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제주바람(風)의 다면적(多面的) 특성과 정책 활성화방안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Reduction of Harm from the House Fire in Jeju Island, Korea
Abstract
제주의 바람은 제주를 상징하는 3多중 하나로 일상생활 곳곳에서 바람의 흔적을 엿볼 수 있으며 주민 생활과 더불어 자연 경관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바람은 돌담과 올레, 초가지붕의 띠, 어로생활과 당굿문화 등 전통적인 섬 문화와 어우러져 마을단위로도 독특한 지역문화를 갖고 있다. 특히 국가지정 중요무형문화재 제71호에 이어 세계인의 문화유산으로 지정이 된 제주 칠머리당굿은 제주를 대표하는 지역축제로 펼쳐져 독창성을 발휘하고 있다.
제주도는 연평균 풍속이 4~7 m/s이고 초속 4m 이상인 강풍의 빈도도 많아 자원으로써 가치가 높기 때문에 풍력발전단지 조성에 적합하다. 이러한 풍력발전의 입지적 조건으로 인해 제주도는 1997년 행원 지역에 600kW급 풍력 발전기 2기를 설치해 1998년 8월부터 상업 운전에 들어가 국내 최초로 풍력 발전의 상업화에 성공하였고 2012년에는 제주도 자연환경을 고려한 제주도 풍력발전 표준모델로 제주 가파도를 세계 최초로 미래의 신재생에너지인 태양광과 풍력으로 생산한 전기만 사용하고 섬 전체를 스마트그리드로 실현한 `탄소 없는 섬`으로 만드는 등의 청사진을 제시하여 우리나라의 풍력발전산업을 선도하고 있다.
또한 제주도는 꾸준하게 불어오는 바람과 더불어 4면이 바다로 둘러 쌓여있어 요트, 윈드서핑 등 해양스포츠・레저를 즐기는데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다. 국민들의 여가활용과 건강에 대한 관심이 커지는 것과 비례하여 제주도의 스포츠레저산업의 발전가능성도 매우 크다 하겠다.
제주의 바람은 제주인의 혼이 담기고 제주의 바람만이 갖고 있는 상징성에다 제주의 지리적 특성과 천혜의 자연적 여건이 결합한 새로운 형태의 시설(상징물) 건립이 이루어진다면 지역발전에 긍정적인 시너지효과로 작용할 수도 있다는 점에서 앞으로의 제주를 이끌어갈 미래의 성장 동력으로 시사점이 크다고 본다.
이에 본 논문은 '명품바람'이라고도 불리어지는 제주바람을 단순히 천혜의 자연환경과 어울리고 제주를 상징하는 3多의 하나로만 인식할 것이 아니라 공공재로써의 자원으로 인식하여 제주의 바람을 정책적 시각으로 접근하여 어떠한 요인이 정책에 반영되어 활용되고 있으며 제주의 발전을 위해 어떻게 쓰여 지는지 실태를 점검하고 제주의 바람을 개발하여 제주지역경제 활성화의 한 방안으로 제시하는데 있으며, 여러 방면에 걸쳐 파급효과가 큰 바람의 무한한 효용가치에 바람이 주는 상징성을 잘 부각시키고 이를 상품화하고 브랜드화 하여 제주의 발전과 지역경제를 활성화함은 물론 제주도의 위상제고 및 지방재정을 늘려 지자체의 궁극적인 목표인 제주도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진행과정을 간략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제1장 서론에서는 연구의 목적, 연구의 범위와 방법을 기술하고 있다.
제2장에서는 이론 및 선행연구로 바람의 일반적 이해와 바람이 정책에 영향을 주는 요인 중에서 문화적 측면, 에너지 측면, 스포츠・레저 측면, 시설물(상징물) 측면의 네 가지 측면으로 국한하여 논문의 목적을 뒷받침하였고, 선행연구 결과정리, 분석의 틀을 고찰하였다.
제3장은 제주도의 바람관련 정책의 문화적 측면, 에너지 측면, 스포츠・레저 측면, 시설물(상징물) 측면의 실태분석을 통해 문제점 및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제4장에서는 네 가지 측면에 대하여 활성화 방안 및 정책제언을 하였다.
제5장에서는 결론과 연구의 한계를 기술하였다.

이러한 연구과정으로 얻어진 결과에 대한 정책적 제언은 다음과 같다.
문화적 측면에서의 정책제언은 첫째, 지역 혼과 상징이 담긴 다양하고 탄탄한 콘텐츠와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관광유인을 지속시킨다.
둘째, 실효성이 떨어지는 문화・축제 및 문화기반시설에 대하여 과감한 통폐합을 하여 행정의 인력 및 재정의 손실을 줄인다.
셋째, 성공적인 지역문화・축제가 되기 위해 주변 인프라 활용 및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넷째, 상품화된 축제를 꾸준한 홍보를 통해 브랜드화 하여 소비자들에게 인식시키는 이미지 메이킹을 실시한다.
다섯째, 공람, 공청회, 사업설명회, 설문조사 등 주민참여를 통한 소통의 문화정책을 구현한다.

에너지 측면에서의 정책제언은 첫째, 제주도 자연환경을 고려한 '제주도 풍력발전 표준모델'을 개발한다.
둘째, 풍력발전단지조성 시 적극적인 행정지도 및 홍보로 민원발생소지 최소화 한다.
셋째, 안전사고 재발방지를 위하여 안전관리 매뉴얼 개발과 정기적인 안전점검 실시를 의무화 한다.
넷째, 계통연계, 인허가 절차 대폭 간소화 등 과감한 규제개선으로 민간참여를 촉진시킨다.

스포츠・레저측면에서의 정책제언은 첫째, 특정한 종목과 특정한 종목에 관련된 제반 시설의 개발정책에만 편중되지 않고 사회적, 경제적인 여건을 감안하고 다양한 스포츠레저욕구에 부응하는 스포츠정책을 요구한다.
둘째, 요트의 대중화와 저변확대를 위해 국내요트대회 및 국제요트대회의 개최를 늘리고 요트 계류장을 추가 증설하여 요트산업의 활성화를 꾀한다.
셋째, 요트 계류장에 대해 계류비를 유료화 하여 무분별한 정박을 방지하고 안전하고 체계적인 관리를 실시하여 지역주민들에게 수익창출의 기회를 부여한다.
넷째, 유휴어항 또는 인근 폐교를 자연친화적이며 제주생활 체험시설로 활용, 스포츠와 레저를 즐기는 사람들에게 제공하여 어촌계의 부가수입을 증대한다.

시설물(상징물) 측면에서의 정책제언은 첫째, 바람의 상징성을 활용한 시설물 건립의 청사진을 제시하여 제주지역발전을 위해 필요한일임을 도민들에게 적극적으로 홍보한다.
둘째, 바람의 상징성을 활용한 시설물을 상품화하고 마케팅기법을 도입하여 지방재정수입으로 이어지게 한다.
셋째, 바람의 상징성을 활용한 시설물이 제주를 상징하는 대표브랜드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부처 간 업무협의체를 구성한다.
넷째, 제주의 바람이 주는 상징성에 박물관의 고유한 기능을 유지하면서 제주의 정서 및 문화가 복합적으로 구성된 새로운 개념의 '바람박물관' 건립을 제언한다.
The winds of Jeju is one of the 3 most representative symbols of Jeju and it would be possible to see traces of it in every nook and cranny of the daily lives of the Jeju people. Along with being part of the Jeju residents, it also affected a great deal in the natural environments. The wind as an entity created several unique cultural aspects as well as festivals in such as stone walls, olle, the straw thatched houses, fishing life and exorcism rites cultures. Jeju on average has a windspeed of 4~7 m/s and has frequent massive winds in the strength of more than 4m per second and therefore has high value in it being a natural resource. It is therefore perfect as a location for wind energy development. In 1997 in the Haengwon region, two wind power generators worth 600kW was established and in 1998, it became successful as the first commercialized wind energy farm in the domestic scene. In 2012, as a representative model of wind energy development taking the Jeju nature into consideration, it proposed a blueprint in making Gapa Island of Jeju as an island which uses only electricity generated from windpower, one of the first ever place to do that. It therefore suggested making the whole island into 'a carbon free island'. As such, it is spearheading the wind energy development in Korea.
In addition, along with the continuous wind that blows in Jeju, the four sides of the island are surrounded by the ocean making it the perfect place to enjoy yachting, windsurfing and other marine sports. In proportion to the ever increasing interest of the people towards leisure activities, I would say that the possibilities of Jeju's development in the sports leisure industry is quite considerable.
The winds of Jeju is in possession of the soul of Jeju, while having the symbolism that only Jeju winds have. In addition to taht, if an establishment of a facility fusing the heaven blessed nature and new modern technologies, it could lead into a huge synergy effect into regional development. As such, it has the huge potential of developing into one of the future industries that will lead Jeju.
With these aspects in mind, this paper looks at Jeju's wind not only as the 3 symbols of Jeju that is in harmony with nature, but emphasizes that it should be recognized as a public resource, so that Jeju's wind can be approached in the capacity of culture, energy, sports, leisure and facilities. 4 aspects of these are looked at from a policy viewpoint, specifically as to what elements are being reflected and used and how it is being used in current Jeju's development. By highlighting the symbolism of the wind with the limitless usages that it could have, products could be made as well as value added branding. Not only will this lead into activating Jeju's development and regional economy, it will also promote the prestige of Jeju and increasing the income of the local government. Ultimately, it has the aim of contributing to the enhancement of quality of life of the Jeju people on the part of the local autonomous government.
Author(s)
정학주
Issued Date
2012
Awarded Date
2012.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6064
Alternative Author(s)
Jeong, Hak-Joo
Affiliation
제주대학교
Department
행정대학원 행정학과 일반행정전공
Advisor
황경수
Table Of Contents
제 1 장 서론 1
제 1 절 연구의 목적 1
제 2 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5
제 2 장 관련이론 및 선행연구 6
제 1 절 바람의 자원적 의의와 일반적 이해 6
1. 바람의 정의와 원인 6
2. 우리나라 주변에서 부는 바람 9
3. 바람의 활용 12
제 2 절 바람의 문화적 측면 16
1. 문학정서 16
2. 지역문화 17
3. 지역축제 19
제 3 절 바람의 에너지 측면 20
1. 풍력발전의 개요 20
2. 풍력발전의 원리 21
3. 풍력발전시설의 특성 및 장단점 22
4. 풍력발전 발전 산업 동향 22
5. 풍력산업의 정부정책 23
6. 해상풍력발전의 필요성 23
7. 해상풍력발전의 장점 24
제 4 절 바람의 스포츠레저 측면 24
1. 항공스포츠 24
2. 수상(해상)스포츠 27
제 5 절 바람의 시설물(상징물) 측면 31
1. 상징성 31
2. 풍차 32
3. 하늘공원, 바람흔적 미술관 33
4. 풍욕(風浴) 34
제 6 절 관련이론과 선행연구 결과 정리 36
1. 결과정리 36
2. 함의 37
제 7 절 분석의 틀 38
제 3 장 바람이 정책적으로 활용된 제주도의 사례분석 40
제 1 절 문화적 측면 40
1. 지역정서 40
2. 지역문화 43
3. 지역축제 48
4. 제주도의 문화적 활용실태에 대한 문제점 53
5. 제주도의 문화적 측면에 대한 발전가능성 54
제 2 절 에너지 측면 55
1. 제주의 바람과 풍력발전 55
2. 국내풍력발전현황 55
3. 국내 풍력산업 육성정책 현황 58
4. 해상풍력발전 시설 계획 59
5. 2011년 해상풍력종합계획 61
6. 제주도 풍력발전소 실태 63
7. 풍력(육상해상)에너지가 제주도에 주는 시사점 69
제 3 절 스포츠레저 측면 70
1. 우리나라 해양스포츠의 실태 70
2. 해양스포츠의 발전가능성 71
3. 해양스포츠산업의 성공사례 72
4. 제주도 해양스포츠레저의 실태와 문제점 73
제 4 절 시설물(상징물) 측면 84
1. 바람의 상징성을 활용한 시설물건립의 필요성 84
2. 바람의 상징성을 담은 시설물 84
3. 풍욕 시설물건립을 통한 지자체의 활용 87
4. 지역 상징 시설물과 도보관광 89
5. 바람의 상징성을 담은 시설물이 제주도에게 주는 시사점 91
제 4 장 바람을 활용하여 제주지역발전을 위한 정책제언 92
제 1 절 문화적 측면의 정책제언 92
1. 영등굿의 활성화 92
2. 지역문화의 활성화 92
3. 지역축제의 개선 93
4. 문화적 측면의 정책제언 요약 93
제 2 절 에너지 측면의 정책제언 94
1. 정부 신재생에너지 정책의 수렴과 자원개발 94
2. 국가 풍력산업정책과 제주도 풍력발전의 개선 95
3. 풍력자원의 공공적 관리 96
4. 풍력발전 에너지측면의 정책제언 요약 97
제 3 절 스포츠레저 측면의 정책제언 99
1. 해양스포츠의 적극적 검토 99
2. 제주도 해양스포츠산업의 활성화 102
3. 스포츠레저측면의 정책제언 요약 103
제 4 절 시설물(상징물) 측면의 정책제언 104
1. 제주 바람의 상징성을 활용한 시설물 건립 104
2. 상징적독창적 시설물건립이 지역발전을 이룬 성공사례로 유도 104
3. 시설물 건립측면의 정책대안으로 바람박물관 건립 제언 106
제 5 절 바람을 상품화하기 위한 정책의 전환 108
1. 바람의 공공재로써 인식의 전환 및 효율적 운용 108
2. 제주바람의 상품화와 브랜드화 109
3. 상징화를 이용한 브랜드화의 성공유도 110
제 5 장 결론 111
제 1 절 결론 111
제 2 절 연구의 한계 115
참 고 문 헌 116
ABSTRACT 123
부 록 1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행정대학원
Citation
정학주. (2012). 제주바람(風)의 다면적(多面的) 특성과 정책 활성화방안
Appears in Collections:
Public Administration > Public Administr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