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15∼17세기 제주유민의 사회사적 연구

Metadata Downloads
Abstract
이 연구는 조선시대 특히 15∼17세기 기간 중에 제주 사람들이 배를 타고 제주도를 떠나 유랑하던 역사를 고찰한 것이다. 이들은 왜 제주도를 떠났을까, 떠난 이들은 바다에서 어떤 삶을 살았을까 그리고 그들의 삶이 지금 우리에게 남기는 의미는 무엇일까 등의 문제를 고민했다. 이들의 삶을 고찰하기 위해 우선 아날학파 역사학자 페르낭 브로델(Fernand Braudel)의 3층구조 역사틀을 활용했다.
기존의 연구는 이들의 출륙 배경으로 척박한 토지, 자연재해, 지나친 수취, 지방관과 토호의 수탈 등에 주목했다. 그러나 이러한 요인은 비단 15∼17세기만 국한되었던 것이 아니다. 전근대 제주사회 전체를 관통하던 역경이었다. 그런데도 대규모 출륙 유랑은 15∼17세기에만 집중적으로 일어났다. 그렇다면 위의 요인만으로는 15∼17세기 제주유민 현상을 설명할 수 없다. 본 연구의 문제의식은 이것에서부터 시작되었다.
Ⅱ장은 출륙 유랑의 배경 찾기다. 이들의 출륙 요인을 사회구조적 배경과 자연 환경적 배경으로 나누어 살폈다. 사회구조적 배경으로는 과도한 역(役) 부과와 말 사교역으로 대표되는 제주경제의 변동을 주요한 요인으로 설정했고 자연 환경적 배경에서는 척박한 토지와 빈번한 자연재해를 유민 발생의 중요 요인으로 설명했다.
Ⅲ장에서는 본격적으로 이들 제주유민의 발생을 다뤘다. 먼저 이들에 대한 명칭을 살폈다. 명칭은 크게 두 가지 계통이 있다. 두무악(頭無岳)계 명칭과 포작(鮑作)계 명칭이 그것이다. 두 명칭 모두 본래는 한자어가 아니었다. 본래 토속의 민간 명칭에 그 의미를 살리며 발음이 가까운 한자어를 조합했던 것이다. 물론 포작과 두무악은 의미가 본래 다르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는 사실상 같은 존재 즉 출륙 제주유민을 뜻했다.
그리고 제주유민의 발생 시점과 격감 시점을 고찰했다. 선행 연구에서는 대부분 성종년간을 제주유민 발생의 시점으로 삼았다. 그러나 본 연구는 다른 견해를 폈다. 성종년간은 나중에 크게 사회문제화 되었던 시점이며, 발생은 그 이전 즉 세종 때부터 시작이라고 논증했다. 격감 시점은 선행 연구와 일치한다. 인조7년(1629년) 강력한 출륙금지령이 계기가 되었을 것이다.
그리고 이들의 구성을 살폈다. 초기 유민은 제주도민 전반에 걸쳐 형성되었다. 말(馬) 경제 관련자들이 제주도민 전반에 걸쳐 존재하고 있었으므로 출륙 유랑민 역시 마찬가지였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하층민으로 집중되고 있었다.
제주유민이 섬을 벗어나 진출했던 지역은 실로 방대했다. 멀리 중국 요동반도 아래의 해랑도에서부터 한반도 전역의 해안에 걸쳐 이들의 발길이 닿지 않는 곳이 없었다. 물론 남해안이 이들의 집중적인 우거지였다. 기록으로는 확인되지 않지만 일본 열도로도 나갔을 것으로 추정한다.
이들 제주유민의 규모는 최소 1만 명, 이는 기록상에서 확인되는 출륙 공노비 숫자이다. 중세의 인구 기록은 부정확하고 통계 방법마다 차이가 많아 대략적 추세만을 살필 수밖에 없었다.
이들의 생업은 기본적으로 해산물 채취와 이의 교역이었다. 하지만 때에 따라서는 약탈도 병행하고 있었다.
Ⅳ장에서는 이들과 유사했던 집단 즉 수적과 왜구와 중국인 수적과의 관계를 살폈다. 제주유민이 때로는 약탈을 자행했기 때문에 정부에서는 이들을 수적으로 의심하기도 했다. 그러나 수적은 보다 조직적으로 약탈을 일삼던 전문적인 집단이며, 제주유민은 우발적이고 일회적인 즉 비조직적인 단순 약탈자로서 수적과는 조금 달랐다. 물론 이들 중 일부가 수적에 편입되기도 했을 것이며 점차 수적으로 진화하기도 했을 것이다.
왜구와의 관계를 보면 일부 일본학자들이 주장하는 것처럼 제주유민이 곧 왜구인 것은 아니었다. 당시 조선 정부에서는 이들을 분명하게 구분하고 있었다. 하지만 삶의 환경이 비슷했기에 이들 집단은 서로 상당한 교류를 진행하고 있었다. 그러면서 때론 협력하고 때론 갈등하던 관계라고 하겠다. 특히 16세기의 후기왜구 활동기에는 일본인, 중국인, 제주유민이 어느 정도 섞여 있을 가능성도 있었다. 그러나 사료상으로는 뚜렷하게 드러나지 않는다. 다만 바다 생활이라는 생태적 공통점 때문에 이들의 협력 관계는 가정해 볼 수 있다.
Ⅴ장에서는 임진왜란 당시 제주유민의 삶을 다뤘다. 이들은 물길 정보, 배 다루는 능력 때문에 일찌감치 수군의 주목을 받았다. 그것은 곧바로 임진왜란 전쟁이 터지자 효력을 발휘했다. 충무공 이순신의 기록에 이들의 활동상이 적지 않게 드러난다. 여러 전투에서 사망 부상자 현황을 보면 이들 제주유민의 비율이 10%를 넘는다. 그만큼 그 전쟁에서 맡았던 역할이 컸던 셈이다.
반면 왜병으로 편입되기도 했다. 조선 관료의 수탈이 심할 때 이들은 왜병의 일원이 되기도 했다. 이들에게 중요했던 건 근대의 민족의식이 아니라 생존 그 자체였기 때문이다. 이들의 배 즉 포작선도 전투에 동원되었다. 소규모 배로서 아주 빠른 장점이 있었기에 대형 전투선인 판옥선의 보조 역할을 담당했다.
Ⅵ장은 종합 정리의 장이다. 이들의 삶을 총화한 뒤 이들에 대한 성격 규정을 시도했다. 그리고 이 작업을 통해 그 성격이 가진 함의 즉 당시 역사와 오늘날 역사 연구에 던지는 의미를 찾아보았다. 본 논문은 이들의 성격을 해양적 성격, 교역경제인적 성격, 약탈적 성격, 용병적 성격, 국제적 성격, 경계인적 성격으로 규정했다. 그리고 그 성격 규정을 통해서 1국적 역사인식 극복과 해양 역사에의 주목, 농업중심 중세사 극복 등을 제기했다. 국가주의적 시선으로는 변방의, 해양의, 비농업인의 중세사를 들여다 볼 수 없기 때문이었다.

주요어: 15∼17세기, 제주유민, 출륙유랑, 페르낭 브로델의 3층구조, 말(馬) 교역 통제, 6고역, 여정(女丁), 진상, 공물, 두무악, 포작, 해랑도, 남해안, 수적, 왜구, 임진왜란, 해양적 성격, 교역경제인적 성격, 약탈적 성격, 용병적 성격, 국제적 성격, 경계인적 성격.
Author(s)
이영권
Issued Date
2013
Awarded Date
2013.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6142
Alternative Author(s)
Lee,Yeong Kwon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사회학과
Advisor
조성윤
Table Of Contents
Ⅰ. 머리말 1
1.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1
2. 기존 연구 검토 4
3. 이론적 배경 및 연구 방법 9

Ⅱ. 제주유민의 발생 배경 16
1. 조선정부의 제주 통치 강화 16
1) 조선정부의 제주 정치 장악 16
2) 조선정부의 제주 경제 장악 22
2. 제주유민 발생의 자연 환경적 배경 28
1) 토지 척박 요인 28
2) 자연재해 요인 31
3. 제주유민 발생의 사회구조적 배경 34
1) 과다 수취 요인 35
(1) 과도한 역(役) 부담 37
(2) 과도한 진상 · 공물 부담 39
2) 경제변동에 따른 요인 45
(1) 조선전기 제주 경제구조의 변화 45
(2) 조선전기 제주 산업기반의 붕괴 56

Ⅲ. 제주유민의 발생 · 격감 및 생활 68
1. 제주유민의 명칭 68
1) 두무악(頭無岳)계 명칭 68
2) 포작(鮑作)계 명칭 72
2. 제주유민의 발생 및 격감 시점 77
1) 제주유민의 발생 시점 78
2) 제주유민의 격감 시점 81
3. 제주유민의 구성 83
4. 제주유민의 분포 지역 85
5. 제주유민의 규모 92
6. 제주유민의 생업 및 활동 98

Ⅳ. 제주유민과 기타 해양집단 103
1. 제주유민과 水賊과의 관계 105
2. 제주유민과 倭寇와의 관계 113
3. 제주유민과 중국 水賊과의 관계 119

Ⅴ. 임진왜란과 제주유민 125
1. 조선 수군으로서의 제주유민 127
1) 수로(水路) 안내인 128
2) 선박 조종인 131
3) 전투병 134
4) 정보 제공인 136
5) 밀사 137
6) 탈영병 138
7) 기타 141
2. 왜병에 편입된 제주유민 142
3. 수전과 포작선 147

Ⅵ. 제주유민의 성격 155
1. 해양적 성격 156
2. 교역경제인적(交易經濟人的) 성격 160
3. 약탈적 성격 162
4. 용병적(傭兵的) 성격 164
5. 국제적 성격 167
6. 경계인적(境界人的) 성격 170

Ⅶ. 맺음말 175


참 고 문 헌 180
Abstract 189
Degree
Doctor
Publisher
제주대학교
Citation
이영권. (2013). 15∼17세기 제주유민의 사회사적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Sociolog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