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대장 용종절제술을 시행한 환자에서 조기 대장암의 예측 인자

Metadata Downloads
Abstract
INTRODUCTION: In Korea, colorectal cancer is the third most common cancer and the fourth leading cause of cancer death. Recently, the incidence and mortality of colorectal cancer have been reduced due to screening programs. Therefore, colonoscopic screening with removal of adenomas is an effective strategy for reducing the incidence and mortality of colorectal cancer. AIMS &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predictable factors of early colorectal cancer (ECC) in patients with advanced adenoma (AA), tumor in situ (Tis), and submucosal (SM) cancer diagnosed after colonoscopic polypectomy. ECC was defined as Tis or SM cancer. Between August 2003 and June 2012, a total of 1,001 patients who underwent colonoscopic polypectomy were enrolled in this study. Patients who underwent radical operation due to advanced colorectal cancer or infeasibility of polypectomy and those who underwent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were excluded from the study. RESULTS: The patients were classified four groups; non-AA (n=460), AA (n=409), Tis (n=38), and SM cancer (n=12). Compared to the AA group, the ECC group (n=50) had large adenoma (12.2 ± 5.9 vs. 15.3 ± 6.5 mm, P < 0.01), distal location (39.3 vs. 52.0%, P = 0.05) and diabetes mellitus (13.1 vs. 25.0%, P = 0.04). However, age, sex, body mass index, mean number of polyps, and morphological features (polypoid vs. nonpolypoid lesion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AA and ECC groups. In multivariate analysis, adenoma size > 15 mm (OR, 4.49; CI 2.40-8.38), distal location (OR, 2.59; CI, 1.33-5.05), and diabetes mellitus (OR, 2.10; CI, 1.07-4.43)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ECC. Of the 12 patients with SM cancer, 5 underwent additional operations without remnant carcinoma. CONCLUSION: The predictable factors of ECC after colonoscopic polypectomy may be adenoma size > 15 mm, distal location and diabetes mellitus.
Key Words: Colorectal neoplasm; Colonoscopy
목적: 대장 용종절제술을 시행하여 점막하층을 침범할 수 있는 위험인자들에 대한 보고와 용종절제술 만으로도 완전 절제가 가능하다는 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대장 용종절제술 후 진행성선종, 점막암, 점막하층암을 분석하여 용종의 특징과 내시경적 소견만으로 조기대장암을 예측할 수 있는 인자들이 있는지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 2003년 8월부터 2012년 6월까지 제주대학병원에서 대장 용종절제술을 시행 받은 환자는 총 1,001명에서 환자의 의무 기록을 통해 성별, 나이, 진단 당시 용종 개수, 용종의 위치, Kudo의 분류에 따른 모양, 조직학적 검사 등의 변수들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 환자의 용종은 비진행성 선종 460명(50.1%), 진행성 선종 409명(44.5%), 점막암 38명(4.0%), 그리고 점막하층암 12명(1.4%)에서 관찰되었다. 평균 용종의 크기는 조기 대장암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고 (12.2 vs. 15.3 mm, P < 0.01), 당뇨병을 가지고 있는 환자가 증가되어 있었다(11.6 vs. 27.3%, P = 0.01). 또한 용종의 해부학적 위치는 원위부에 위치할수록 조기 대장암의 분포가 증가되어 있었다(39.3% vs. 52.0%, P = 0.05). Kudo 분류에 따른 용종의 형태학적 차이는 점막내암에서 크기가 증가할수록 빈도가 증가되어 있었고, 점막하층암에서 크기와 관련성은 연구의 제한점으로 분석할 수 없었다. 다변량 회귀분석을 통해서 조기 대장암의 위험인자를 분석한 결과 당뇨병 OR 2.10 ((CI 1.07-4.33) P < 0.01), 용종의 크기 (>15mm) OR 4.49 ((2.40-8.38), P < 0.001), 원위부 위치 OR 2.59 ((1.33-5.05), P < 0.01)가 위험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점막하층암의 환자에서 5명은 전방전위절제술을 시행했었고 암성조직은 발견되지 않았었다. 결론: 용종이 원위부에 분포하거나 크기가 15 mm이상인 경우는 조기대장암 가능성이 있으므로 대장내시경 용종절제술을 시행하는 것이 필요하고, 조직학적 침윤 깊이를 확인하여 1,000um 이하인 경우에는 수술적인 절제를 고려하는 것보다 용종절제술 후 주기적인 대장내시경과 추가적인 검사를 통해서 관찰하는 것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당뇨병 환자들은 용종이 있으며 암성화를 고려하여 감시를 해야 할 것이다.
Author(s)
유정래
Issued Date
2013
Awarded Date
2013.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6244
Alternative Author(s)
Yoo, Jeong Rae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의학과
Advisor
송현주
Table Of Contents
.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Citation
유정래. (2013). 대장 용종절제술을 시행한 환자에서 조기 대장암의 예측 인자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Medicin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