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전통 인물화의 표현기법 연구

Metadata Downloads
Abstract
회화사에 있어 인물화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다양한 장르들 가운데서 견고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중국회화사에서 남·북조시대의 고개지(顧愷之)는 인물을 표현함에 있어 전신론(傳神論)을 강조하여, 그 인물의 정신까지 담아내어 생명력을 불어넣는 것을 중요시하였다. 이러한 고개지의 전신론과 사혁(謝赫)의 화육법론(畵六法論)이 바탕이 되어 조선시대 인물화의 기초가 다져졌으며, 이전보다 더욱 탄탄한 회화성을 가지게 되었다. 인물화를 그려 나감에 있어 형사(形寫)와 전신(傳神)이 모두 중요하게 다루어졌으며, 그 중 우리나라의 전신론은 조선후기에 이르러 이형사신론(以形寫神論)의 입장을 취하고 있어 인물화의 요체를 파악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전통 인물화 양식의 토대를 고려불화, 도석인물화, 초상화, 풍속화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인물화의 토대가 되었던 고려불화는 사실적인 인물화로 오색과 금분으로 섬세하고 화려하게 채색하여 오늘날까지 채색화의 근본이 되고 있으며, 수묵위주의 도석인물화는 도교적 내용의 신선이나 불교적 내용의 달마상 등으로 조선중기 묵법을 강조한 화풍으로 다양한 필묵법의 발전을 보았다.
조선후기 초상화는 전통적인 기법과 형식에 따라 인물의 외형성을 재현하는 과정에서 그 정신성까지 나타내는 특징을 보였으며, 양대 전란이후 실학사상이 대두되면서 서민의 삶을 반영한 사실주의 경향의 풍속화가 등장하여 전통 인물화의 새로운 표현양식을 보였다.
조선후기(약1700∼1850년)에 풍속을 주제로 한 전통 인물화의 시작은 선비화가인 공재 윤두서와 관아재 조영석이며, 서민생활을 회화적 소재로 포착되었다는데서 찾아볼 수 있다. 같은 사대부이면서도 서민에 대한 관점이 남다르게 나타나면서 회화적 대상을 '인간' 중심의 사실적인 묘사와 표현으로 기존의 관습적인 작품에서 벗어난 새로운 인물화의 양식으로 성립하였다.
이처럼 시대적 안목의 변화로 그려지기 시작한 인물화는 18세기 후반 남성위주의 풍속을 주제로 그린 단원 김홍도와 여성위주의 애정이나 남녀지간의 정분을 중심으로 한 혜원 신윤복에 의해 예술적 완성을 보인다.
이들은 부감법을 사용하여 화면을 원형구도와 사선구도로 그리는 공통된 특징을 보인다. 김홍도의 인물화는 서민의 생활을 생동감 있게 묘사하였고 기교가 섞이지 않은 특유의 소탈함을 지니고 있다. 신윤복의 인물화는 섬세한 세선으로 표현하였고 배경은 관념적 표현으로 대비를 이룬다.
조선후기 인물화를 대표하는 화가들의 작품연구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인물화를 연구하는 최대의 관점은 바로 사생을 통한 사실주의적 창작태도이며, 시대적 변천에 따른 작가연구 및 작품세계, 그리고 작품분석의 연구는 큰 의미와 가치를 지닐 수 있을 것이다.
예술가에게 주어진 중요한 임무는 시대를 보는 안목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작가가 선택한 소재와 표현된 조형언어를 통해 시대정신의 구현과 세계관 등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작가 정신을 검토하는 일은 중요한 과제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인간의 삶과 그 예술적 표현과의 관계에 대해 주목했으며, 일상적 소재에서 시대적 정신을 끌어내고자 하였다.
Author(s)
유창훈
Issued Date
2013
Awarded Date
2013.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6141
Alternative Author(s)
Yoo, Chang Hun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미술학과
Advisor
Kwack, Jeong-Myeong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Ⅱ. 전통 인물화의 개념과 양식 3
1. 인물화의 발생 3
2. 인물화의 주제 및 표현양식 6
1) 고려불화 6
2) 도석인물화 8
3) 초상화 12
4) 풍속화 16
Ⅲ. 조선후기 인물화의 형성과 표현기법 19
1. 사회적 배경 19
2. 인물화 표현기법 21
1) 공재 윤두서 22
2) 관아재 조영석 30
3) 단원 김홍도 35
4) 혜원 신윤복 42
3. 조선후기 인물화의 의미와 가치 50
Ⅳ. 결론 52
참고문헌 54
57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유창훈. (2013). 전통 인물화의 표현기법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Fine Arts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