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제주지역 독거노인돌보미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Job Satisfaction of the Self-living senior care supporters in Jeju Island
Abstract
본 연구는 독거노인돌보미의 직무 만족도 향상을 통해 독거노인에게 좀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해 제주지역 독거노인 돌보미의 직무 만족도 및 직무요인 수준을 파악하고, 독거노인돌보미의 직무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제주시독거노인원스톱지원센터」의 독거노인돌보미 86명을 대상으로 전수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인구사회학적 특성, 직무요인(직무내용 관련 요인, 대인관계 관련 요인, 근무환경 관련 요인, 보상체계 관련 요인)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조사기간은 2012년 4월 5일부터 9일까지 5일간 독거노인돌보미를 직접 대면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중 퇴사 1명을 제외한 85명의 설문지가 최종 분석되었다.
분석방법은 SPSS for Win 18.0을 활용하였으며,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빈도분석, 신뢰도검증, 기술 통계분석, T-test,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활용하였으며 이에 따른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독거노인돌보미의 업무특성상 독거노인돌보미 96.5%가 여성이고, 연령은 평균 50.38세로 40~50대가 83.3%이며 학력수준은 고졸 35.7%, 전문대 이상 졸업 58.4%로 대부분 고등학교 수준이었으며 근무경력은 평균 35.67개월로 사업시작 초기부터 지속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독거노인돌보미 직무요인의 수준은 대인관계 관련 요인(3.82점)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직무내용 관련 요인(3.49점), 근무환경 관련 요인(3.13점), 보상체계 관련 요인(2.75점)으로 현재 직무의 직접적 내용과 동료 및 대상자와의 관계에서는 비교적 만족하는 편으로 확인되고 있으나, 독거노인돌보미 업무에 대해서는 급여 수준이 낮고 사회적 인정을 받지 못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따라서 독거노인돌보미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보상체계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요인에 따른 직무만족도의 차이는 성별, 연령, 최종학력, 가족과 동거 여부, 가구주 여부, 근무경력, 독거노인돌보미 직업선택 동기에 따른 직무만족도의 집단 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못하였다.
넷째, 독거노인돌보미의 직무요인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보상체계 요인(β=.477)이 직무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나고 있으며, 다음으로 대인관계 요인(β=.356), 직무내용 요인(β=.199)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독거노인돌보미의 직무만족도 향상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면,
첫째, 독거노인돌보미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보상체계에 대한 개선이 선결 되어야 한다.
둘째, 의사소통 및 인간관계 개선 프로그램 제공을 통해 상사나 독거노인돌보미들의 역량을 강화한다면 서로의 마음을 좀 더 이해할 수 있고 업무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독거노인들의 말동무로서 더 나은 서비스제공을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직무만족도가 향상될 수 있다.
셋째, 독거노인돌보미의 명확한 업무 매뉴얼 개발과 구체적인 처리지침 등을 마련하여 제시함으로써 역할 갈등에 대한 부분을 해소하여 직무만족도를 향상 시킬 수 있다.
넷째,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하여 독거노인들이 이동할 때 안전성 확보와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독거노인 수에 비례한 단계적 충원이 가능하도록 체계적인 조사와 정책개발 지원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much better service to the self-living seniors through improvement of the job satisfaction of the self-living senior care supporters. For this, we grasped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and job factors of the self-living senior care supporters of Jeju city, and analyzed the influential factors that can improve the job satisfaction of them.
We conducted a complete enumeration survey on the 86 self-living senior care supporters of One-stop support center for the self-living seniors of Jeju city, and analyzed features of Sociological of Population and job factors - job specifications, personal relations, a working environment, reward system- affecting the job satisfaction. We conducted the surveys by meeting them face to face for 5 days from 5th to 9th in April, 2012. Finally the surveys of 85 supporters were analyzed except one person who resigned from the supporters.
We used SPSS for Win 18.0 as an Analysis tool, and used Frequency Analysis, Verifying Reliability,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for verifying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t first, the author looked into the features of Sociological of Population. It was found that women constituted 96.5% of the self-living senior care supporters, the average age of them is 50.38 years old, and the people in their 40s~50s constituted 83.3%, the people who are graduated from high school constituted 35.7%, the people who are graduated from collage constituted 58.4%. And the average period of their work experience is about 35.67 months. There are many cases that she or he has worked since the self-living senior care service program had began. Secondly, in the level of job factors of the self-living senior care supporters, the factor of personal relations is the highest as 3.82 points, and the second factor is job specifications as 3.49 points, the third one is a working environment as 3.13 point, and the last one is a reward system as 2.75 points. It means they are comparatively satisfied with their work, co-workers and the relationships with their service recipient, but they recognized that they were paid low in accordance with their working level and they don't achieve social recognition. So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reward system for the job satisfaction. Thirdly, the gap of the job satisfaction among groups is meaningless statistically in accordance with the factors of Sociology of Population like a gender, age, educational background, cohabitation with their own family, the head of household, work experience, the motive for working as the self-living senior care supporters. Finally, the reward system(β=.477) is the most powerful factor on job satisfaction, the personal relations(β=.356) is an influential factor in second, and the job specifications(β=.199) is the third factor on it.
Here are some alternative suggestions for improving job satisfaction of the self-living senior care supporters. Firstly, the reward system must be improved. Secondly, if the capability of the supporters or manager is strengthened through the program of improving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 they would not only maximize their work efficiency with understanding each other but also provide better service to the self-living senior as her or his someone to talk to. The job satisfaction can be improved through this process. Thirdly, the job satisfaction can be possibly improved through resolving the role conflict by developing definite manuals for work of the self-living senior care supporters and setting up specific guidelines. Lastly, it is necessary to support policy development and a systematic search for recruiting people who is proportionate to the number of the self-living seniors in phases, providing service well and to ensure safety when the self-living seniors move to participate the provided programs.
Author(s)
이승희
Issued Date
2012
Awarded Date
2012.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6062
Alternative Author(s)
Lee, Seung-Hee
Affiliation
제주대학교
Department
행정대학원 행정학과 일반행정전공
Advisor
남진열
Table Of Contents
Ⅰ.서 론
1.연구의 목적 1
2.연구의 범위 2
Ⅱ.선행연구 고찰
1.제주특별자치도 노인 인구 현황 4
2.독거노인 돌봄 서비스와 직무만족도 6
3.선행연구검토 12
Ⅲ.연구방법
1.조사대상 17
2.조사방법 17
3.연구가설 및 연구모형 17
4.측정도구 18
5.분석방법 22
Ⅳ.연구결과
1.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23
2.독거노인돌보미의 직무요인 수준 27
3.독거노인돌보미의 직무만족도 수준 30
4.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 차이 31
5.상관관계분석 34
6.독거노인 돌보미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36
Ⅴ. 결론 및 제언
1.연구결과의 요약 및 논의 42
2.연구의 한계점 및 제언 45
참고문헌 47
Abstract 51
설문지 53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행정대학원
Citation
이승희. (2012). 제주지역 독거노인돌보미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Public Administration > Public Administr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