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추사 김정희 전각의 조형성을 응용한 캘리그래피적 텍스타일 패턴 디자인

Metadata Downloads
Abstract
최근 세계 각국은 자국의 문화원형을 근거로 한 국가경쟁력 강화 차원으로 문화 인프라 구축과 더불어 다양한 문화산업 육성에 상당한 관심과 노력을 아끼지 않고 있다. 우리나라도 각 지자체별로 특색 있는 지역문화의 발굴과 함께 전통문화원형으로써의 콘텐츠화를 위한 스토리텔링이 다양한 측면에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제주도는 지정학적 특성에 의해 형성된 제주유배문화를 대표적인 역사문화자원으로 활용한 다양한 콘텐츠 개발이 활발히 시도되고 있는 가운데 본 연구에서 제주유배시기의 추사 김정희 전각의 예술적 가치를 부각시키고 좀 더 친근감을 유도하기 위해 전각의 조형성을 응용한 패션상품을 개발,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이를 통해 추사 전각의 조형성의 이론적인 체계 정립은 물론 더 나아가 이를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제시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었다. 왜냐하면 추사 전각의 조형성을 활용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대부분이 미학적 측면에서의 연구와 전각 자체의 이미지를 일차원적으로 활용하거나 전각의 일반적 조형성에 대한 주관적 견해에 따른 개인 작품화 일뿐 다양한 활용 방법을 제시해 주는 연구가 미비한 상태이기 때문에 그 의미가 크다고 하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주유배시기의 추사 김정희 전각의 조형적 특성을 가장 잘 표현해줄 수 있는 접근 방법이 바로 캘리그래피적 표현특성이라는 것을 규명함으로서 전각이 조형예술로써의 가치와 유배문화상품으로서의 활용가능성이 높은 전통문화원형임을 재규명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국내외 단행본 및 선행연구, 학위논문 등 다양한 문헌자료를 중심으로 추사 김정희 서?화와 전각의 조형적 특성을 비교분석하여 도출된 조형성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기 위한 방법으로 캘리그래피의 6가지 표현 특성(주목성?상징성, 즉흥성?일회성, 율동성?음악성, 심미성?조형성, 추상성?회화성, 표현의 적합성) 활용 여부와 텍스타일 패턴 디자인 제작방법으로서 프록터(Richard M. Proctor)의 기하학적인 반복배열형식(하프드롭, 스퀘어, 스케일, 다이아몬드, 브릭, 트라이앵글, 오지, 핵서건) 과 우시우스 윙(Wucius Wong)의 구성형식(반복구성, 유사구성, 집중구성)이 적합한지에 대한 이론적 연구와 그 결과를 토대로 전각의 조형성을 응용한 텍스타일 패턴 디자인 및 상품 개발 맵핑을 통한 실증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텍스타일 패턴디자인을 위한 제작 도구는 Adobe CS5 Photoshop, Adobe CS5 Illustrator 및 TexPro 맵핑을 이용하여 제작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추사 김정희 서?화와 전각의 조형적 특성을 비교분석하여 도출한 조형성인 고졸성의 조형적 특징은 자연스러움?단순함?예스러움으로, 캘리그래피의 표현 특성인 주목성?상징성, 추상성?회화성의 자유스러운 선?단순화, 간결화된 형?회화적 형태로 표현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실제적인 패턴화를 위한 텍스타일 제작방법으로는 스퀘어 패턴?스케일 패턴?트라이앵글 패턴이 가장 적합하였다.
둘째, 추사 김정희 서?화와 전각의 조형적 특성을 비교분석하여 도출한 조형성인 절주성의 조형적 특징은 리듬감?추상적?조화와 통일으로, 캘리그래피의 표현 특성인 율동성?음악성, 심미성?조형성, 표현의 적합성의 율동감의 건축적 형태?추상적이며 기하학적인 선?양각과 음각의 조화와 반복으로 표현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실제적인 패턴화를 위한 텍스타일 제작방법으로는 오지 패턴?트라이앵글 패턴?사방연속구성이 가장 적합하였다.
셋째, 추사 김정희 서?화와 전각의 조형적 특성을 비교분석하여 도출한 조형성인 절제성의 조형적 특징은 절제와 한도?강함과 섬세함?단정함으로, 캘리그래피의 표현 특성인 주목성?상징성, 심미성?조형성, 표현의 적합성의 인위적임과 자연적임의 대비?선과 형의 조형적 형태?직선적 단정함으로 표현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실제적인 패턴화를 위한 텍스타일 제작방법으로는 브릭 패턴?하프드롭 패턴?스퀘어 패턴이 가장 적합하였다.
넷째, 추사 김정희 서?화와 전각의 조형적 특성을 비교분석하여 도출한 조형성인 구상성의 조형적 특징은 직선적?사실적?구체적으로, 캘리그래피의 표현 특성인 즉흥성?일회성, 주목성?상징성, 표현의 적합성의 우연적 유일성 표현?시각적 조형성 표현?문자 표현으로 표현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실제적인 패턴화를 위한 텍스타일 제작방법으로는 다이아몬드 패턴?집중구성?핵서건 패턴이 가장 적합하였다.
이상과 같이 추사 김정희 서?화와 전각의 조형적 특성을 비교분석하여 도출한 조형성을 응용한 텍스타일 패턴 디자인 제작결과, 캘리그래피의 표현 특성 및 그에 따른 특징들이 새로운 텍스타일 패턴 디자인 기법으로 충분히 활용될 수 있음을 입증하였고, 추사 김정희 전각의 조형예술로써의 가치 규명은 물론 전통문화원형으로서 다양한 활용 가치를 재규명하였다. 향후 개발한 텍스타일 패턴 디자인의 데이터베이스화를 통해 다각도의 활용방안에 대한 후속연구를 기대한다.
Author(s)
현명관
Issued Date
2013
Awarded Date
2013.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6168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의류학과
Advisor
장애란
Table Of Contents
I.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5

II. 이론적 배경 7
1. 추사 김정희 7
1) 생애 7
2) 유배시기 서?화의 조형적 특성 10

2. 추사 김정희의 전각활동 17
1) 개념 17
2) 조형적 특성 23

3. 캘리그래피 35
1) 개념 및 유래 35
2) 표현 특성 42

4. 텍스타일 패턴디자인 53
1) 개념 및 유래 53
2) 원리 63
3) 제작방법 71
III. 추사 김정희 전각의 조형성을 응용한 캘리그래피적 텍스타일
패턴 디자인 83
1. 고졸성을 응용한 텍스타일 패턴 디자인 85
1) 모티브 디자인 85
2) 패턴 디자인 및 제품개발 87

2. 절주성을 응용한 텍스타일 패턴 디자인 91
1) 모티브 디자인 91
2) 패턴 디자인 및 제품개발 93

3. 절제성을 응용한 텍스타일 패턴 디자인 97
1) 모티브 디자인 97
2) 패턴 디자인 및 제품개발 99

4. 구상성을 응용한 텍스타일 패턴 디자인 103
1) 모티브 디자인 103
2) 패턴 디자인 및 제품개발 105


Ⅳ. 결론 111

참고문헌 114
ABSTRACT 119
Degree
Doctor
Publisher
제주대학교
Citation
현명관. (2013). 추사 김정희 전각의 조형성을 응용한 캘리그래피적 텍스타일 패턴 디자인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Fashion and Textiles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