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희망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력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Effect of Hope Enhancement Group Counseling Program on Adaptability to School Life and Self-esteem of High School Students
Abstract
본 연구는 희망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력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1. 희망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력에 미치 는 효과가 어떠한가?
연구문제2. 희망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 가 어떠한가?

위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대상 선정, 사전검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구성, 희망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적용, 사후검사, 자료 분석 순으로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은 서귀포시에 있는 J고등학교 2학년 학생18명이며 이들을 실험집단 9명, 통제집단 9명으로 무선 배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생활적응력을 알아보기 위해 문은식(2002)이 제작한 학교생활 적응 검사로써 중․고등학생의 학업적, 사회적, 정의적 적응을 측정하기 위해 자기 보고식 검사이며, 각 문항에 대한 응답 양식의 경우 4단계(전혀 그렇지 않다, 대체로 그렇지 않다, 대체로 그렇다, 매우 그렇다) Likert,척도였던 것을 본 연구에서는 5단계(전혀 그렇지 않다, 약간 그렇지 않다, 보통이다, 약간 그렇다, 매우 그렇다)로 확장하여 '전혀 그렇지 않다(1점)에서 '매우 그렇다(5점)의 5단계 Likert,척도로 사용하였다.
개인의 자아존중감을 측정하는 자아존중감 검사는 Coopersmith(1967), Mcchale와 Chaigheda(1988) 등의 연구를 참조하여 최보가와 전귀연(1993)아 개발한 자아존중감 검사를 사용하였다. 전체 32문항, 일반적(총체적)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아존중감, 가정에서의 자아존중감, 학교에서의 자아존중감 등4개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어 있고, 4점 리커트 척도이다.
희망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Synder와 Feldman 등(2002)이 제시한 '학교상담자를 위한 희망고취 프로그램 개발 전략'중에서 최동욱(2005)이 주도사고 및 경로사고 증진과 관련된 프로그램과, 백영정(2008)의 희망이 낮은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한 "초등학생을 위한 희망증진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사용하였다. 프로그램은 집단을 구성한 후 2011년 10월 12일부터 10월 21일까지 6, 7교시(회기 당 50분) 11회기로 실험집단에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자료 분석 방법으로 SPSS WIN 18.0을 활용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사전점수를 t검증 실시하였다. 사전검사 결과 학교생활적응력과 자아존중감에서 두 집단 간의 유의한 점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두 집단은 동질집단임을 확인하였다. 검사지 반응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희망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사후 학교생활적응력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희망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사후 자아존중감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희망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학교생활적응력 하위요인인 학업적 적응(수업참여도, 학습노력, 학습지속성, 학습행동통제 등), 사회적 적응(교우관계, 규칙준수 등), 정의적 적응(학교선호, 학교회피, 학교생활만족 등)에서도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희망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자아존중감 하위요인인 일반적(총체적)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아존중감, 가정에서의 자아존중감에서는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교에서의 자아존중감에서는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희망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력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고등학생들이 개인이 지니는 강점과 미덕을 계발하고 발휘함으로써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미래에 대하여 긍정적인 사고를 하여 학교생활적응력과 자아존중감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학교현장에서 희망증진 프로그램을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is aimed at testing the effect of hope enhancement group counseling program on the adaptability to school life and self-esteem of high school students. I have set study questions below for the goal.

Study question 1. How is the effect of home enhancement group counseling program on adaptability of high school students to school life?
Study question 2. How is the effect of home enhancement group counseling program on self-esteem of high school students?

In order to solve the study questions above, I made process starting from selecting participants, following pretest, composing testing/control group, applying home enhancement group counseling program, post test, and ending to analysis of data.
Participants were 18 second-graders in J high school in Seogwipo-si, randomly distributed evenly to test/control groups.
For testing adaptability to school life, Moon(2002)'s self reporting test for adaptability to school life was used, extended from four-point level Likert scale(never, seldom, usually, always) to five-point level Likert scale(never, seldom, sometimes, usually, always).
Self-esteem test made by Choi&Cheon(1993) referring to Coopersmith(1967), Mcchale&Chaigheda(1988) is used to measure individual's self-esteem. It is composed of total 32 four-point Likert scaled questions, with sub factors of general, social, family, school self-esteem.
Hope enhancement group counseling program is composed from Choi(2005)'s program related to enhancement of agency and pathway thinking out of 'strategy of hope enhancement program development for school counselor' suggested by Synder&Feldman(2002) and Baek(2008)'s "hope enhancement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elementary school upper graders with less hope. The program was carried out after composing the group, from October 12th to 21st, 2011, 11 sessions in total, spending 50 minutes in each session.
SPSS WIN 18.0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t-test to pretest score is conducted for testing the hypothesis. The pretest result confirmed that both test and control group were homogeneous, showing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The result for analyzing test sheet response is shown below.

Firs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est group and control group in adaptability for school after counseling.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est group and control group in self-esteem after counseling.
Thir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est group and control group in learning adaptability(participation, learning effort, controlling learning behavior), social adaptability(friendship, rule observance), and just adaptability(school preference, school avoidance, satisfactory of school life), which are sub factors of school adaptability.
Fourth,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est group and control group in general, social, family self-esteem, which are sub factors of self-esteem, and no difference in self-esteem in school.

These results present that hope enhancement group counseling program affects adaptability to school life and self-esteem of high school students. It seems that the program helps students to develop and display individual's strength and virtue, enhancing quality of life and letting them think positively of their future, thus leads to improvement of adaptability to school life and self-esteem.
Therefore, it suggests that it is needed to use hope enhancement program actively in school scene.
Author(s)
안계선
Issued Date
2012
Awarded Date
2012.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6074
Alternative Author(s)
Ahn, Gye-seon
Affiliation
제주대학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상담심리
Advisor
김성봉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문제 및 가설 3
3. 용어의 정의 4

Ⅱ. 이론적 배경 6
1. 희망이론 6
2. 고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력 10
3. 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 12
4. 희망과 학교생활적응력 13
5. 희망과 자아존중감 15
6. 선행연구 고찰 16

Ⅲ. 연구방법 18
1. 연구대상 18
2. 연구설계 18
3. 연구도구 19
4. 연구절차 25
5. 자료처리 및 분석 27

Ⅳ. 연구결과 및 해석 28
1. 연구대상에 대한 동질성 검증 28
2. 가설검증 30
3. 소감문 및 연구자 관찰에 의한 분석 34

Ⅴ. 논의 및 결론 41
Ⅵ. 제언 43

참고문헌 45

Abstract 50

부 록 51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안계선. (2012). 희망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력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Counseling Psycholog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