic value of Jeju's shamanism and verification of multifaceted styles of succession. Mengdu, as the element that penetrates the entire aspects of simbangs' shaman activities, takes an important role to make a person to be born as simbang shaman. Mengdu shaman ritual tools were shared by all shamans, which became the base for the formation of the simbang community. In addition, the study also identified that the succession of Mengdu's attributes is knowledge succession, the physical succession of Mengdu is passing the shaman base to the heir, and the structural succession is for religious succession. The multifaceted succession of Mengdu can be understood through the recognition of the historical and social aspects of Mengdu.
Author(s)
강소전
Issued Date
2012
Awarded Date
2012.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6042
Alternative Author(s)
Kang, So-Jeon
Affiliation
제주대학교
Department
대학원 한국학협동과정
Advisor
허남춘
Table Of Contents
제1장 서론 1
1. 문제제기와 연구목적 1
2. 선행연구 검토 5
3. 연구방법 11

제2장 멩두의 구성과 기원 14
1. 멩두의 구성 14
1) 신칼 14
2) 산판 17
3) 요령 20
2. 멩두의 기원 22
1) 역사적 기원 22
2) 신화적 기원 28

제3장 멩두의 유형과 전승양상 44
1. 멩두의 유형 44
1) 물린멩두 44
2) ᄌᆞ작멩두 47
3) 봉근멩두 50
4) 제절멩두 53
5) 본향멩두 55
2. 멩두의 유형과 심방의 입무 57
1) 멩두와 신병 58
2) 멩두와 세습 64
3. 멩두의 전승양상 69
1) 멩두 물림 69
2) 멩두 관리 88
4. 멩두 전승과 심방의 무업활동 102
1) 멩두 전승의 목적과 무업활동 102
2) 멩두 전승의 효과와 무업활동 106
3) 멩두 전승의 실제와 무업활동 110

제4장 멩두 관련 의례의 전개양상 121
1. 멩두고사 121
1) 멩두고사의 진행 121
2) 멩두의 제작과 멩두고사 125
2. 당주제 130
1) 당주제의 진행 130
2) 멩두의 좌정과 당주제 135
3. 신굿 139
1) 신굿의 진행 139
2) 멩두의 신성과 신굿 146
4. 공시풀이 152
1) 공시풀이의 진행 152
2) 멩두의 역사와 공시풀이 157

제5장 제주도 심방의 멩두가 지닌 의의 160
1. 심방의 탄생과 심방공동체의 형성 160
1) 심방의 탄생 160
2) 심방공동체의 형성 163
2. 제주도 무속의 역사성 확인과 다원적 전승양상 증명 169
1) 제주도 무속의 역사성 확인 169
2) 제주도 무속의 다원적 전승양상 증명 173

제6장 결론 178

참고문헌 183
Abstract 188
Degree
Docto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강소전. (2012). 제주도 심방의 멩두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Interdisciplinary Programs > Interdisciplinary Postgraduate Program in Koreanolog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