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한국과 중국의 회사법상 주식회사 이사회제도에 관한 비교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Comparison on the System of Directors' Board In Company Law Between Korea and China;Focus On The Directors' Status
Abstract
In China, the Company Law of 1993 played a significant role during the transfer from a planned economy to a market economy; however, because the Company Law of 1993 mainly served for the transfer of state-owned enterprises to a corporate form there were many provisions related to state-owned enterprises. In particular, provisions that provided preferential policies for state-owned enterprises resulted in an inequality between state-owned enterprises and non state-owned enterprises. As a result, investors were not able to make good use of company structures because there were many provisions that enabled the government to intervene in a company.
To solve these problems, China has revised its Company Law three times. Among these the most significant is the amendment to the Company Law of 2005. In particular the most striking changes were amendments related to corporate governance, and the major amendments are as follows: first, establishing a one person one vote voting system for any decisions to be taken at meetings of directors; second, implementation of voting rights restrictions to prevent directors from abusing the principle of a majority to control the company; third, adding provisions to enable any decisions of the directors that are defective to be made void or be canceled for the protection of the interests of the company; fourth, introducing a cumulative voting system to prevent the largest shareholders from using their votes to elect their own directors; fifth, introducing the concept of a derivative suit system for high level officers and shareholders to strengthen the company's interests, specifying a director's duty of loyalty, and adding a director's duty of care; sixth, adding special provisions for listed companies; and, seventh, allowing the manager to be a legal representative. Despite these amendments to Chinese Company Law, many problems exist owing to the short history of company law in China. Especially there are serious problems related to the directors, and as the board of directors plays a central role in corporate governance it is necessary to have a study on the role of directors in the Company Law of 2005.
Meanwhile, Korea amended its Companies Act in 2011 to enhance economic strength, and the intensity and scope of these amendments was unprecedented. The amendments related to the board of directors are as follows: first, the scope of limitations on persons who undertake self-dealing was increased and an impartiality requirement was added to the contents of self-dealing; second, provisions related to the usurpation of corporate opportunities were added; third, a reduced responsibility system was implemented to improve the enthusiasm for business of the directors; and, fourth, an executive system was introduced to enhance the supervision of the board of directors and improve the business execution abilities of the directors.
China and Korea share certain similarities in terms of corporate governance; therefore, this paper will make a comparison between the roles of company directors in China and Korea and, from the comparison, put forward some constructive comments related to Chinese Company Law.
Author(s)
육펑
Issued Date
2012
Awarded Date
2012.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6052
Alternative Author(s)
Lu, Ping
Affiliation
제주대학교
Department
대학원 법학과
Advisor
송석언
Table Of Contents
제1장 서론 1

제2장 중국 회사법의 연혁 7
제1절 신중국 성립 이전의 회사법 7
1. 중국 최초의 회사법 7
2. 국민정부시기의 회사법 7
제2절 신중국 성립 후 회사법 제정 이전의 회사관련법률 8
1. 사회주의개조시기와 전면적인 계획경제시기의 회사관련법률 8
2. 경제체제개혁시기의 회사관련법률 9
제3절 회사법의 제정연혁 10
제4절 회사법의 법원 12

제3장 중국 주식회사 이사회제도 15
제1절 이사 15
1. 의의 15
(1) 개념 15
(2) 종류 15
(3) 이사와 회사의 관계 17
2. 이사의 선임, 종임, 보수 18
(1) 선임 19
(2) 종임 25
(3) 보수 28
3. 권한 28
4. 의무 30
(1) 이사의 충실의무와 근면의무의 관계 30
(2) 충실의무 32
(3) 근면의무 42
(4) 독립이사의 특별한 의무 44
5. 책임 44
(1) 이사의 회사에 대한 책임 44
(2) 이사의 제3자에 대한 책임 48
(3) 이사의 책임 추궁 52
(4) 이사의 책임제한 58
제2절 이사회 59
1. 의의 59
2. 권한 60
(1) 업무집행결정권 60
(2) 인사권 61
(3) 기타 고유권한 61
(4) 정관으로 이사회의 권한으로 정할 수 있는 사항 61
3. 소집 62
(1) 소집권자 62
(2) 소집절차 62
4. 이사회 결의와 의사록의 공시 64
(1) 결의요건 64
(2) 의결권의 제한 67
(3) 결의의 하자 68
(4) 결의방법 69
(5) 이사회의 의사록과 공시 71
5. 상장회사의 특별규정 73
(1) 이사회내의 전문위원회 73
(2) 이사회 비서 73
제3절 이사장 75
1. 의의 75
2. 선임과 종임 76
(1) 선임 76
(2) 종임 77
3. 권한 78
(1) 주주총회의 주재권 78
(2) 이사회의 소집권 및 주재권 79
(3) 이사회 결의의 집행에 관한 감독권 79
제4절 법정대표자제도 79
1. 의의 79
2. 선임과 종임 80
(1) 선임 80
(2) 종임 80
3. 업무집행권 81
4. 대표권 81
(1) 대표행위의 요건 81
(2) 권리능력 범위 내의 대표행위 82
(3) 대표행위의 형식적 요건 82
(4) 대표행위의 실질적 요건 82
(5) 대표권의 남용 83
(6) 법정대표자의 불법행위 84
(7) 공동대표제도 84
(8) 표현대표 85
제5절 경리 86
1. 의의 86
2. 선임과 종임 86
3. 법적지위 87
(1) 회사와의 관계 87
(2) 이사회와의 관계 87
(3) 이사장과의 겸임 타당성 89
4. 권한 90
5. 경리의 대외적 업무집행과 대표권에 대한 검토 90
6. 의무와 책임 92

제4장 한국법과의 유사점과 차이점 93
제1절 한국 이사회제도의 연혁 93
1. 2011년 개정이전의 이사회제도 93
2. 2011년 개정회사법과 이사회제도 95
제2절 이사에 관한 비교 96
1. 유사점 96
2. 차이점 99
(1) 이사의 종류 및 회사와 이사의 관계 99
(2) 이사의 선임 99
(3) 이사의 종임 101
(4) 이사의 의무 101
(5) 이사의 책임 105
(6) 이사의 보수 108
(7) 사외이사와 독립이사 108
3. 중국 회사법에 대한 시사점 109
(1) 집중투표제 109
(2) 이사의 의무 110
(3) 이사의 책임 115
(4) 독립이사 116
제3절 이사회에 관한 비교 116
1. 유사점 116
2. 차이점 117
(1) 이사회의 소집 117
(2) 이사회의 권한 118
(3) 이사회의 결의 118
(4) 이사회 내의 위원회 120
(5) 상장회사의 이사회 비서 120
3. 중국 회사법에 대한 시사점 120
제4절 회사의 대표기관 122
1. 유사점 122
2. 차이점 122
3. 중국 회사법에 대한 시사점 123

제5장 결 론 125

참고문헌 132
Degree
Docto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육펑. (2012). 한국과 중국의 회사법상 주식회사 이사회제도에 관한 비교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Law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