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위암의 육안적 소견에 따른 양전자방출단층촬영의 유용성

Metadata Downloads
Abstract
Background/Aims: The usefulness of 18F-fluorodeoxyglocose positron emission tomography-computed tomography (18F-FDG PET-CT) in the staging, predicting prognosis, and detecting post-operative recurrence of gastric cancer has been reported in many studies. However, the role of PET-CT for early gastric cancer (EGC) was undetermined due to its low sensitivit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usefulness of 18F-FDG PET-CT according to gastric cancer morphology.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of 206 patients who had undergone PET-CT due to gastric cancer from June 2009 to June 2012. Among them, 120 patients were analyzed after exclusion of 86 patients who had undergone PET-CT for follow-up, those who had malt-lymphoma, those who underwent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and etc. A total of 65 patients underwent gastrectomy. We also reviewed postoperative pathologic staging and maximum standardized uptake value (SUVmax) of PET-CT.
Results: The mean age of the enrolled 120 patients was 63 ± 13 years old, male to female ratio was 77 (64.2%) to 43 (35.8%). According to endoscopic gross morphology, 48 patients classified as the EGC (40%) and 72 patients as advancing gastric cancer (AGC) (60%) groups. Compared with the EGC group (n=48), the AGC group (n=72) showed significantly higher rate of positive 18F-FDG uptake of primary lesions (86.1% vs. 14.6%, p < 0.001) and lymph nodes (48.6% vs. 10.4%, p<0.001), and higher SUVmax of primary lesions (7.87±3.44 vs. 5.40±2.49, p=0.07). Among 65 patients who underwent gastrectomy, the ECG group was 31 (47.7%) and the AGC group was 34 (52.3%) according to pathologic results. Among 31 patients with EGC, elevated type (type I and IIa) showed significantly higher rate of positive 18F-FDG uptake than flat or depressed types (IIb, IIc, and III) (55.6% vs. 13.6%, p=0.027).
Conclusions: Although 18F-FDG PET-CT has low detection rate for EGC as compared with AGC, PET-CT showed higher rate of positive uptake for elevated type of EGC than flat and depressed type.

Key Words: Gastric cancer, PET-CT
서론: 위암의 병기 결정에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도구는 컴퓨터단층촬영이고, 그 외 내시경 초음파 등이 사용되고 있는데 최근 18F-FDG PET-CT 을 시행하는 것이 위암의 병기판정, 예후예측, 수술 후 재발 발견에 도움이 되는지에 대한 많은 연구가 있었다. 하지만 위암의 육안적 분류에 따른 18F-FDG PET-CT 결과에 대한 연구는 없는 상태이다. 목적 및 방법: 저자들은 위암의 내시경적 소견에 따른 18F-FDG PET-CT 의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2009년 6월 부터 2012년 6월까지 제주대학교병원에서 위내시경에서 조기 위암 또는 진행성 위암이 의심되어 조직검사를 시행하였고 그 결과 위암이 진단된 후 병기 설정을 위해 복부컴퓨터단층촬영과 양전자방출단층촬영을 시행 받은 환자 206명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환자의 평균 연령은 63 ± 13세 였고, 남자 77명(64.2%), 여자 43명(35.8%)으로 구성되었으며, 내시경 소견에 따라 조기위암은 48명(40%), 진행위암은 72명(60%)으로 분류되었다. 진행위암 군에서 FDG 섭취율(86.1% vs. 14.6%, p < 0.001), SUVmax값(7.87±3.44 vs. 5.40±2.49, p =0.07), 림프절 FDG 섭취율(48.6% vs. 10.4%, p < 0.001)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본원에서 수술을 시행한 6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분석에서는 조기 위암 31명(47.7%), 진행성 위암 34명(52.3%)으로 분류 되었다. 조기 위암 환자 31명을 융기형 군(type I and IIa)과 편평형과 함몰형 군(type IIb, IIc, III)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융기형에서 더 높은 원발병소 발견율을 보였다(55.6% vs. 13.6%, p=0.027). 결론: 비록 조기 위암에서 18F-FDG PET-CT의 원발병소 발견율은 진행성 위암에서의 원발병소 발견율 보다는 낮지만 내시경적으로 융기형을 보이는 유형에서 편평형과 함몰형에서 보다 18F-FDG 섭취율이 높음을 알 수 있었고 이는 위암에서의 보다 적절한 18F-FDG PET-CT 시행 적응증을 알아 내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색인 단어: 위암, 양전자방출단층촬영
Author(s)
정우성
Issued Date
2013
Awarded Date
2013.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6249
Alternative Author(s)
Jeong, Woo Seong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의학과
Advisor
송현주
Table Of Contents
.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Citation
정우성. (2013). 위암의 육안적 소견에 따른 양전자방출단층촬영의 유용성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Medicin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