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교량형 봉합술식을 이용한 관절경적 회전근 개 봉합술의 임상적 결과와 구조적 결과의 상관관계

Metadata Downloads
Abstract
Background
여러 생역학적 비교 연구에 따르면, 교량형 봉합술식이 다른 술식에 비하여 좋은 결과를 보였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교량형 봉합술식을 이용한 관절경적 회전근 개 봉합술 후의 임상적 결과와 구조적인 결과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Purpose
이 연구의 목적은 교량형 봉합술식을 이용한 관절경적 회전근 개 봉합술을 시행 받은 중 또는 대파열의 환자의 임상적 결과, 봉합 상태의 유지 정도, 재파열률에 대하여 평가하는 것이다. 또한 임상적, 구조적 결과를 통하여 노동 강도에 따른 재파열률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Methods and Materials
2008년 5월부터 2010년 9월 까지 교량형 봉합술식을 이용한 관절경적 회전근 개 봉합술을 시행받은 73명(남자: 35명, 여자:3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임상적, 기능적 평가는 Constant score,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at Los Angeles (UCLA) score을 이용하여 시행하였다. 모든 환자에게 술 후 최소 1년 후에 시행한 자기 공명 영상을 통하여 회전근 개의 복원 상태를 평가하였다.

Results
73명 환자의 수술을 시행받은 평균 나이는 평균 61.4세(46~77세)였다. 자기 공명 영상 추시를 한 평균 기간은 평균 20.8개월(12~41개월)이었다. 최종 추시 시 Constant score와 UCLA score는 유의하게 개선되었다(p<0.001). 전체 재파열(type IV, V)은 18예(24.6%)에서 관찰되었다. 수술 전 파열 크기가 클수록 재파열률이 유의하게 높았다(p<0.002). 수술 전 지방 변성도의 정도가 심할수록 재파열률 또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01). 재파열률은 60세 이상의 환자들에게서 유의하게 높았다(p<0.045). 비록 노동 강도가 높은 군에서 많은 재파열이 관찰되었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p<0.168).

Conclusions
교량형 봉합술식을 이용한 관절경적 회전근 개 봉합술은 높은 복원률을 보이고, 통증과 활동 능력을 개선시킨다. 회전근 개의 복원은 다양한 인자의 영향을 받는다. 재파열은 주로 근건이행부에서 발생하는 경향을 보였다. 흥미롭게도, 봉합 상태가 유지되지 않더라도 대부분의 환자들은 수술의 결과에 만족하였다.

Key words
회전근 개, 관절경적 봉합술, 교량형 봉합술식, 자기 공명 영상, 재파열
Author(s)
김경민
Issued Date
2013
Awarded Date
2013.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6252
Alternative Author(s)
Kim, Gyeong Min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의학과
Advisor
남광우
Table Of Contents
.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Citation
김경민. (2013). 교량형 봉합술식을 이용한 관절경적 회전근 개 봉합술의 임상적 결과와 구조적 결과의 상관관계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Medicin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